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on Their Smartphone Overus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 투고 : 2020.10.13
  • 심사 : 2020.12.04
  • 발행 : 2020.12.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on their smartphone overuse an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ir smartphone overuse.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 274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2 to 4 years old.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ir smartphone overuse. Second, Their emotionalit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mothers' play participation. Finally, the mothers' play participa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ity and smartphone overus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rent education for supporting mothers' play participation to prevent children from developing smartphone overuse.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12).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01721327에서 2020년 10월 20일 인출
  2. 구현영 (2011). 아동과 부모의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교육 요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96-305. doi:10.5977/JKASNE.2011.17.2.296
  3. 권미경, 박현숙, 유주희, 한경옥 (2016). 유아기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4), 121-138. doi:10.15284/kjhd.2016.23.4.121
  4. 권연정 (2014). 만 2세반 영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9(1), 213-242. doi:10.16978/ECEC.2014.9.1.009
  5. 권장희 (2012. 10). 스마트 기기 등 영상 미디어가 영유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아지원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강연 논문, 서울.
  6. 김경은 (2011).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인간 발달연구, 18(4), 1-17.
  7. 김기현, 조복희 (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8. 김송이 (2016). 유아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관계에서 애착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송이, 김현수 (2016). 유아의 자극추구 및 위험회피 기질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모-유아 애착안정성의 매개 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1(3), 45-63
  10. 김은영, 임신일 (2014). 스마트폰 과다사용 증상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청소년학연구, 21(6), 255-279.
  11. 김지윤, 도현심, 김민정 (2008). 부부갈등과 유아의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133-150.
  12. 김태숙 (2016).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수, 이미연 (2017).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 있는 유아 개인 변인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2(1), 1-21. doi:10.23931/kacp.2017.12.1.01
  14. 남혜순 (2003). 어머니가 지각하는 유아의 기질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아동교육, 12(2), 121-135.
  15. 마은실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유아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경임 (2017).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사용과 부모 관련 변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소영,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자군에 따른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3), 25-45. doi:10.15284/kjhd.2015.22.3.25
  18. 박옥순 (2018).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정아 (2018).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지영 (2015). 부모교육을 병행한 놀이중심현실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박진아, 이경숙, 전연진 (2014). 0-3 세 영유아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1), 55-70. doi:10.18205/KPA.2014.19.1.003
  22. 박혜원 (2012).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변희숙, 권순용 (2014). 초등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3(4), 303-317.
  24. 송경은 (201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송은혜 (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성철, 이기영 (2015). 스마트폰 과다사용 청소년의 위험요인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적응 유연성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4(4), 221-236. doi:10.17643/KJCE.2015.24.4.12
  27. 신광우, 김동일, 정여주 (2011).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고도화(3차)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8. 신지연 (2011).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291-312.
  29. 원희영 (1998).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유지형, 문혜련 (2017).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 39-63. doi:10.22590/ecee.2017.21.1.39
  31. 이정림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 실태 및 보호대책.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2.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윤태정 (2015). 만 3, 4,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경아 (2013). 중학생의 기질 및 성격, 애착과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5. 이금희, 김성재, 유혜진 (2020).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한 부모요인 규명: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3), 349-368. doi:10.4040/jkan.19186
  36. 이미연 (2014).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변인 연구: 유아 성별, 스마트폰 처음사용 연령, 스마트폰 사용능력 및 기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 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영석, 성영화 (2006).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37-159.
  39.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다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정숙, 문보경 (2010). 유아의 기질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4), 55-74.
  41. 이한나 (2017).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현주 (2014).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문제행동 및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혜은 (2005).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놀이성 및 어머니의 놀이 참여 수준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임선영 (2013). 가정에서 유아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허용과 인식: 계양구 유아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임연정 (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특성(기질, 자기통제, 문제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임희수 (1994). 첫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관련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장유진, 이강이 (2014). 영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부정 정서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유아교육연구, 34(3), 67-84. doi:10.18023/kjece.2014.34.3.004
  48. 전미경 (2017). 어머니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놀이성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전미순 (2009).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모 반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정지혜 (2011).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방어기제와 휴대폰 과다사용 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조인영 (2016).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의 관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차가정, 곽승주 (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분석-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연구, 8(2), 77-109.
