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ve aspects of the polysemic sentence final ending "-(eu)lgeol"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Eu)lgeol" has two different meanings, that is, a guess and a regret, and these different meanings are expressed by the different prosodic features of the last syllable of "-(eu)lgeol". To examine how Korean native speakers perceive "-(eu)lgeol" sentences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he most saliant prosodic variable for the semantic discrimination of "-(eu)lgeol" at the perceptive level, we performed a perceptual experiment. The analysed material constituted four Korean sentences containing "-(eu)lgeol" in which two sentences expressed guesses and the other two expressed regret. Twenty-five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perceptual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rk whether "-(eu)lgeol" sentences they listened to were (1) definitely regrets, (2) probably regrets, (3) ambiguous, (4) probably guesses, or (5) definitely guesses based on the prosodic features of the last syllable of "-(eu)lgeol". The analysed prosodic variables were sentence boundary tones, slopes of boundary tones, pitch difference between sentence-final and penultimate syllables, and pitch levels of boundary tone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analysed prosodic variabl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mantic discrimination of "-(eu)lgeol" and among these prosodic variables, the most salient role in the semantic discrimination of "-(eu)lgeol" is pitch difference between sentence-final syllable and penultimate syllable.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이 발화한 한국어 동형다의 종결어미 '-(으)ㄹ 걸' 대한 한국어 원어민화자들의 지각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으)ㄹ 걸'의 청지각적 의미 변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운율변수를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형다의 종결어미는 하나의 형태로 두 개 이상의 의미를 전달하는 종결어미를 일컫는다. 지금까지 외국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동형다의 종결어미에 대한 연구는 외국인학습자들의 발화문을 원어민 화자의 발화문과 비교·분석하여 음운론적·음성학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발화정확도나 오류유형을 측정하는 데 집중되었다. 이로 인해 원어민화자와의 유사성과 차이점이 '-(으)ㄹ 걸'의 의미 판별에 실제로 유의미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청지각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동형다의 종결어미 문장이 한국어 원어민화자들에게 어떤 양상으로 지각되는지 분석하여 동형다의 종결어미 억양교육에 필요한 운율 규범을 상정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험자료 산출에는 한국어 숙달도 중·고급에 해당하는 10명의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이, 지각 실험에는 20대의 한국인 원어민화자들이 참가하였다. 분석 자료는 '-(으)ㄹ 걸'이 추측으로 사용된 두 문장과 후회로 사용된 두 문장이다. 10명의 중국인화자들이 4개의 실험문장을 4회 반복 발화분이 지각실험 자료로 사용되었다. 지각실험참가자들은 실험 자료를 들으면서 문장 경계성조의 억양에만 의존하여 '-(으)ㄹ 걸'의 의미와 정확성 정도를 판별하였다. 25명의 청취실험자들의 지각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한 추측, 추측, 모호함, 후회, 정확한 후회로 지각된 문장들의 운율변수, 즉 경계성조, 경계성조의 기울기, 경계음절과 선행음절 간 피치편차, 경계음절의 피치레벨을 측정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상기된 모든 운율변수가 '-(으)ㄹ 걸'의 의미변별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운율변수가 커질수록 추측으로 작아질수록 후회문장으로 지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의미변별에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운율변수는 피치편차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으)ㄹ 걸'의 발화에서 마지막 두 음절의 피치 조절로 두 의미를 변별하여 발화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으)ㄹ 걸'의 억양교육에서 보다 객관적이고 유의미한 규범적 운율 요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