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인사 고려대장경 보각판(補刻板) 연구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을 중심으로-

Supplementary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t Haeinsa Temple: Focus on Supplementary Woodblocks of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 Shin, Eunje (Department of History at Dong-A University) ;
  • Park, Hyein (Department of History at Dong-A University)
  • 투고 : 2020.09.20
  • 심사 : 2020.11.18
  • 발행 : 2020.12.20

초록

해인사 소장 고려대장경판은 현전하는 유일한 완질의 한역 대장경판이다. 국보이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고려대장경판은 총 81,352판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판 가운데에는 동일 경판이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중복판'이라 명명하기도 했다. 두 개 이상의 경판이 존재하게 된 원인은 후대 보각판(補刻版)이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보각판은 총 118판으로 전체 경판의 0.14%에 불과하다. 따라서 고려대장경판은 기본적으로 원판이 현재까지 온전히 잘 보전되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보각판에 대한 연구는 고려대장경판의 보존과 관리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보각판은 인경 과정에서 마모되기도 했고 때때로 인경이 불가능할 정도의 손상이 있었기 때문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보각은 크게 일제강점기와 조선 시기에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 보각판의 특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정리된 바 있으나 조선 시기 보각판의 특징과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고려대장경판 보각판의 특징과 제작 시기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체 대장경 가운데 보각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경전은 『대반야바라밀다경』이다. 『대반야바라밀다경』의 보각판은 총 76판으로 전체 보각판 118판의 64.4%를 차지하므로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인경본을 잘 분석하면 고려대장경판 보각의 추이와 그 시대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 76판을 분석한 결과, 일제강점기인 1915년(12판)과 1937년(11판)에 보각한 23판을 제외하면 53판은 조선시대 보각판이다. 조선시대 보각은 세 시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 번째 시기는 무진년(1448년, 세종 30) 경으로 총 14판이 보각되었다. 이를 무진년 보각판이라 명명했다. 무진년 보각판은 상하 광곽 단면의 길이가 21cm 내외로 초각판보다 1cm가량 짧으며 광곽 외부에 음각으로 각수명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조맹부체로 제작된 경판이 있었으며, 옅은 계선이 확인되고, 판면부 바닥이 거칠게 마감되었다. 이 형식의 경판 가운데 '무진년경각해지(戊辰年更刻海志)'라는 각수명이 확인되었고 또 다른 각수 가운데 한 명인 성견(性見)이 1446년에 활동하였으므로 무진년은 1448년(세종 30)으로 편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두 번째 시기는 1865년 인경 직후이다. 1865년 남호(南湖) 영기(永奇)와 해명(海冥) 장웅(壯雄)은 고려대장경 두 부를 인경하였는데 이때는 손상된 경판이 다수 확인되어 인경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이는 현재 전하는 월정사 인경본의 결락장에서 잘 확인된다. 이에 인경 직후 일부 경판의 보각이 실시된 것으로 생각된다. 1865년 보각판은 계선이 있으며 붉은 칠이 도포되어 있지 않고 발원자의 서원이 판각되어 있다. 그러나 1865년 보각판은 6판 8면에 불과해 당시 보각은 여러 사정에 의해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세 번째 시기는 1899년 인경 직전이다. 1899년 인경은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 하에 이루어졌으며, 중앙에서 관리를 파견하여 체계적으로 실시되었다. 때문에 인경 전에 경판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고 손상으로 인경이 불가능한 경판의 보각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1899년 보각판은 붉은 칠이 도포되어 있으며 판수의 앞, 판미의 뒤에 한 행을 띄워 놓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33판 56면이고, 전체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1899년 판이 가장 다수를 차지한다는 사실은 1899년 즈음 고려대장경판에 대한 관리와 보수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of Korea and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he Tripitaka Koreana at Haeinsa Temple is the world's oldest and most comprehensive extant version of the Tripitaka in Hanja script (i.e., Chinese characters). The set consists of 81,352 carved woodblocks, some of which have two or more copies, which are known as "duplicate woodblocks." These duplicates are supplementary woodblocks (bogakpan) that were carved some time after the original production, likely to replace blocks that had been eroded or damaged by repeated printings.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survey, the number of supplementary woodblocks is 118, or approximately 0.14% of the total set, which attests to the outstanding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woodblocks. Research on the supplementary woodblocks can reveal important details about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Most of the supplementary woodblocks were carved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or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lthough the details of the woodblock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en recorded and organized to a certain extent, no such efforts have been made with regards to the woodblocks from the Joseon period.