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라사국립애이미탑십박물관(俄羅斯國立艾爾米塔什博物館)·서북민족대학(西北民族大學)·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편(編) 『아장구자예술품(俄藏龜玆藝術品)』,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2018 (『러시아 소장 쿠차 예술품』)

The State Hermitage Museum·Northwest University for Nationalities·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Kuche Art Relics Collected in Russia 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2018

  • 투고 : 2020.09.20
  • 심사 : 2020.11.18
  • 발행 : 2020.12.20

초록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 3층 맨 우측에는, 세계 유수의 실크로드 미술 컬렉션을 상설전시하는 "중앙아시아실"이 자리 잡고 있다. 20세기 초 실크로드를 학술조사한 러시아의 코즐로프(Pyotr Kozlov), 베레조프스키(Mikhail Berezovsky), 올덴부르그(Sergey Oldenburg) 등에 의해 수집된 고고 미술품 들이다.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방대한 이들 유물은 그 대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역별로 분류하여 공개중이며, 이제까지 독일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한국, 일본 등에서 개최된 특별전시를 통해 그 일부를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러시아 실크로드 탐험대의 성과물을 종합적으로 공개한 대형 기획전시 이 2008년에 에르미타주 박물관에서 개최됨으로써, 러시아의 실크로드 관련 유물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번에 간행된 『아장구자예술품(俄藏龜玆藝術品)』(2018)은 중국의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가 에르미타주 박물관과 공동으로, 당관 소장 실크로드 유물 가운데 쿠차 지역의 예술품만을 선정하여 출판한 도록이다. 이 도록의 편집과 논고 및 유물 해설은 에르미타주 박물관 동양부(Oriental Department)의 시니어 큐레이터 키라 사모슉(Dr. Kira Samosyuk)이 담당하였다. 키라 박사는 하라호토(Khara-Khoto)와 서역(西域) 미술 전문가로, 그 이름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중앙아시아 불교미술 연구의 석학이다. 본서에는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쿠차 지역 출토 유물을 망라하여, 중앙아시아 불교미술에 있어서의 쿠차 지역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탐험대가 남긴 현장사진과 스케치 등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소개함으로써, 수집 유물 이외의 귀중한 정보도 아울러 제공하고 있다. 키라 사모슉 박사는 본서의 게재 논문 「The Art of the Kuche Buddhist Temples」에서, 러시아의 실크로드 탐험의 개요를 소개하고, 주로 불교시대 쿠차의 역사 전개 과정과 쿠차에 전래된 불교의 양상 그리고 석굴의 벽화 묘사와 그 연대 문제를 논한 후, 벽화의 주제와 소상(塑像), 석굴사원이 예배의 장으로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키라 박사는 결론으로서, 쿠차 문화는 불교 전파의 역사 가운데 독립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유목세계의 여러 민족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간다라 미술, 헬레니즘, 고대 이란, 중국 문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독자적인 성격을 구축하였음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쿠차 지역에서 형성된 문화는 타림분지뿐만 아니라 돈황(敦煌)과 중원(中原) 지역의 석굴예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으로 문장을 마감하고 있다. 키라 박사의 논고 가운데 주목할 부분은 쿠차 지역 석굴의 조성(造成) 연대(年代)에 관한 것이다. 그녀는 이제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벽화의 조성 연대에 관한 견해를 소개하며, 벽화의 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갑주(甲冑)의 도상(圖像) 특징 등을 소그드 미술 등 주변 지역에서 출토된 관련 자료와 비교하여, 키질의 조성 연대를 기존의 학설보다 백여 년 이상 소급해야 함을 주장하며, 5세기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쿠차 지역 석굴의 조성 시기의 문제는 석굴의 형식 문제를 비롯하여 불화(佛畫)의 주제(主題)와 양식(樣式), 안료(顔料)의 문제, 복식(服飾)이나 두발(頭髮), 제 장식(裝飾) 요소 등을 학제적(學際的) 연구 방법으로 재조명하고, 그 과정에 나타나는 주변 문화권과의 관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위에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등 과학적 방법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에르미타주 박물관에는 제2차세계대전 때 베를린에서 전리품으로 가져온 벽화편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일반인에게는 물론 학계에서도 그 행방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이들 벽화편이 최근에 보존처리를 마치고 일반에게 상설전시를 통해 소개되고 있다. 본서 출판의 경위를 서술한 서언(序言)에는 이번 간행이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 쿠차 예술품의 제1차 출판이라고 한 점으로 보아, 아마도 보존처리가 끝난 독일 컬렉션을 소개하는 도록의 편집도 예정되어 있는 듯하다. 아울러 투르판과 호탄 지역 문물을 소개하는 도록의 간행도 기대해본다. 현재 쿠차의 석굴사원에서 절취한 벽화편은 러시아와 독일, 한국 등 여러 국가에 분장되어 있다. 이번 도록 출판을 계기로 쿠차 현지의 키질 석굴을 비롯한 제 석굴사원의 잔존벽화를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벽화를 함께 소개하여 이들 석굴사원 벽화의 원래 모습을 온전하게 소개하는 종합도록의 간행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동서의 문화가 혼합되어 있고 쿠차 지역 특유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석굴사원의 벽화류 등을 소개하는 도록에는, 각 유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해설이 요망된다. 그리고 미술사 이외에도 보존과학적 측면에서의 안료 분석 등 학제적 조사연구 성과도 포함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작금의 중국 서부 개발 정책에 따라, 신장 지역의 오아시스에 인구가 과밀 거주함으로써 유발되는 기후변화 등으로 석굴사원의 벽화는 현재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화계뿐만 아니라 문화재 보존수복(保存修復)의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여러 국가들이 실크로드 석굴벽화의 보존수복을 위해 공동 노력하고 아울러 관련 인적자원 양성 등을 위해 보존과학센터를 운영하는 등 모두의 중지를 모아야할 때다. 본서는 20세기 초 서구 열강에 의해 추진된 실크로드의 고대 유적 조사 결과 가운데, 러시아 조사대가 쿠차 지역의 석굴사원을 중심으로 거둔 성과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출판물이지만, 향후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독일 컬렉션 벽화까지 전부 소개될 경우, 쿠차의 불교미술과 실크로드 연구에 크게 공헌할 것임에 틀림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이제까지 축적되어 온 쿠차 지역에 대한 고고미술 연구의 마지막 퍼즐 조각이자 실크로드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서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실크로드 미술 연구의 성과물이자 새로운 편집 체계로서 학적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실크로드 미술 연구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키라 사모슉 박사에게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hird floor of the State Hermitage Museum in St. Petersburg, the "Art of Central Asia" exhibition boasts the world's finest collection of artworks and artifacts from the Silk Road. Every item in the collection has been classified by region, and many of them were collect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rough archaeological surveys led by Russia's Pyotr Kozlov, Mikhail Berezovsky, and Sergey Oldenburg. Some of these artifacts have been presented around the world through special exhibitions held in Germany, France,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Korea, Japan, and elsewhere. The fruits of Russia's Silk Road expeditions were also on full display in the 2008 exhibition The Caves of One Thousand Buddhas - Russian Expeditions on the Silk Route on the Occasion of 190 Years of the Asiatic Museum, held at the Hermitage Museum. Published in 2018 by the 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in