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odern Architecture Remodeling Design Technique through Analysis of Hygrothermal Simulations - Focusing on Ji-Sung Accommodation's wall in Gwangju -

근대건축물 리모델링을 위한 습열 거동 분석을 통한 설계기법 연구 -광주 지성고시원 외벽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10.05
  • Accepted : 2020.11.02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domestic of modern architectural remodeling method emphasizes simple aesthetic elements, and the correct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are not established based on quantitative grounds, thus damaging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attempts to re-examine the value of modern buildings recognized as old buildings. It is a basic step to present the correct remodeling of the building. The design criteria for exterior wall remodeling of modern buildings were presented. These research results are suitable for energy conservation design standards and can prevent defects in buildings. In the future, more accurate analysis will be required by securing physical property values for various domestic material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과제번호: 20PIYR-B153277-02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 법률 제12739호, 2018
  2. 강성원, 20세기 전반기 양식 건축구법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 강유진.김수민, WUFI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목조주택 벽체 레이어 구성에 따른 hygrothermal 성능 평가, 한국목조공학회, 44권 1호, 2016
  4. 권기혁, 근대건축유산의 구조특성을 고려한 보수.보강 사례, 대한건축학회, 59권 4호, 2015
  5. 권혜주.최정만, 습열 거동 분석을 통한 국내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방습층에 관한 문제점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6권 1호, 2019
  6. 김동준, 재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근대건축물 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김란기, 근대건축 문화재 보존수리복원, 발언, 2018
  8. 김성조.김영태, 근대건축 문화유산의 보전가치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4권 1호, 2012
  9. 박재민.성종상,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41권 1호, 2013
  10. 박한솔.성종상, Q방법론을 이용한 일본식 건물군의 근대문화유산 가치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조경학회, 47권 6호, 2019
  11. 배진아.김종성, 김현숙, 군산 근대 주거 건축물 특징과 '근대·일반 건축물 리모델링 보조사업'에 의한 변화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9권 6호, 2018
  12. 심경미.차주영,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운영을 위한 정책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13. 유광흠, 지역건축자산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관리기반 마련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14. 윤성훈.이정수, 해외 근대건축물 리모델링 수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15. 윤인석, 근대 건축문화유산 보존 활성화를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개선 연구, 문화재청, 2007
  16. 이규철.이민경, 근대건축물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가치 평가 기준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17. 이승규, 근대건축문화재의 구조안전관리 제도 체계화를 위한 기초연구, 문화재청, 2016
  18. 이윤희.유혜란.권기혁, 근대 건축물에 사용된 서양식 목조 지붕 트러스의 구조요인 및 기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권 4호, 2011
  19. 전남대학교 건축역사연구실, 2012 근대건축물 기록화 보존사업-기록화보고서, 2013
  20. 정이순, 근대건축물의 보전을 위한 선정기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1. 조용희, 근대건조물의 보존 및 재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2. 조인성.오상목.천득염.오세규, 근대건축물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계획 비교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23. 최찬의.유주연, 근대건축물의 등록문화재 등록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감정평가학회, 17권 3호, 2018
  24. (사)한국건축역사학회,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사례, 문화재청, 2006
  25. Par Johansson.Stig Geving.Carl-Eric Hagentoft.Bjorn Petter Jelle.Egil Rognvik.Angela Sasic Kalagasidis.Berit Time, Retrofitting a brick wall using vacuum insulation panels: measured hygrothermal ef ect on the existing structure, Nordic Symposium on Building Physics, 2014
  26. Stefan Biclmair.Marin Krus.Ralf Kilian, Testing a new method for VIP interior insulation for heritage buildings, Nordic Symposium on Building Physics, 2014
  27. Stefan Bichlmair.Ralf Kilian.Martin Krus.Klaus Sedlbauer, Building simulation modelling of the historic building Linderhof Palace taking account visitors, The Canadian Conference on Building Simulaton, 2012
  28. Viitanen, H.; Krus, M.; Ojanen, T.; Eitner, V.; Zirkelbach, D.: Mold risk classification based on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established growth models. In: Energy Procedia 78, 2015, 1425-1430쪽 https://doi.org/10.1016/j.egypro.2015.11.165
  29. 국제신문, http://www.kookje.co.kr, 2018.05.27.
  30. KBS NEWS, https://news.kbs.co.kr, 201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