지방분권화에 따른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역할과 향후 과제

  • 강우석 (충북대학교 농촌활성화지원센터)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오, 2013,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정립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 이수행, 최준규, 서윤정, 김민수, 2015, 경기도 농촌공동체 발전 사례 및 활성화 방안연구, 경기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3. 권동권, 장우환, 2017, 농촌현장포럼 정책효과분석, 동북아관광연구
  4. 통계청, 2018,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통계청
  5. 박세훈, 2015,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운영특성 연구: 정부-시만사회 관계의 관점에서
  6. 농림축산식품부, 2014, 2015, 2016, 2017,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설명회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7. 김태영, 2016, 사회적경제 영역의 광역단위 중간지원조직 역할 수행 분석 : 근거이론 연구방법의적용
  8. 이병준, 2015,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커뮤니티센터 운영개선방안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연중, 김창용, 이명기, 박지연, 박영구, 추성민, 2018. 제 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임상봉, 박윤호, 공병수, 심고은, 이 영, 2012, 농어촌활성화지원센터 모델 정립 연구, 한국농어촌공사
  11. 김현준, 2018, 농촌공동체 지원사업의 운영관리 조직에 대한 역량 실증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석, 2019, 농촌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 앙평농촌나드리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