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도사 미쓰요시(土佐光芳) 필(筆) <무라사키노 자일 놀이(紫野子日遊圖)·오이강 유람도 병풍(大井川遊覽圖屛風)> 시론

Tosa Mitsuyoshi's Screen Paintings Gathering on the Year's First "Day of the Rat" and Boating on the Oi River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정미연 (국립중앙박물관 세계문화부)
  • Jung, Miyeon (World Art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투고 : 2020.09.20
  • 심사 : 2020.11.18
  • 발행 : 2020.12.20

초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무라사키노 자일 놀이(紫野子日遊圖)·오이강 유람도 병풍(大井川遊覽圖屛風)>(이하 국박본으로 지칭)은 일본 교토 궁정의 화사(畫事)를 전담한 직책인 에도코로아즈카리(繪所預)였던 도사 미쓰요시(土佐光芳, 1700~1772)의 묵서와 인장을 지닌 김병풍(金屛風) 한 쌍이다. 이 병풍은 국립중앙박물관이 2018년 미국 뉴욕에서 구입한 것으로, 판매자에 따르면 20세기 초 어느 시점에 일본에서 미국으로 건너왔으나 그 자세한 시점은 불명이라고 한다. 여섯 면의 두 폭 한 쌍으로 이루어진 이 병풍은 오른쪽 병풍에 새해 정월 자일(子日)에 야외로 나가 어린 소나무 묘목을 채집하는 궁중 행사인 '자일 놀이(子日遊)'의 장면을, 왼쪽 병풍에 교토 오이강(大井川)에 한시(漢詩), 와카(和歌), 관현(管弦)을 의미하는 세 척의 배를 띄워 유람했다는 '세 척의 배(三船の才)' 고사 장면을 그렸다. 이 작품은 훗코야마토에(復古やまと繪) 장르를 대표하는 화가인 우키타 잇케이(浮田一蕙, 1795~1859)가 고메이 천황(孝明天皇, 1831~1867)의 명으로 제작한 교토 센뉴사(泉涌寺) 소장 <무라사키노 자일 놀이(紫野子日遊圖)·오이강 유람도 병풍(大井川遊覽圖屛風)>(이하 센뉴사본으로 지칭)과 화제와 도상이 일치한다. 단독 작품으로 제작된 사례는 다수 찾을 수 있는 '자일 놀이'와 '오이강 유람' 화제가 서로 짝을 이루어 한 작품으로 제작된 작례는 현재까지 국박본과 센뉴사본뿐이다. 부케덴소(武家傳奏) 히로하시 가네타네(廣橋兼胤, 1715~1781)의 일기인 『히로하시가네타네코부고요닛키(廣橋兼胤公武御用日記)』에 따르면 1760년, 미쓰요시는 1709년(보영도(寶永度))에 건축된 교토 고쇼(御所)의 전각인 쓰네고텐(常御殿) 내부의 낡은 후스마에(襖繪)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임무를 맡았다. 미쓰요시는 이때 국박본의 주제와 도상을 구상할 기본 자료를 얻었다고 생각된다. 당시 쓰네고텐 내부에는 가노파 화가가 그린 '봄날의 야외 행차(春日野行幸)'와 '오이강을 떠다니는 세 척의 배(大井川逍遙三艘)'라는 화제의 후스마에가 연속되어 배치되어 있었다. 미쓰요시는 1760년 쓰네고텐 후스마에 교체 작업을 통해 '오이강 유람' 화제의 도상을 학습하고 '자일 놀이'와 '오이강 유람' 화제를 서로 짝을 지어 한 쌍의 병풍으로 제작한다는 구상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새해 정월 첫 자일에 어린 소나무를 채집하는 행위는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길상적인 의미를 가진다. 오이강에 각각 한시, 와카, 관현을 의미하는 세 척의 배를 띄워 유람했다는 '세 척의 배' 고사는 교토 궁정의 필수 교양인 한시, 와카, 관현의 삼재에 모두 능통한 인재를 뜻한다. 이처럼 길한 주제의 병풍이 소용되는 자리로는 천황의 즉위식을 제일 먼저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토 궁정 관련 화사를 전담했던 도사 미쓰요시가 천황 즉위식이나 연중행사 등 궁정 의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국박본을 제작했을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In 2018,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urchased a pair of Japanese folding screens, respectively entitled Gathering on the Year's First "Day of the Rat" and Boating on the Oi River. Both of these two screen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NMK edition") have a gold background that bears the seal and ink inscription of Tosa Mitsuyoshi (1700-1772), who served as edokoro azukari, a painter in the court of Kyoto. According to the seller in New York, the screens were brought from Japan to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ut no other details are known. Each folding screen has six panels. The screen on the right (i.e., Gathering…) depicts "nenohi no asobi," an annual event conducted on the first "day of the rat" (according to the Asian zodiacal calendar), wherein the Kyoto imperial court ventured to the woods to gather pine seedlings. The left screen (i.e., Boating…) shows three boats traveling down the Oi River in Kyoto, representing the ritual known as "mifune" (literally, "three boats"), which involves three boats representing Chinese