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진료현장에서의 분석심리학 :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접하는 문제들의 분석심리학적 접근 경험

Analytical Psychology in Psychiatric Clinics

  • 박상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Sang-Hag Par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20.10.31
  • 심사 : 2020.12.22
  • 발행 : 2020.12.25

초록

분석심리학은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만나는 환자들을 이해하는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수련 중인 젊은 정신과 의사들을 교육하면서 분석심리학의 지식이 어떤 때 필요한가를 고민해 봤다. 저자가 환자를 진료하면서 흔히 접하게 되는 몇 가지 주제들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우리를 찾아오는 환자들은 증상(문제점)을 가지고 온다. 고통을 느끼며 동반 된 증상은 없애야 할 병리 현상이기 전에 환자의 내면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이다. 비슷한 증상의 호소나 문제라도 그 환자가 인생의 전반기의 환자인지 후반기의 사람인지에 따라서 치료자의 접근하는 태도를 달리할 수 있다. 치료자는 환자가 말하는 내용과 거기에 더해서 말하지 못하거나 알지 못하는 부분까지를 알려고 노력해야 한다. 의식에 더해 무의식까지를 본다는 것이 전체를 보려는 분석심리학의 관점이다. 환자를 보면서 초기에 치료 방법의 적응증과 금기를 판단할 때도 진단이 중요하지만, 치료자의 경험을 포함한 능력도 치료 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환자가 호소하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옳고 그름이 아닌 현상 그 자체를 사실로 인정하는 현상학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 증상이 무슨 까닭에 발생했는지 원인론적인 관점을 묻는 동시에 왜 하필이면 지금 그리고 무슨 목적으로라는 의문에 환자와 함께 치료자는 답을 찾으려 해야 한다. 치료자는 환자의 고통을 해소해주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그 고통의 의미를 함께 찾아보고, 환자에게서 치료의 가능성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환자가 말하는 것을 듣는 법부터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이해하고 꿈이나 민담과 신화에 관한 관심까지 진료현장에서 분석심리학적 지식은 다각적으로 적용된다. 결론적으로 분석심리학은 실용적이며 유용한 치료적 도구로서 실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서 폭넓게 사용 가능한 학문 분야이다. 환자를 이해하는데 또 치료자 스스로가 치료의 도구가 되려는 이의 교육과 성장에도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How does analytical psychology help understand patients at general psychiatric clinics? It'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knowledge of analytical psychology can help young psychiatrists who are in training. Patients who come to us bring symptoms(problems). Symptoms can be compared to tickets to a movie theater. Symptoms accompanied by complaints of pain are not only pathological phenomena to be eliminated, but an important pathway to access the patients' inner problems. In terms of seeing the whole, the point of view in analytical psychology is to see the unconscious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even the elements the patients do not speak or know of. When determining indications and contra-indications during the initial process of treating a patient, it is more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therapist's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than the patient's condition or limitations The approach to complaints of the same symptoms may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patient is in the first half or the second half of one's life. Analytical psychology is empirical psychology that experiences and it adheres to a phenomenological position that recognizes the phenomenon as true in itself, not logically right or wrong. The analytical psychological view of understanding mental phenomena asks the causal perspective of why the symptoms occurred. At the same time, the therapist, along with the patient, must seek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y now and for what purpose. A therapist is a person who experiences the patient's personal development process together. In analytical psychotherapy, the therapist's attitude is more emphasized than the treatment method or technique; it is regarded as of the utmost importance. In this regard, analytical psychology is a practical and useful therapeutic tool, and is a field of study that can be widely used in actual psychiatric clinics.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patient, it is also the most important discipline for the therapists, especially for the education and growth of those who want to become a treatment tool themselve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7년 조선대학교 병원 선택진료 학술 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

참고문헌

  1.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2016) : 이부영 역, ≪C.G.융 우리 시대 그의 신화≫, 한국 융연구원. 서울.
  2.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2018) : 이부영, 이광자 역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 융 연구원, 서울.
  3. 바바라 한나(2013) : 심상영, 김영종 역, ≪융, 그의 삶과 저작≫, 한국 심층 심리연구소, 서울.
  4. 아니엘라 야훼(2012) : 이부영 역, ≪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5. 이부영(2002) :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6. 이부영 (2011) : ≪분석심리학- C.G. 융의 인간 심성론, 3판≫, 일조각, 서울.
  7. 이부영 (2014) : ≪분석심리학 이야기≫, 집문당, 서울.
  8. 이부영 (2016) : ≪그림자≫ 한길사, 서울.
  9. 한국 융 연구원(2008) : 한국 융 연구원-설립 목적과 사업, 수련규정, 과 http//www.jung.re.kr 홈페이지 참조.
  10. Fraser Boa(2001) : 박현순, 이창인 공역, ≪융 학파의 꿈 해석≫, 학지사, 서울.
  11. Jung CG(1986) : Analytical Psychology : its Theory and Practice, London and Henley, Routledge & Kergan Paul, 1968, 홍성화 역 ≪분석심리학, C.G. Jung의 Tavistock 강의≫, 교육 과학사, 서울.
  12. Jung CG(2006) : 한국 융 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 역, ≪융 기본 저작 집 2권, 원형과 무의식≫, 솔, 서울.
  13. Jung CG(2007a) : 한국 융 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 역, ≪융 기본 저작 집 1권, 정신요법의 기본 문제≫, 솔, 서울.
  14. Jung CG(2007b) : 한국 융 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 역, ≪융 기본 저작 집 3권, 인격과 전이≫, 솔, 서울.
  15. Jung CG(2013) : 이부영 외 역, ≪인간과 상징≫, 집문당, 서울.
  16. Jung CG(2014) : 정명진 역≪정신분석이란 무엇인가≫, 부글, 서울.
  17. Jung CG(2016a) : 정명진 역 ≪꿈의 분석 Dream analysis≫, 부글, 서울.
  18. Jung CG(2016b) : 김세영, 정명진 옮김 ≪AION≫ 도서출판 부글, 서울.
  19. Jung CG(1974) : Translated by R.F.C. Hull, Freud and Psychoanalysis,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and Henley.
  20. Jung CG(1977) : A revision by R.F.C. Hull of the Translation by H.G. Baynes, Psychological types,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and Henley.
  21. Jung CG(1978) : Translated by R.F.C. Hull, Aion, Researches into the phenomenology of the self, 2nd edition,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and Hen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