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date of the supplementary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The sutra with the most supplementary woodblocks is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often known as the Heart Sutra. In fact, 76 of the total 118 supplementary woodblocks (64.4%) are for this sutra. Hence, analyses of printed versions of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should illuminate trends in the carving of supplementary woodblocks for the Tripitaka Koreana,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eriods.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76 supplementary woodblocks of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23 were carv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2 in 1915 and 11 in 1937. The remaining 53 were carved during the Joseon period at three separate times. First, 14 of the woodblocks bear the inscription "carved in the mujin year by Haeji" ("戊辰年更刻海志"). Here, the "mujin year" is estimated to correspond to 1448, or the thirtie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On many of these 14 woodblocks, the name of the person who did the carving is engraved outside the border. One of these names is Seonggyeong, an artisan who is known to have been active in 1446, thus supporting the conclusion that the mujin year corresponds to 1448. The vertical length of these woodblocks (inside the border) is 21 cm, which is about 1 cm shorter than the original woodblocks. Some of these blocks were carved in the Zhao Mengfu script. Distinguishing features include the appearance of faint lines on some plates, and the rough finish of the bottoms. The second group of supplementary woodblocks was carved shortly after 1865, when the monks Namho Yeonggi and Haemyeong Jangung had two copies of the Tripitaka Koreana printed. At the time, some of the pages could not be printed because the original woodblocks were damaged. This is confirmed by the missing pages of the extant copy that is now preserved at Woljeongsa Temple. As a result, the supplementary woodblocks are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immediately after the printing. Evidently, however, not all of the damaged woodblocks could be replaced at this time, as only six woodblocks (comprising eight pages) were carved. On the 1865 woodblocks, lines can be seen between the columns, no red paint was applied, and the prayers of patrons were also carved into the plates. The third carving of supplementary woodblocks occurred just before 1899, when the imperial court of the Korean Empire sponsored a new printing of the Tripitaka Koreana.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dispatched to supervise the printing likely inspected the existing blocks and ordered supplementary woodblocks to be carved to replace those that were damaged. A total of 33 supplementary woodblocks (comprising 56 pages) were carved at this time, accounting for the largest number of supplementary woodblocks for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On the 1899 supplementary woodblocks, red paint was applied to each plate and one line was left blank at both e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려사
  2. 조선왕조실록
  3. 법보종찰 해인사.합천군, 해인사대장경판 중복판 조사용역사업 보고서, 부산: 세종출판사, 2015.
  4. 법보종찰 해인사.불교문화재연구소,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보존.관리 프로그램 구축, 서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7.
  5. 법보종찰 해인사.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중복판 보존처리 연구용역사업, 부산: 시선, 2020.
  6. 이지관 편저, 해인사지, 서울: 伽山文庫, 1992.
  7. 김방울, 월정사소장 고려재조대장경 인경본에 대하여, 서지학보 31, 2007.
  8. 박광헌, 해인사 대장경 중복판의 인경본 조사와 시기분석, 미술사연구 38, 2020.
  9. 박혜인, 중복판과 인경본 비교를 통한 고려대장경판 보존관리, 미술사연구 38, 2020.
  10. 서수생, 大藏經版의 二重板과 補遺板의 形像, 어문학 36, 1977.
  11. 신은제, 14세기 고려대장경판 인경발원문의 내용과 그 의미, 미술사연구 38, 2020.
  12. 小田乾治郞, 大藏經印刷終了報告(1915),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 京城: 朝鮮印刷 株式會社, 1931.
  13. 최연주, 조선시대 고려대장경의 인경과 해인사, 동아시아불교문화 10, 2012.
  14. 최영호, 해인사 소장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일제강점기 補刻板 조성현황과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40, 2014.
  15. 최영호, 海印寺大藏經板에 포함된 중복경판 및 보각경판의 역사·문화적 성격과 보존방안, 문물연구 3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