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이 지각하는 군 신뢰가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rust in the Arm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Perception of National Security

  • 전경국 (선린대학교 국방기술의무계열)
  • 투고 : 2020.08.07
  • 심사 : 2020.10.28
  • 발행 : 2020.10.31

초록

국가안보는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국토를 보호한다는 의미에서 국가의 가장 중요한 책무 증 하나이다. 특히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의 정세는 국가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할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군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국가안보의식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울산 지역에 소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군에 대한 신뢰가 국가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신뢰 중 사회기여와 군사능력이 높게 평가된 반면 성실성과 조직문화특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 되었다. 둘째, 군 신뢰와 국가안보의식간에는 모두 유의적인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사회기여와 안보의식간의 상관관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군 신뢰 중 성실성, 조직문화특성, 군사능력의 순으로 국가안보의식에 유의적인 정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사회기여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The most important responsibility of a government is to protect citizen lives and its own territory from outside threats. Especially recent political changes surrounding the Korea Peninsula seriously threaten the korean national security. To copy the situation, perception of national security based on citizen's trust in the army is needed. Accordingly survey analysis on effect of trust in the army on perception of national security had been conducted on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Ulsan.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s follows. First, while social contribution and military abilities among trust in the army are highly evaluated, integrity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low evaluated. Second,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studying variabl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Bu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cial contribution and perception of national security is relatively low. Third, integrity, characteristics, and military abiliti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of national security, but social contribu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충남, 문순보, '민주시대 한국 안보의 재조명', 서울:도서출판 오름, 2012.
  2. 이홍기, "포괄안보시대 융합적 안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제1권, pp 143-159, 2015.
  3. 박통희, "신뢰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2호, pp. 34-57, 1999.
  4. 이덕건, "군조직에서 리더십 유형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변혁적, 거래적, 윤리적 리더십을 중심으로",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 Lewis, J. D. and Weigert, A., "Trust as a socialreality", Social Forces, Vol. 63, pp. 967-985, 1985. https://doi.org/10.1093/sf/63.4.967
  6. Lewicki, R. J., McAllister, D. J. and Bies, R. J.,"Trust and distrust: New relationships and realit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3, No.3, 438-458, 1998. https://doi.org/10.5465/AMR.1998.926620
  7. Bhattacharya, R., Devinny, T. M., and Pillutla, M. A., "A formal model of trust based on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3, No.3, pp. 459-472, 1998. https://doi.org/10.5465/AMR.1998.926621
  8. 김태웅, "청소년의 정보원 이용이 군 이미지, 복무 의사,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Mayer, R. C., Davis, J. H. and Schoorman, F. D.,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0, pp. 709-734, 1995. https://doi.org/10.5465/AMR.1995.9508080335
  10. Butler, J. K., "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 Journal of Management, Vol. 17, pp. 643-663, 1991.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307
  11. Butler J. K. Jr. and Cantrell, R. S., "A behavioral decision theory approach to modeling dyadic trust in superiors and subordinates", Psychological Reports, Vol. 55, pp. 19-28, 1984. https://doi.org/10.2466/pr0.1984.55.1.19
  12. 류병목, "군복무만족도와 안보관심도가 애국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3. 전상조, "대학생의 안보의식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4. Mayer, R. C., Davis, J. H. and Schoorman, F. D.,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0, pp. 709-734, 1995. https://doi.org/10.5465/AMR.1995.9508080335
  15. 이종범, '국민과 관료제', 서울: 고려대학교, 1988.
  16. 김형렬, '정책학', 서울: 법문사, 2002.
  17. 강용기 등, '새내기를 위한 행정학', 서울:대영문화사, 2001.
  18. 윤정현, "신흥안보거버넌스:이론적 고찰과 대안적 분석틀의 모색", 국가안보와 전략, 제19권 제3호, pp. 179-211, 2019.
  19. 김구섭, '국민 안보의식 진단과 처방', 서울:한국국방연구원, 2011.
  20. 장노순, "사이버안보 위협, 대응전략 그리고 한국적 함의", 국가안보와 전략, 제19권 제2호, pp. 88-112, 2019.
  21. Lippman, Walter, U.S. Foreign Policy: Shield of the Republic, Boston: Little Brown & Co, 1943.
  22. 이영균, "입대전 신세대의 국가안보에 관한 인지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6권, 제1호, pp, 47-74, 2002.
  23. 윤민우, "국가안보에 관한 다루어지지 않던 논의들", 한국국가안보, 국민안전학회지, 제1권, pp. 243-272, 2015.
  24. 김용현, 박영주, "국가정체성 확립을 위한 대학생의 안보의식 실태 및 고취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1호, pp. 187-213, 2011.
  25. 백승도, "대학생들의 안보의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2호, pp. 108-122, 2012.
  26. 김종영, 황중호, 이규웅, "국민 안보의식 제고 방안", 전략논단, 제9권, pp. 214-243, 2008.
  27. 김병조, "사회안보 이론의 한국적 적용:도입, 채택, 발전", 국방연구, 제54권, 제1호, pp. 1-24, 2011.
  28. 조인상, "군 이미지에 관한 통합적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9. 이경호, "정보공개와 책임표명의 차이가 책임 귀인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군 내 사건, 사고 발생 시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30. 한정택, "국가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안보 의식조사 결과 분석-대학생의 방첩의식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략, 제10권 제4호, pp76-94, 2010.
  31. 조세영, "공군에 대한 내.외부 공중의 이미지 비교연구: Q 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2. 황기식,김현정, "한국 사이버안보 대응체제에 관한 민관 인식의 격차", 국가안보와 전략, 제17권 제2호, pp. 76-94, 2017.
  33. 한국정치외교사학회, '국민의 호국 안보의식 제고 방안 청소년들의 한국전쟁 통일 안보 국가현실에 관한 의식조사', 1997.
  34. 김기정, "국민 안보의식 변화와 한반도 평화", 통일연구회의총서, 제4권, 제7호, pp. 43-88, 2004..
  35. 성백선, "안보교육과 안보의식 향상:4년제 대학생 의식조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