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atus and Direction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 김민희 (위스콘신대학교 영어학과 강사)
  • Received : 2020.11.17
  • Accepted : 2020.12.11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rough examining stud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and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Following the Korean government's educational slogan to nurture creative and competent talents, creative writing, as one of foundational skills across disciplines, had begun to be introduced into the curriculum of liberal arts colleges from early 2000s and has become a required course since 2015. Although many studies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whether creative writing, which enhances creativity dealt in cognitive sciences, can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calls for in-depth discussion. The ongoing issues concerning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volve a lack of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absence of the operational and evaluative system. What's necessary is a clear definition of the extent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the proposed contents also need further verification. Therefore, as the basis for future constructive conversation, the current paper recapitulates the literature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classifying studies based on periods and cases of contents, and presents the direc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and research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연구를 통해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논하였다. 창의적 경쟁력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자는 정부의 교육 구호에 발맞추어, 모든 학문의 기초로서 창의적 글쓰기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교양대학의 교과 과정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2015년 이후에는 모든 대학에서 운영하는 교과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창의적 글쓰기 교육과 연관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여전히 인지과학에서 다루는 '창의성'을 고양하는 창의적 글쓰기가 과연 독립적인 학문 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조금 더 심도 있게 전개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쟁점에는 전문적인 교원의 부족과 운영 및 평가의 시스템 부재가 있다. 또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범주에 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콘텐츠에 관한 교육적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같은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국내 대학의 창의적 글쓰기 교육에 관해 발표된 선행 연구를 시기와 콘텐츠 사례에 따라 분류하여 개괄한 후,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운영과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awpwriter.org/
  2. S. Healy, "Beyond the Lierary: Why Creative Literacy Matters," in Key Issues in Creative Writing, Multiingual Matters, pp.61-78, 2013.
  3. A. Ramet, Creative Writing, How To Books, 2007.
  4. M, L. Marksberry, Foundation of Creativity, Harper & Row, 1963.
  5. 유영희, "창조적 글쓰기와 문학교육평가," 문학교육학, 제1권, pp.417-443, 1997.
  6. 김은성,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 제113권, pp.175-202, 2004.
  7. 김창원, "술이불작 (述而不作)에 관한 질문: 창작 개념의 확장과 창작 교육의 방향," 문학교육학, 제2권, pp.253-274, 1998.
  8.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 연구, 제18권, pp.97-127, 2003.
  9. 문영진,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 국어교육연구, 제7권, pp.333-358, 2000.
  10. 이승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사고개발, 제16권, 제2호, pp.31-54, 2020.
  11. 김성수,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구성방안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제38권, pp.327-359, 2009,
  12. 박은미, "건국대 글쓰기 영역 수업 사례 연구," 사고와 표현, 제2권, 제1호, pp.155-172, 2009.
  13. 이상원, "서울대 입학 전 교육 강좌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에 대한 고찰: 창의성 개념을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제3권, 제1호, pp.35-56, 2010.
  14. 김성수, "연세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리터러시연구, 제1권, pp.149-186, 2010.
  15. 김진해,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 :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제3권, pp.107-134, 2011.
  16. 이재현, "사고와 표현 교육의 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 시론," 사고와 표현, 제4권, 제2호, pp.175-197, 2011.
  17. 송유진, "새로운 미래사회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의 혁신," 교육철학, 제43권, pp.131-160, 2011.
  18. 최광석, "텍스트 생산 이론으로 본 <허생전> 창작과 창조적 글쓰기," 국어교육연구, 제42권, pp.233-258, 2008.
  19. 조성면. "뇌과학에 기반한 창의적 글쓰기와 문화콘텐츠기획," 한국학연구, 제22권, pp.191-219, 2010.
  20. 김순화, 송기상, "창의적 글쓰기 발상 시 전문 영역의 지식이 좌측 측두엽의 EEG 알파파 억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과학, 제21권, 제3호, pp.409-427, 2010.
  21. 방담이,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강조한 과학글쓰기 수업 전략의 제안," 사고와 표현, 제5권, 제2호, pp.93-117, 2012.
  22. 이은숙, 황혜영, "융복합 교양교육의 토대로서의 창의성,"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29-150, 2012.
  23. 손윤권, "대학 <글쓰기>에서의 '글'에 대한 태도 변화와 창의적 교수법의 필요성: 강원대학교에서의 <글쓰기>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리터러시 연구, 제2권, pp.55-80, 2011.
  24. 강민경,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향 : 쓰기 전 활동인 고정관념 깨뜨리기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45권, pp.205-231, 2012.
  25. 방담이, 최선경,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5호, pp.229-259, 2013.
  26. 김영도, "'개념적 혼성'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방안,"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5호, pp.43-78, 2013.
  27. 이채영,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제62권, pp.645-684, 2015.