  53. 천희영 (2015). 만 4 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doi:10.14698/jkcce.2015.11.153
  54. 최혜순, 김찬숙 (2011).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117-133.
  55. 하승수 (2012).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기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http://www.schoolhealth.kr/web/bbs/selectBBSList.do?bbsTyCode=BBST01&bbsId=0106&lstnum1=1530&pageIndex=1&pageUnit=10&dataType=&searchCnd=&searchWrd=에서 2020년 10월 28일 인출
  57. 한영숙 (2006).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아버지 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89-212.
  58. 황태경, 손원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중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4(1), 69-83.
  5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60. 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61.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2. Buss, A. H., & Plomin, R. (201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New York: Psychology Press.
  63. Common Sense Media (2013, October). Zero to Eight: Children's Media Use in America, 2013. Retrieved November 12, 2020 from https://www.commonsensemedia.org/research/zero-to-eight-child-rens-media-use-in-america-2013
  64. Coplan, R. J., Bowker, A., & Cooper, S. M. (2003). Parenting daily hassles,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3), 376-395. doi:10.1016/s0885-2006(03)00045-0
  65. Clark, L. A., Kochanska, G., & Ready, R. (2000). Mothers' personality and its interaction with child temperament as predictor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2), 274-285. doi:10.1037/0022-3514.79.2.274
  66.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doi:10.2307/1131543
  67. Eisenberg, N., Zhou, Q., Spinrad, T. L, Valiente, C., Fabes, R. A., & Liew, J. (2005). Relations among positive parenti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xternalizing problems: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76(5), 1055-1071. doi:10.1111/j.1467-8624.2005.00897.x
  68. Goldsmith, H. H., Buss, A. H., Plomin, R., Rothbart, M. K., Thomas, A., Chess, S. et al. (1987). Roundtable: What is temperament? Four approaches. Child Development, 58(2) 505-529. doi:10.2307/1130527
  69. Hemphill, S. A., & Sanson, A. (2000, July). Relations between toddler and preschooler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 in an Australian sample.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Development, Beijing, China.
  70. Kirchhoff, C., Desmarais, E. E., Putnam, S. P., & Garstein, M. A. (2019).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western cultures: Toddler temperament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in the United States (US) and Germany.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57, 101366. doi:10.1016/j.infbeh.2019.101366
  71. Kochanska, G., Friesenborg, A. E., Lange, L. A., & Martel, M. M. (2004). Parents' personality and infants' temperament as contributors to their emerging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5), 744-759. doi:10.1037/0022-3514.86.5.744
  72. Lee, C. L., & Bates, J. E. (1985). Mother-child interaction at age two years and perceived difficult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56(5), 1314-1325. doi:10.2307/1130246
  73. Paterson, G., & Sanson, A. (1999). The association of behavioural adjustment to temperament, parenting and family characteristics among 5‐year‐old children. Social Development, 8(3), 293-309. doi:10.1111/1467-9507.00097
  74. Putnam, S. P., Sanson, A. V., & Rothbart, M. K. (2002).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Children and parenting 2nd ed., Vol. 1 (pp. 255-277). Mahwah, NJ: Erlbaum.
  75. Putnam, S. P., & Stifter, C. A. (2005). Behavioral approach-inhibition in toddlers: Prediction from infancy,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e components, and relations with behavior problems. Child Development, 76(1), 212-226. doi:10.1111/j.1467-8624.2005.00840.x
  76. Shiner, R., & Caspi, A. (2003).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1), 2-32. doi:10.1111/1469-7610.00101
  77. Shiner, R. L., Buss, K. A., McClowry, S. G., Putnam, S. P., Saudino, K. J., & Zentner, M. (2012). What is temperament now? Assessing progress in temperament research on the twenty‐fifth anniversary of Goldsmith et al.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6(4), 436-444. doi:10.1111/j.1750-8606.2012.00254.x
  78.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79. Yagmurlu, B., & Altan, O. (2010). Maternal socialization and child temperament as predictors of emotion regulation in Turkish preschool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9(3), 275-296. doi: 10.1002/icd.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