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감산사(甘山寺) 아미타불상(阿彌陁佛像)과 미륵보살상(彌勒菩薩像) 조상기(造像記)의 연구

Dedicatory Inscriptions on the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s of Gamsansa Temple

  • Nam, Dongsin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0.09.20
  • 심사 : 2020.11.18
  • 발행 : 2020.12.20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감산사(甘山寺)의 아미타불상(阿彌陁佛像)과 미륵보살상(彌勒菩薩像)의 광배(光背)에 각각 새겨진 조상기(造像記)를 재검토함으로써, 통일신라기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자 기준작인 두 상을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장에서는 '근대적 발견' 이래 지난 100년간의 연구 성과를 네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다음, 필자의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II장에서는 기왕의 미륵보살상>아미타불상의 위차(位次)를 비판하고 조상기를 재검토한 후 두 상의 배치와 외관에 근거하여 아미타불상>미륵보살상의 위차가 옳음을 논증하였다. III장에서는 마지막까지 판독 불능으로 남았던 두 글자를 처음으로 판독하고, 이를 포함하여 기존에 의미가 불분명하였던 몇몇 구절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아울러 아미타불상조상기와 미륵보살상조상기의 문장 구조를 비교하고 조상기의 찬자와 서자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서체(書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끝으로 IV장에서는 조상기의 내용을 조상주(造像主)와 조상(造像) 및 발원(發願)으로 나누어 재검토하였다. 특히 필자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라는 조상기의 구절이 상투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김지성(金志誠)이 돌아가신 부모를 모두 화장해서 동해 바닷가에 산골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부모를 추모하려 해도 그 마음을 의지할 물질적 표지(標識)가 없었다. 그래서 만년의 김지성은 감산전장(甘山田莊)을 희사하여 절로 삼고, 여기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 돌로 각각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을 조성하되, 부모님의 실제 모습을 투영하여 상(像)의 존용(尊容)을 사실적으로 조각하고 그 정혈(頂穴)에 부모의 상징물을 안치하였다고 해석하였다. 두 상 가운데 특히 미륵보살상은 관(冠)에 화불(化佛)이 있는 입상(立像)인데, 미술사학자들이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도상(圖像)의 미륵보살상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워서, 도상적 특징만 본다면 십중팔구 관음보살상이라고 간주할 것이다. 반대로 조상기만 읽는 사람들에게는 의심할 여지없이 미륵보살상이다. 김지성은 돌아가신 어머니가 내세(來世)에는 도솔천에 상생(上生)하기를 기원하였기에 도솔천을 주재하는 미륵보살상을 만들기로 하되, 그 상에 자모(慈母)의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하여 자비(慈悲)의 화신인 관음보살상의 도상을 취했던 것이다. 이것은 아미타불상도 마찬가지여서, 돌아가신 아버지의 극락왕생을 희구하여 아미타불상을 조성하되 모든 불교도의 자부(慈父)인 석가여래상의 도상을 차용하였다고 유추된다. 후대의 추모자들이 정면에서 상[Image]을 친견하고 뒤로 돌아가서 조상기[Text]를 읽었다면, 그들은 김지성의 부모님을 향한 추모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였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josanggi) on the Amitabha Buddha and the Maitreya Bodhisattva statues of Gamsansa Temple, two masterpieces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n the first section, I summarize research results from the past century (divided into four periods), before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at questions the pre-existing notion that the Maitreya Bodhisattva has a higher rank than the Amitabha Buddha. In the second section, through my own analysis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arrangement,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two images, I assert that the Amitabha Buddha sculpture actually held a higher rank and greater significance than the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 In the third section, for the first time, I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two previously undeciphered characters from the inscription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sentence structures from the respective inscriptions and revising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uthor (chanja) and calligrapher (seoja), I elucidate the possible meaning of some ambiguous phrases. Finally, in the fourth section, I reexamine the content of both inscription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parts relating to the patron (josangju), the dedication (josang), and the prayers of the patrons or donors (balwon).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phrase "for my deceased parents" is not merely a general axiom, but a specific reference. To summarize, the dedicatory inscription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when Kim Jiseong's parents died, they were cremated and he scattered most of their remains by the East Sea. But years later, he regretted having no physical memorial of them to which to pay his respects. Thus, in his later years, he donated his estate on Gamsan as alms and led the construction of Gamsansa Temple. He then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the two stone sculptures of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for the temple, asking that they be sculpted realistically to reflect the actual appearance of his parents. Finally, he enshrined the remains of his parents in the sculptures through the hole in the back of the head (jeonghyeol). The Maitreya Bodhisattva is a standing image with a nirmanakaya, or "transformation Buddha," on the crown. As various art historians have pointed out, this iconography is virtually unprecedented among Maitreya images in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leading some to speculate that the standing image is actually the Avalokitesvara. However, anyone who reads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n have no doubt that this image is in fact the Maitreya. To ensure that the sculpture properly embodied his mother (who wished to be reborn in Tushita Heaven with Maitreya Bodhisattva), Kim Jiseong combined the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the reincarnation of compassion). Hence, Kim Jiseong's deep love for his mother motivated him to modify the conventional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A similar sentiment can be found in the sculpture of Amitabha Buddha. To this day, any visitor to the temple who first looks at the sculptures from the front before reading the text on the back will be deeply touched by the filial love of Kim Jiseong, who truly cherished the memory of his par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金石總覽原稿, 謄寫本, 朝鮮總督府, 1918.