  28. 정연진, "대학 기초교양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인식연구," 작문연구, 제18권, pp.267-295, 2013,
  29. 김문희, "대학 글쓰기 교재에 나타난 창의적 글쓰기의 양상과 수업 방법 탐색," 인문과학연구, 제44권, pp.81-108, 2015.
  30. 김기호, "문제해결 구조에 기반한 읽기.토론.쓰기의 창의성 이해: 영남대 명저읽기와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사상과 문화, 제79권, pp.35-61, 2015.
  31. 김기호, "대학 글쓰기 교양교육에서 '창의성' 관련 연구의 성과와 과제," 어문학, 제130권, pp.261-293, 2015.
  32. 김기호,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선행 요건으로서 이공계 학생들의 인식 변화," 한국사상과 문화, 제83권, pp.325-356, 2016.
  33. 서덕민, "대학 교양교육에서 '글쓰기 윤리'의식 제고 방안," 열린정신인문학연구, 제17권, 제2호, pp.313-335, 2016.
  34. 지현배, "창의성 기반의 글쓰기 교육과 교수자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671-698, 2016.
  35. 박준범,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지도 방안 연구,"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57-174, 2017.
  36. 김현정, "설명적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15, 2017.
  37. 박영식, "융합적 유연성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논증적 글쓰기의 활용,"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235-250, 2017.
  38. 주지영, 최현재, 박선양. "대학 심화 단계의 글쓰기 교재 개발 사례 연구: 군산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과목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제72권, pp.665-688, 2019.
  39. 장수경, "대학 교양 국어 교재 개편 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1학기 교양 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제36권, pp.385-426, 2019.
  40. 박현희,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서 과정적 다면 피드백의 기능과 효과 분석: 서울대 사회과학 글쓰기 수강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제13권, 제1호, pp.135-170, 2020.
  41. 이영조, "문화.예술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의 재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277-287,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277
  42. 최윤정, "동양고전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莊子 齊物論을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제48권, pp.311-340, 2012.
  43. 임춘택, "자기 인식과 문제 해결로서의 창의적 글쓰기 지도: F. 카프카의 <법 앞에서>를 글쓰기 자극제로 활용한 수업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47권, pp.131-157, 2010.
  44. 하채현, "글쓰기 수업에서 창작 실행에 관한 논의," 사고와 표현, 제7권, 제1호, pp.107-132, 2014.
  45. 김성문,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시조의 활용 방안 고찰," 어문론집, 제59권, pp.123-146, 2014.
  46. 최옥선,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4호, pp.341-369, 2015.
  47. 김춘규,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6호, pp.375-400, 2014.
  48. 이은숙, "융복합 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교수법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605-628, 2016.
  49. 최선희, 노은주, "이공계생의 글쓰기 흥미와 창의성을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패러디를 활용하여," 어문학, 제148권, pp.341-371, 2020.
  50. 이상금, "영화매체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의 학습모형," 독어교육, 제43권, pp.117-143, 2008.
  51. 이채영,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제62권, pp.645-684, 2015.
  52. 장유정,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의 방법과 실제," 리터러시 연구, 제3권, pp.183-203, 2011.
  53.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 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282-29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282
  54. 임지원, "창의적인 글쓰기 전략을 위한 사고 모형으로서 '인지적 의미 분석 모델'의 제안: 광고매체 메시지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49권, pp.293-331, 2013.
  55. 정윤자, "광고를 활용한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57-69, 2017.
  56. 곽상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창의적인 글쓰기 교수법 연구: 공주대 <창의적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 '카카오톡'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84권, pp.329-351, 2015.
  57. 정도진, "뉴스를 활용한 RAFT 기반의 창의적 글쓰기가 예비 유아교사의 쓰기 역량과 쓰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12권, pp.1-22, 2018.
  58. 김민옥,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p.485-521, 2019.
  59. 이원숙, "미술작품 감상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507-525, 2012.
  60. 김중철, "공간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03-111, 2017.
  61. 유동춘,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 선문대학교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541-564, 2013.
  62. 이영란, "창의적 사고를 위한 체험적 글쓰기," 한국리터러시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pp.129-141, 2015.
  63. 남진숙,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 모델과 그 의의," 사고와 표현, 제6권, 제1호, pp.83-109, 2013.
  64. 황성근, "PBL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35-48, 2017.
  65. 김정배, "SIT 5가지 사고도구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방법 연구: 대학 교양 기초 글쓰기 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열린 정신 인문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03-224, 2020.
  66. 강경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35-44,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035
  67. https://store.liveabc.com/learning
  68. 구자황, "전국 수준 대학 글쓰기 연구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 고찰,"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31-147, 2020.
  69. M. Sharples, How We Write: Writing as Creative Design, Routledge.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