classical poetry (kansi), Japanese classical poetry (waka), and Japanese imperial music and dance (gagaku). Notably, these two screens are identical in theme and iconography to two screens with the same respective titles that were commissioned by Emperor Komei (1831-1867) and painted by Ukita Ikkei (1795-1859), an artist of the Yamato-e Revivalist School (fukko yamato-e), now in the collection of Sennyu-ji Temple in Kyoto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Sennyu edition"). While both of these themes have been painted independently numerous times, the NMK edition and Sennyu edition are the only known cases of the themes being painted as a single set. According to Diary of Official Business Between the Court and Shogunate (the journal of a court official named Hirohashi Kanetane, 1715-1781), Tosa Mitsuyoshi was commissioned in 1760 to replace the fusuma (rectangular sliding panels) of Tsunegoten, one of the buildings of the Kyoto Imperial Palace, which had been built in 1709. Notably, records show that Tsunegoten once contained a series of fusuma painted by an artist of the Kano school on the themes "Outdoor Procession on a Spring Day" and "Three Boats Cruising on the Oi River." Hence, it seems probable that Tosa Mitsuyoshi was influenced by the theme and iconography of the existing fusuma in producing his own folding screens depicting the court's visit to the forest and a cruise on the Oi River. While the practice of collecting pine seedlings on the first "rat day" of the year was an auspicious event to pray for longevity, the mifune ritual was intended to honor the greatest talents of the three aforementioned arts, which were of crucial importance to the court of Kyoto. Folding screens with such auspicious themes were commonly featured at the ceremony to enthrone the emperor or empress. Significantly, the Diary of Official Business Between the Court and Shogunate also records that Tosa Mitsuyoshi, while working as a court artist, produced two pairs of folding screens for the coronation of Empress Go Sakuramachi (1762-1771), which was held in 1763. Hence, research suggests that the NMK edition is one of the pairs of royal folding screens produced at that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朝日新聞社 文化企畫局 大阪企畫部 編, 泉涌寺展: 皇室の御寺, 大阪: 朝日新聞社 文化企畫局 大阪企畫部, 1990.
  2. 小松茂美編集, 年中行事繪卷 (日本の繪卷), 東京: 中央公論社, 1994.
  3. 今野達校注, 今昔物語集, 東京: 岩波書店, 1996.
  4. 東京國立博物館 [ほか] 編, 皇室の名寶 : 美と傳統の精華, 東京: NHK, 1999.
  5. 榊原悟, 美の架け橋: 異國に遣わされた屛風たち, 東京: ぺりかん社, 2002.
  6. サントリー美術館, 大阪市立美術館, 日本經濟新聞社編集, Biombo: 屛風日本の美, 日本經濟新聞社, 2007.
  7. 德川美術館 編, 復古やまと繪-新たなる王朝美の世界, 名古屋: 德川美術館, 2014.
  8. 野口剛, 五十嵐公一, 門脇むつみ, 雅の近世、花開く宮廷繪畫: 江戸時代前期, 東京: 吉川弘文館, 2017.
  9. 五十嵐公一, 武田庸二郞, 江口 恒明, 朝廷權威の復興と京都畫壇: 江戸時代後期, 東京: 吉川弘文館, 2017.
  10. 田島達也, 光明寺藏舊內裏障壁畫, 美術史 132, 1992.
  11. 松浦淸, 大念佛寺所藏片袖緣起(土佐光芳本)とその粉本について, 大阪市立博物館硏究紀要 28, 1996.
  12. 天木詠子, 光明寺藏寶永度內裏常御殿の障壁畫について, 硏究報告集.計畫系 66, 1996.
  13. 日並彩乃, 復古大和繪の解体と諸相, 關西大學博士論文, 2015.
  14. 日並彩乃, 王朝世界の風景表現: 大樹寺障壁畫の位置づけ, 東アジア文化交涉硏究 8, 2015.
  15. 松尾芳樹, 近世土佐家の屛風繪粉本, 京都市立芸術大學芸術資料館年報 26, 2017.
  16. 菊地仁, 說話と和歌とはいかに結びつくか:─十訓抄三舟譚の周邊─, 中世文學 63, 2018.
  17. 石川泰成, 正德度朝鮮通信使贈朝鮮國王屛風の畫題·畫贊にみる儒敎的表象について, 九州産業大學國際文化學部紀要 69, 2018.
  18. 東京大學史料編纂所(https://wwwap.hi.u-tokyo.ac.jp/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