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he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mall Hall Remodeled as a Lecture Room : Based on the case of the W University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된 대학 소공연장의 주관적 음향성능 평가 : W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 Received : 2020.08.25
  • Accepted : 2020.11.30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Recently, the form of education has changed from one-way to two-way and mutual exchange rather than the existing one-way order form,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reating a suitable learning environment for each type of education. The basic form of education consists of the delivery of knowledge, that is, the delivery of knowledge by teachers to education consumers through voice delivery, so the sound environment is considered an essential factor in creating a pleasant learning environment. The indoor sound environmen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mental stress of the inmate, so the quality level of education will also change great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ppropriate sound environment is created.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sound environ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classrooms has not been highlighted due to the lack of research and related laws on the sound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uditory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auralization based on the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data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y. Through this, we wan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satisfaction of the occupant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sound environ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through remodeling in the future will be possible to verify whether the sound environment suitable for educational facilities is created only after the analysis stage on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sound performance as well as physical sound performance.

교육의 기본적인 형태는 지식의 전달, 즉 음성 전달을 통해 교수가 교육수요자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므로 쾌적한 학습 환경 조성에 있어 음환경은 필수적인 고려 요소이다. 실내 음환경은 재실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음환경의 조성 여부에 따라 교육의 질적 수준 또한 크게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물리적 음향성능 자료를 바탕으로 가청화 기법을 활용한 청감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강의전용 공간의 물리적 음향성능 개선에 따른 주관적 음향성능의 만족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강의전용 공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원 6개를 선정하여 8개의 어휘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음향성능의 개선에 따라 주관적 음향성능도 개선되었으며 소공연장을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한 후 "음악"에 대한 주관적 반응보다 "음성"에 대한 주관적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나 음성 전달에 보다 적합한 공간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교육시설의 음환경 개선 시 물리적 음향성능 뿐만 아니라 청감실험을 통한 주관적 음향성능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수(2014). 건축음향.
  2. 김민주, 윤지성, 김재수(2018). 대학 소공연장의 음향성능실태 분석",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3. 정민현, 김민주. 김재수(2018). 음향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학소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4. 김민주, 김재수(2018). 대학 소공연장을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시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5. 김민주, 김재수(2018). 강의전용 공간으로 리모델링된 대학 소공연장의 주관적 음향성능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6. 구자경, 김재수(2016). 가청화를 이용한 리모델링 전후 한팩연습장의 음향성능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7. 남승훈, 김재수(2015). 가청화를 이용한 대학 공연장의 주관적 음향성능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8. John iley & Sons,Inc(1948). F.R.atson, Acoustics of Buildings.
  9. Leo L. Beranek(1962). Rating of Acoustical Quality of Concert Halls and Opera Houses.
  10. Elsevier Applied Science(1991). Heinrich Kuttruff, Room Acoustics.
  11. Leo Beranek(1996). Concert and Opera Halls.
  12. M.David Egan(1972). Concepts in Architectural Acoustics.
  13. Michael Barron(1993). Auditorium Acoustics and Architectural Design.
  14. Yochi Ando(1998). Architectural Acou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