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https://www.awpwriter.org/
- S. Healy, "Beyond the Lierary: Why Creative Literacy Matters," in Key Issues in Creative Writing, Multiingual Matters, pp.61-78, 2013.
- A. Ramet, Creative Writing, How To Books, 2007.
- M, L. Marksberry, Foundation of Creativity, Harper & Row, 1963.
- 유영희, "창조적 글쓰기와 문학교육평가," 문학교육학, 제1권, pp.417-443, 1997.
- 김은성,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 제113권, pp.175-202, 2004.
- 김창원, "술이불작 (述而不作)에 관한 질문: 창작 개념의 확장과 창작 교육의 방향," 문학교육학, 제2권, pp.253-274, 1998.
-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 연구, 제18권, pp.97-127, 2003.
- 문영진,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 국어교육연구, 제7권, pp.333-358, 2000.
- 이승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사고개발, 제16권, 제2호, pp.31-54, 2020.
- 김성수,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구성방안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제38권, pp.327-359, 2009,
- 박은미, "건국대 글쓰기 영역 수업 사례 연구," 사고와 표현, 제2권, 제1호, pp.155-172, 2009.
- 이상원, "서울대 입학 전 교육 강좌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에 대한 고찰: 창의성 개념을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제3권, 제1호, pp.35-56, 2010.
- 김성수, "연세대학교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리터러시연구, 제1권, pp.149-186, 2010.
- 김진해,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모색 :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제3권, pp.107-134, 2011.
- 이재현, "사고와 표현 교육의 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대하여: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 시론," 사고와 표현, 제4권, 제2호, pp.175-197, 2011.
- 송유진, "새로운 미래사회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의 혁신," 교육철학, 제43권, pp.131-160, 2011.
- 최광석, "텍스트 생산 이론으로 본 <허생전> 창작과 창조적 글쓰기," 국어교육연구, 제42권, pp.233-258, 2008.
- 조성면. "뇌과학에 기반한 창의적 글쓰기와 문화콘텐츠기획," 한국학연구, 제22권, pp.191-219, 2010.
- 김순화, 송기상, "창의적 글쓰기 발상 시 전문 영역의 지식이 좌측 측두엽의 EEG 알파파 억제에 미치는 영향," 인지과학, 제21권, 제3호, pp.409-427, 2010.
- 방담이,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강조한 과학글쓰기 수업 전략의 제안," 사고와 표현, 제5권, 제2호, pp.93-117, 2012.
- 이은숙, 황혜영, "융복합 교양교육의 토대로서의 창의성,"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29-150, 2012.
- 손윤권, "대학 <글쓰기>에서의 '글'에 대한 태도 변화와 창의적 교수법의 필요성: 강원대학교에서의 <글쓰기>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리터러시 연구, 제2권, pp.55-80, 2011.
- 강민경,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향 : 쓰기 전 활동인 고정관념 깨뜨리기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45권, pp.205-231, 2012.
- 방담이, 최선경,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창의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5호, pp.229-259, 2013.
- 김영도, "'개념적 혼성'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방안,"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5호, pp.43-78, 2013.
- 이채영,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제62권, pp.645-684, 2015.
- 정연진, "대학 기초교양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인식연구," 작문연구, 제18권, pp.267-295, 2013,
- 김문희, "대학 글쓰기 교재에 나타난 창의적 글쓰기의 양상과 수업 방법 탐색," 인문과학연구, 제44권, pp.81-108, 2015.
- 김기호, "문제해결 구조에 기반한 읽기.토론.쓰기의 창의성 이해: 영남대 명저읽기와 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사상과 문화, 제79권, pp.35-61, 2015.
- 김기호, "대학 글쓰기 교양교육에서 '창의성' 관련 연구의 성과와 과제," 어문학, 제130권, pp.261-293, 2015.
- 김기호,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선행 요건으로서 이공계 학생들의 인식 변화," 한국사상과 문화, 제83권, pp.325-356, 2016.
