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Reuse O2O Service in Domestic Accommodation

국내 숙박 O2O서비스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정균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 김인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20.07.29
  • Accepted : 2020.11.26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dually increase the use of O2O services in recent years. It is a part of our daily lives, and accommodation/leisure is a part of the growing use of O2O services. Based on various prior research related to O2O service, the Commission intends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and necessity of empirical research an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O2O service impact factors and practical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nalyzed what factors affected the intention of re-use of domestic accommodation O2O services. This research model was proposed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paper, and reliability, diversity, economics, leisure, safety and personaliza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practical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are parameters, and reuse intent is composed of dependent variables. Within the last year, users of domestic accommodation applications were selected as users who used domestic accommodation applications more than once, and data of domestic accommodation application user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0.0 programs.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conomic efficiency, safety and personaliza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actical val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2O service impact factors and their impact on practical values. On the other hand, reliability, diversity and leisur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practical values. In terms of O2O service impact factors and their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leisure and safe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reliability, diversity, economics, and individualization have shown no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Practical values, parameter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ere also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actical valu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도, 조성갑, "모바일 쇼핑몰 플랫폼 시스템 속성이 구매력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 고상, 이승구, 한명훈, "관광이벤트 브랜드 및 SNS정보와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8권 제4호, 2019, pp. 223-234.
  3. 고은주, 이은경,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 김경희,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 만족 및 재방문의도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2018, pp. 173-181. https://doi.org/10.5392/JKCA.2008.8.3.173
  5. 김성년, 한경석, 남상완, 안용준, " O2O 공공자전거 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지, 제20권 제4호, 2019, pp. 867-879.
  6. 김선영, 오경수, "모바일 서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5권 제10호, 2015, pp. 535-546.
  7. 김춘연, 황진숙, "모바일 패션 쇼핑에서의 쇼핑퀄리티, 쇼핑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김현경, 이문규, 김해룡,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평가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6권 제3호, 2001, pp. 127-148.
  9. 김형모, "O2O서비스 전략방향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54권, 2016, pp. 251-262.
  10. 김혜심, 김창봉, "호텔에 관한 SNS정보 및 모바일 앱(APP)이 호텔 고객의 만족도 및 신뢰 그리고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1. 박병기, 전상택, "중국인터넷쇼핑몰에서 지각된 실용적 가치와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2017, pp. 67-88.
  12. 박수용, "점포의 혼잡성, 쇼핑 감정, 쇼핑 가치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제6권 제2호, 2008, pp. 61-79.
  13. 박수현, 유동구, "호텔 이용고객의 실용적 가치가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 및 구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5권 제8호, 2013, pp. 153-172.
  14.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도서출판 대경, 2002.
  15. 부려, 최규환, "O2O 여행상품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15권 제1호, 2019, pp. 51-66.
  16. 심지숙, 김기영, "로스터리 커피전문점의 커피 메뉴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7. 안기훈, 서영호, "O2O플랫폼 서비스 품질요인이 만족과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문/배달 앱 서비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8. 염군, 김인재, "유튜브 뷰티 채널의 선호도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28권 제3호, 2019, pp. 25-38. https://doi.org/10.5859/KAIS.2019.28.3.25
  19. 이문봉, 이옥, "배달앱 서비스의 온.오프라인 품질요인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29권 제3호, 2020, pp.215-236. https://doi.org/10.5859/KAIS.2020.29.3.215
  20. 이현실, 양지안, "SPSS/AMOS 논문통계분석 내비게이션", 한나래출판사, 2017.
  21. 임정우, 전현모, "호텔 예약 앱의 서비스품질이 앱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대확신 모델적용",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12호, 2018, pp. 161-179.
  22. 전수부, 이종호, "중국호텔 O2O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7호, 2016, pp. 35-50.
  23. 전표훈, 안광호, "O2O 커머스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불확실성 회피성향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24. 정민화, 차길수, "O2O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고객만족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5. 조용범, 조은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O2O 서비스 특성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렌오더(Siren Order)서비스를 중심으로",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5권 제6호, 2019, pp. 67-78.
  26. 주형준, 서현석, "온라인쇼핑 환경에서 소비자 의사결정 성향이 쇼핑 가치와 관계유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1호, 2014, pp. 143-164.
  27. 최민서, 허경석, 변정우, "모바일 서비스 특성이 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8권 제5호, 2016, pp. 185-203.
  28. 최지혜, 이승곤, 이기종, "항공사의 물리적 환경, 선택속성 및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9. 하혜림, 정유경, "이용 동기와 정보기술수용모델기반 O2O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0. Bagozzi, R. P. and Yi, Y. J.,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6, NO. 1, 1988, pp.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31. Bentler, P. M. and Bonett, D. G.,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Journal of Psychological Bulletin, Vol. 88 No. 3, 1980, pp. 588-606.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32. Bitner, M. J.,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Vol. 54, No. 4, 1990, pp. 69-82. https://doi.org/10.1177/002224299005400206
  33. Doll, W. J., Xia, W. and Torkzadeh, G., "A confirmation of factor analysis of the end-user computer satisfaction instrument", MIS Quarterly, Vol. 18, No. 4, 1994, pp. 453-461. https://doi.org/10.2307/249524
  34. Fornel, C. and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February, 1981, pp. 19-50.
  35.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 Anderson, R. 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0.
  36. Hunt, S. D., "The Three Dichotomies Model of Marketing: An Elaboration of Issues", en C. C. Slater (Ed.), Macromarketing: Distributive Processes From a Societal Perspective, 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Business Research Division., 1997, pp. 52-56.
  37. Mitchell, V. W. and Walsh, G., "Gender differences in german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Vol. 3, No. 4, 2004, pp. 331-346. https://doi.org/10.1002/cb.146
  38. Oliver, R. L.,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Mc Graw-Hill, 1997.
  39. Park, "Effects of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mobile SNS website quality attributes", M. A. degre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Changwon Korea, Dec. 2011.
  40. Ryu, K. and Jang, S., "The Effect Environmental Perceptions on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Emotions: the Case of Upscale Restaurants",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Vol. 31, No. 1, 2007, pp. 56-72. https://doi.org/10.1177/1096348006295506
  41. Richins, M. L., "Measuring emotions in the Consumption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24, No. 2, 1997, pp. 127-146. https://doi.org/10.1086/209499
  42. Sproles, G. B. and Kendall, E. L., "A methodology for profiling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20, No. 2, 1986, pp. 267-279. https://doi.org/10.1111/j.1745-6606.1986.tb00382.x
  43. Zeithaml, V.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Vol. 52, No. 3, 1998, pp. 2-22. https://doi.org/10.2307/1251446
  44. 국립중앙과학관, O2O, 2020, https://smart.science.go.kr/.
  45. 서울경제, 국내 O2O거래액 100조 돌파 눈앞, 2020, https://www.sedaily.com/.
  46. 이데일리, 황금연휴 국내 숙소 이용률 50% 급증, 2020, https://www.edaily.co.kr/.
  47. 숙박매거진,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 인덱스, 2020, http://www.sukbakmagazine.com/news/.
  48. 통계청, 2020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및 1/4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동향, 2020, https://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