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개인 정보 보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

  • 투고 : 2020.09.26
  • 심사 : 2020.10.30
  • 발행 : 2020.10.31

초록

사이버공간 속 디지털문화의 융복합 윤리교육은 개인정보, 저작권 등 특정 영역에만 국한되고 있어 사이버 공간의 사용자인 디지털 네이티브들이 소통하고 공유하고 교류하는 사이버공간 속 정보수용능력과 정보 제공능력에 관한 교육은 미비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정보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의 개인정보를 남용하는 역기능이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 가장 많이 정보를 소통하고 교류하는 디지털네티즌들 가운데 대학교 1~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정보보안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사회회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양성의 근원적인 대책의 마련하고자 한다.

Convergence ethics education for digital culture in cyberspace is limited to specific area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nd copyright. Education on the ability to accept inform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in cyberspace in which digital natives communicate, share and exchange is inadequate. As a result, the dysfunction of abu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others withou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problem. In this study, among digital netizen who communicate and exchange information the most in cyberspace,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university, and then they investigated the change in information security perception. Based on this, we intend to prepare fundamental measures for systematic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necessary for the Digital Cultural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Tony Wagner, 'The Global Achievement Gap. ReadHowYouWant', 2010.
  2. ETS, 'Digital transformation: A framework for ICT literacy', USA: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02.
  3.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9(5), pp.1-6, 2001. https://doi.org/10.1108/10748120110424816
  4. Marc Prensky, "Digital Native, Digital Immigrant", MCB University Press, Vol. 9 No. 5, October 2001.
  5. Tapscott, D.,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HC. McGraw-Hill', 2009.
  6. Bawden, D.,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review of concepts", Journal of Documentation, 57(2), 218-259, 2001.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7083
  7. Gilster, Paul., 'Digital Literac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1997.
  8.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 Available: http://www.eavi.eu/joomla/what-we-do/researchpublications/70-study-on-assessment-levels-of-ml-in-europe, 2009.
  9. Larson, L.C., "Digital Literacy Checklist, Health Services", University of Washington, 2000.
  10. Larson, L.C., The Keypal project: Integrating literature response and technology. Kansas Journal of Reading, 18, pp.57-62, 2002.
  11. 유영만, "디지털 지식기반 사회의 필수능력-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개발", 한국연구재단, 2005.
  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지식정보역량개발지원을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지수개발 연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