collaboration with the Hermitage Museum, Kuche Art Relics Collected in Russia introduces the Hermitage's collection of artifacts from the Kuche (or Kucha) region. While the book focuses exclusively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Kuche area, it also includes valuable on-site photos and sketches from the Russian expeditions, thus helping to enhance readers'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Kuche art within the Buddhist art of Central Asia. The book was compiled by Dr. Kira Samosyuk, senior curator of the Oriental Department of the Hermitage Museum, who also wrote the main article and the artifact descriptions. Dr. Samosyuk is an internationally renowned scholar of Central Asian Buddhist art, with a particular expertise in the art of Khara-Khoto and Xi-yu. In her article "The Art of the Kuche Buddhist Temples," Dr. Samosyuk provides an overview of Russia's Silk Road expeditions, before introduc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uche in the Buddhist era and the aspects of Buddhism transmitted to Kuche. She describes the murals and clay sculptures in the Buddhist grottoes, giving important details on their themes and issues with estimating their dates, and also explains how the temples operated as places of worship. In conclusion, Dr. Samosyuk argues that the Kuche region, while continuously engaging with various peoples in China and the nomadic world, developed its own independent Buddhist culture incorporating elements of Gandara, Hellenistic, Persian, and Chinese art and culture. Finally, she states that the culture of the Kuche region had a profound influence not only on the Tarim Basin, but also on the Buddhist grottoes of Dunhuang and the central region of China. A considerable portion of Dr. Samosyuk's article addresses efforts to estimate the date of the grottoes in the Kuche region. After citing various scholars' views on the dates of the murals, she argues that the Kizil grottoes likely began prior to the fifth century, which is at least 100 years earlier than most current estimates. This conclusion is reached by comparing the iconography of the armor depicted in the murals with related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such as items of Sogdian art). However, efforts to date the Buddhist grottoes of Kuche must take many factors into consideration, such as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ves, the themes and styles of the Buddhist paintings, the types of pigments used, and the clothing, hairstyles, and ornamentation of the depicted figures. Moreover, such interdisciplinary data must be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Kuche's relations with nearby cultures. Scientific methods such as radiocarbon dating could also be applied for supplementary materials. The preface of Kuche Art Relics Collected in Russia reveals that the catalog is the first volume covering the Hermitage Museum's collection of Kuche art, and that the next volume in the series will cover a large collection of mural fragments that were taken from Berlin during World War II. For many years, the whereabouts of these mural fragments were unknown to both the public and academia, but after restoration, the fragments were recently re-introduced to the public as part of the museum's permanent exhibition. We look forward to the next publication that focuses on these mural fragments, and also to future catalogs introducing the artifacts of Turpan and Khotan. Currently, fragments of the murals from the Kuche grottoes are scattered among various countries, including Russia, Germany, and Korea. With the publication of this catalog, it seems like an opportune time to publish a comprehensive catalog on the murals of the Kuche region, which represent a compelling mixture of East-West culture that reflect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 catalog that includes both the remaining murals of the Kizil grottoes and the fragment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could greatl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murals' original state. Such a book would hopefully include a more detailed and interdisciplinary discussion of the artifacts and murals, including scientific analyses of the pigments and other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ervation science. With the ongoing rapid development in western China, the grotto murals are facing a serious crisi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overcrowding in the oasis city of Xinjiang. To overcome this challenge, the cultural communities of China and other countries that possess advanced technology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ust begin working together to protect and restore the murals of the Silk Road grottoes. Moreover, centers for conservation science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human resources and collect information. Compiling the data of Russian expeditions related to the grottoes of Kuche (among the results of Western archaeological surveys of the Silk Roa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Kuche Art Relics Collected in Russia represent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research on Kuche's Buddhist art and the Silk Road, which will only be enhanced by a future volume introducing the mural fragments from Germany. As the new authoritative source for academic research on the artworks and artifacts of the Kuche region, the book also lays the groundwork for new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e Silk Road. Finally, the book is also quite significant for employing a new editing system that improves its academic clarity and convenience. In conclusion, Dr. Kira Samosyuk, who planned the publication, deserves tremendous praise for taking the research of Silk Road art to new heigh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