- 서덕민, "대학 교양교육에서 '글쓰기 윤리'의식 제고 방안," 열린정신인문학연구, 제17권, 제2호, pp.313-335, 2016.
- 지현배, "창의성 기반의 글쓰기 교육과 교수자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671-698, 2016.
- 박준범,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지도 방안 연구,"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57-174, 2017.
- 김현정, "설명적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15, 2017.
- 박영식, "융합적 유연성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논증적 글쓰기의 활용,"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235-250, 2017.
- 주지영, 최현재, 박선양. "대학 심화 단계의 글쓰기 교재 개발 사례 연구: 군산대학교 <창의적 글쓰기> 과목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제72권, pp.665-688, 2019.
- 장수경, "대학 교양 국어 교재 개편 방안 연구: 목원대학교 1학기 교양 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제36권, pp.385-426, 2019.
- 박현희,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서 과정적 다면 피드백의 기능과 효과 분석: 서울대 사회과학 글쓰기 수강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제13권, 제1호, pp.135-170, 2020.
- 이영조, "문화.예술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의 재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277-287,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277
- 최윤정, "동양고전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莊子 齊物論을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제48권, pp.311-340, 2012.
- 임춘택, "자기 인식과 문제 해결로서의 창의적 글쓰기 지도: F. 카프카의 <법 앞에서>를 글쓰기 자극제로 활용한 수업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제47권, pp.131-157, 2010.
- 하채현, "글쓰기 수업에서 창작 실행에 관한 논의," 사고와 표현, 제7권, 제1호, pp.107-132, 2014.
- 김성문,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시조의 활용 방안 고찰," 어문론집, 제59권, pp.123-146, 2014.
- 최옥선, "시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4호, pp.341-369, 2015.
- 김춘규,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6호, pp.375-400, 2014.
- 이은숙, "융복합 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교수법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605-628, 2016.
- 최선희, 노은주, "이공계생의 글쓰기 흥미와 창의성을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패러디를 활용하여," 어문학, 제148권, pp.341-371, 2020.
- 이상금, "영화매체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의 학습모형," 독어교육, 제43권, pp.117-143, 2008.
- 이채영, "시드 필드의 영화 3막 구성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어문론집, 제62권, pp.645-684, 2015.
- 장유정,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의 방법과 실제," 리터러시 연구, 제3권, pp.183-203, 2011.
-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 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282-29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282
- 임지원, "창의적인 글쓰기 전략을 위한 사고 모형으로서 '인지적 의미 분석 모델'의 제안: 광고매체 메시지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49권, pp.293-331, 2013.
- 정윤자, "광고를 활용한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57-69, 2017.
- 곽상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창의적인 글쓰기 교수법 연구: 공주대 <창의적 사고와 표현> 교과목에서 '카카오톡'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84권, pp.329-351, 2015.
- 정도진, "뉴스를 활용한 RAFT 기반의 창의적 글쓰기가 예비 유아교사의 쓰기 역량과 쓰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12권, pp.1-22, 2018.
- 김민옥,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문학논총, 제82집, pp.485-521, 2019.
- 이원숙, "미술작품 감상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507-525, 2012.
- 김중철, "공간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03-111, 2017.
- 유동춘,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 선문대학교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541-564, 2013.
- 이영란, "창의적 사고를 위한 체험적 글쓰기," 한국리터러시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pp.129-141, 2015.
- 남진숙,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 모델과 그 의의," 사고와 표현, 제6권, 제1호, pp.83-109, 2013.
- 황성근, "PBL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사고와 표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35-48, 2017.
- 김정배, "SIT 5가지 사고도구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방법 연구: 대학 교양 기초 글쓰기 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열린 정신 인문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03-224, 2020.
- 강경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35-44,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035
- https://store.liveabc.com/learning
- 구자황, "전국 수준 대학 글쓰기 연구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 고찰,"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31-147, 2020.
- M. Sharples, How We Write: Writing as Creative Design, Routledge.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