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큐브 형태의 공간 변화를 표현한 스카프 디자인

The scarf design expressing the cube form space change

  • 박상은 (한양여자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과)
  • Park, Sang- Eun (Dept. of Textile Fashion Design, Hanyang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0.08.05
  • 심사 : 2020.12.09
  • 발행 : 2020.12.31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that create a three-dimensional or deep feeling on the surface of a scarf centering on the cube shape. Through this, consumers with various tastes were able to satisfy their image presentation. The cube form has simplicity and order and is likely to be used as a formative object. The cube shape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through visual and perceptual spatial changes by presenting various shape changes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 two-dimensional silk surface, that is, by changing the eyes' position and orientation. Various visual theorists' discussions about cube-shaped visual changes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illusion caused by the shape and color of Victor Bazaarelli's cube was examined. The cube shape was printed silk surfaces to give a three-dimensional sense of space on a two-dimensional scarf design using the size change,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line, and the color change. As such, the cube shape has infinite possibilities as a method that can express three-dimensional depth and space on the flat surface of a scarf.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various aspects as the basic data for the scarf design that expresses the spatial changes in the form of cub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인. (2003). Object a.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현화. (1999). 20세기 미술사. 서울: 한길아트.
  3. 민경우. (1996). 디자인의 이해. 서울: 미진사.
  4. 손은혜. (2013). 르네상스 원근법과 광학.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어현아. (2011). 호텔로비공간에 있어서 텍스타일디자인의 감성평가를 통한 상호 관계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6(4), 77-89.
  6. 오희선, 이정우. (1996). 텍스타일 디자인론. 서울: 교학연구사.
  7. 이효선. (2012). 명품 선호 경향을 반영한 한국 문화상품으로의 스카프디자인 개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유관호. (2007). The spirit of color. 서울: 태학원.
  9. 조배문. (2019). 텍스타일 디자인의 도식과 의미해석을 위한 분석체계 구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주은우. (2003). 시각과 현대성. 서울: 한나래.
  11. 최영훈. (1999). 색채학 개론. 서울: 미진사.
  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감성공간디자인. 서울: 기문당.
  13. 한석우. (1991). 입체조형: 이론과 실제. 서울: 미진사.
  14. Anna, M. (1998). 20세기 추상미술의 역사(전혜숙역). 서울: 시공사.
  15. Cyril, B. (1987). 옵아트(정미희 역). 서울: 미진사.
  16. David, A. L., & Stapled, f. (2002). 조형의 원리(이대일 역). 서울: 예경.
  17. Erbin, Panowsky. (2014).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심철민 역). 서울: 도서출판.
  18. Ernst, G. (2003). 예술과 환영(차미례 역). 서울: 열화당.
  19. Giedion, S. (1982). Space, time and architecture.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 Leon, B. A. (1998). 알베르티의 회화론(노성두 역). 서울: 사계절.
  21. Leon, B. A. (2011). 회화론(김보경 역). 서울: 기파랑.
  22. Jean, B. (1999). 사물의 체계(배영달 역). 서울: 백의.
  23. Naomi, A. (1999). 평면구성(김학성, 조역 역). 서울: 조형사.
  24. Rudolph, A. (1995). 미술과 시지각(김춘일 역). 서울: 미진사.
  25. Rudolph, A. (2004). 시각적 사고(김정오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6. Rudolph, A. (1995). 중심의 힘(정용도 역). 서울: 눈빛.
  27. Richard, D. J. (2007). 시지각과 이미지(박성완, 박승조 역). 서울: 안그라픽스.
  28. Stephane, V. (2012). 철학자의 디자인 공(이소영 역). 서울: 홍시.
  29. Shiraishi, K. (1989). 착시조형(김수석 역). 서울: 디자인하우스.
  30. Cube. (2006). 자료출처 개인소장 자료(직접촬영) Hommage a la Hexagone VI. (1969). 자료검색일 2019. 8, 15, 자료출처 https://www.moma.org/collection/works/69174
  31. Perspective. (2008). 자료검색일 2019. 7. 29, 자료출처 https://www.hermes.com/ri/en/product/perspective-scarf-90-H001570Sv27/
  32. Pique Selliers. (2009). 자료검색일 2019. 7, 25, 자료출처 https://www.hermes.cn/cn/en/product/giant-scarf-pique-sellier-perle
  33. Un Jardin dur le Toit scarf. (2019). 자료검색일 2019. 7. 25, 자료출처 https://www.hermes.com/ca/fr/product/gavroche
  34. Untitled. (n.d.). 자료검색일 2019. 8, 19, 자료출처 https://worldchesshof.org/exhibit/victor-vasarely
  35. Untitled #6. (1970). 자료검색일 2019. 8, 16, 자료 출처 http://gsfineart.com/artists/victor-vasarely/untitled6/
  36. 002 Tridim, (1968). 자료검색일 2019. 8, 19, 자료 출처 https://www.mutualart.com/Artwork/002-Tridim/5339D34E2AB442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