  2. 每日申報
  3. 博物館陳列品圖鑑 2, 3, 京城: 朝鮮總督府, 1920
  4. 三國遺事
  5. 始政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報告書 권1, 2
  6.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3
  7. 朝鮮金石總覽 上
  8. 朝鮮彙報, 京城: 朝鮮總督府, 1915. 3-1920. 6.
  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in.do)
  10. 權悳永, 古代韓中外交史-遣唐使硏究-, 서울: 一潮閣, 1997.
  11. 金理那, 韓國古代佛敎彫刻史硏究, 서울: 一潮閣, 1989.
  12. 文明大, 원음과 고전미, 서울: 예경, 2003.
  13. 이순우, 제자리를 떠난 문화재에 관한 조사보고서 둘, 서울: 하늘재, 2003.
  14. 中央文化財硏究院, 慶州甘山寺法堂址, 2001.
  15. 최완수, 한국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2, 서울: 대원사, 2007.
  16. 久野美樹, 唐代龍門石窟の硏究-造形の思想的背景について-, 東京: 中央公論美術出版, 1911.
  17. 水野淸一.長廣敏雄, 龍門石窟の硏究, 東方文化硏究所 硏究報告 第16冊, 東京: 座右寶刊行會, 1941.
  18. 鮎貝房之進, 朝鮮金石 談(外), 서울: 아세아문화사 편집 영인, 1979.
  19. 中吉功, 甘山寺石造弥勒·阿弥陀像雑攷, 新羅·高麗の佛像, 東京: 二玄社, 1971.
  20. 강종훈, 금석문 자료 활용 방식을 통해 본 삼국유사 수록 사료의 성격, 역사와 담론 60, 2011.
  21. 金理那, 新羅甘山寺如来式仏像衣紋との日本式仏像との関係, 佛敎藝術 110, 1976.
  22. 金理那, 統一新羅時代 前期의 佛敎彫刻 樣式, 考古美術 154, 1982
  23. 金英美, 聖德王代 專制王權에 대한 一考察-甘山寺 彌勒像·阿彌陀像銘文과 관련하여-, 梨大史苑 22·23合, 1988.
  24. 金英美, 삼국유사 남월산조와 감산사 미륵.아미타상 조상기의 재검토,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36, 2015a.
  25. 金英美, 감산사(甘山寺)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 조상(造像)의 경전적 배경, 韓國思想史學 50, 2015b.
  26. 南東信, 북한산 僧伽大師像과 僧伽信仰, 서울학연구 14, 2000.
  27. 南東信,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美術史學硏究 268, 2010.
  28. 南豊鉉, 新羅時代 吏讀文의 解讀, 書誌學報 9, 1993.
  29. 南豊鉉, 吏讀硏究, 서울대학교: 태학사, 2000.
  30. 목수현,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1. 文明大, 太賢과 茸長寺彫刻, 白山學報 16, 1967.
  32. 文明大, 新羅 法相宗(瑜伽宗)의 成立과 그 美術(上)-甘山寺 彌勒菩薩像 및 阿彌陀佛像과 그 銘文을 中心으로-, 歷史學報 62, 1974a.
  33. 文明大, 新羅 法相宗(瑜伽宗)의 成立과 그 美術(下)-甘山寺 彌勒菩薩像 및 阿彌陀佛像과 그 銘文을 中心으로-, 歷史學報 63, 1974b.
  34. 蘇鉉淑, 甘山寺 彌勒菩薩立像과 阿彌陀如來立像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5. 蘇鉉淑, 甘山寺 彌勒菩薩立像 硏究-着衣 表現을 中心으로-, 불교미술사학 17, 2014a.
  36. 蘇鉉淑, 統一新羅 佛敎彫刻과 唐代 畫風-甘山寺 阿彌陀佛立像과 彌勒菩薩立像을 中心으로-, 미술사논단 38, 2014b.
  37. 신소연.김영민, RTI 촬영을 통한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 명문 검토, 美術資料 84, 2013.
  38. 이주형, 간다라 佛像과 舍利 奉安, 中央아시아硏究 9, 2004.
  39. 이주형, 미륵을 만나다: 감산사 미륵보살상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해명, 미술사와 시각문화 9, 2010.
  40. 李賢熙, '-아져'와 '-良結', 素谷南豊鉉先生 回甲紀念論叢, 서울: 太學社, 1995.
  41. 정송이,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도상학적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2. 秦弘燮, 慶州 甘山寺址·崇福寺址의 調査, 考古美術-新羅五岳調査記 其四- 6, 1965.
  43. 黃僖境,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과 石造阿彌陀佛立像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4. Gregory Schopen. "Filial Piety and the Monk in the Practice of Indian Buddhism: A Question of 'Sinicization' Viewed from the Other Side," T'oung Pao, Vol. LXX, 1984.
  45. 葛城末治, 朝鮮金石攷, 京城: 大阪屋書店, 1935.
  46. 久野美樹, 造像背景としての生天·託生西方願望-中國南北朝期を中心として-, 佛敎藝術 187, 1989.
  47. 藤島亥治郞, 朝鮮建築史論(其三), 建築雜誌44輯(第533號), 1930.
  48. 末松保和, 甘山寺彌勒尊像及び阿彌陀佛火光後記, 朝鮮 211, 1932.
  49.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京: 東洋文庫, 1954.
  50. 鮎貝房之進, 雜攷 제6輯 上編, 京城: 近澤出版部, 1934.
  51. 齋藤忠, 新羅の葬制から見た甘山寺跡石造阿弥陀如来像·弥勒菩薩像銘文の一解釈, 朝鮮学報 99·100合, 1981.
  52. 中吉功, 新羅甘山寺石造彌勒·阿彌陀像について, 朝鮮學報 9,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