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금속학적 분석을 통한 판상철부의 제작기술 연구 - 울산 하대고분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lat Iron Axe Manufacturing Technology Using Metallurgical Analysis - Focused o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Hadae Ancient Tombs in Ulsan -

  • Jo, Hanui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
  • You, Halim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
  • Lee, Jaes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 투고 : 2019.06.27
  • 심사 : 2019.08.08
  • 발행 : 2019.09.30

초록

울산 하대고분에서 출토된 판상철부의 미세조직을 금속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작기술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판상철부 연구자료와 비교 및 검토하여 판상철부에 적용된 다양한 제작기술을 파악하였다. 울산 하대고분 44호 목곽묘에서 나란히 배열된 상태로 출토된 판상철부 10점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판상철부의 제작기술 체계를 '(1) 순철-형태 가공, (2) 순철-형태 가공-침탄, (3) 순철-형태 가공-침탄-탈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판상철부는 모두 단조에 의해 제작되었고, 순철을 소재로 두드려 형태를 만들었다. 특히 다수의 판상철부는 형태 가공 후 침탄 처리를 통해 재질을 강화시켰는데, 이는 중간 소재 또는 화폐로 통용됨으로써 당시 제철산업의 근간을 이루었던 철강 제품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형태 가공이나 침탄 이후에는 담금질이 실시되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순철을 소재로 제작한 판상철부의 미세조직에는 불순 개재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비금속 개재물을 성분 분석한 결과, 유리상과 뷔스타이트가 함께 혼재한 철재(鐵滓)의 특징을 보여주므로 제련 공정에서 저온환원법이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This study examined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used for the flat iron axes excavated from Ulsan Hadae. Their microstructures were analyzed using metallurgical methods. In addition, a var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i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using existing research materials on flat iron axes. As a result of analyzing ten flat iron ax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order that they were laid out in a row in one of the wooden coffin tombs at Ulsan Hadae, Tomb No. 44,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flat iron ax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system into three types: 'pure iron - shape processing', 'pure iron - shape processing - carburizing', and 'pure iron - shape processing - carburizing - decarburizing.' All of the flat iron axes were produced by forging, and most of them were made by beating the pure iron into their shapes. In particular, a number of the flat iron axes were reinforced through a carburizing process after shaping the iron. This appears as steel products forming the basis of the steel industry at the time were commonly used as an intermediary material or currency. On the other hand, it was commonly found in all samples that the hardening was not performed after shaping or carburizing. Since the microstructure of the flat iron axes made of pure iron contained a large number of impure inclusions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non-metal inclusions showed characteristics of slag which contains a mixture of glass phase and wustite, it is possible that low-temperature reduction was used in the refining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고고학사전, pp.1228-1229
  2. 김도헌, 2004, 고대의 판상철부에 대한 검토 - 영남지역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Vol.53, pp.59-88
  3. 김동원, 2000, 김해 양동리 고분군 출토 철제유물의 현미경 조직 관찰 고문화 Vol.56, pp.147-180
  4. 김수기, 2012, 금속조직과 비금속 개재물 분석을 통한 한국 고대 철기의 제조방법과 온도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류위남, 2009, 삼한시대 영남지역 출토 주조철부와 판상철부 연구 영남고고학회 제51호, pp.61-108
  6. 박선미, 2011, 한반도 출토 덩이쇠의 성격과 의미 白山學報 Vol.89, pp.5-49
  7. 박장식.이영식.신경철.김재우, 2001, 가야 철기유물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가야 철기문화 복원에 관한 연구 김해발전연구 제4권 제1호, pp.39-197
  8. 부산대학교 박물관, 1997, 울산 하대유적 - 고분I, pp.66-80
  9. 신동조, 2008, 영남지방 원삼국시대 철부와 철모의 분포 정형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3-38
  10. 유재은.이재성.권도희, 2011, 김포시 양촌 출토 철기의 미세조직 분석 문화재과학기술 제10권 2호, pp.42-59
  11. 이재성.전익환, 2014, 미세조직 분석을 통한 유엽형 철촉의 제작기술 체계 유형 분류 고문화 Vol.84, pp.69-87
  12. 장기명, 2014,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 부장 유형과 위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8-23
  13. 전효수, 2008, 경산 임당 유적 출토 철기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2-63
  14. 정태화, 2007, 4-6세기 신라권역 철기의 제작기술 연구 : 포항 학천리 유적 출토 철기 분석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0-71
  15. 최주.김수철.도정만, 1988, 월성 안강 출토 철재에 대하여 보존과학연구 제9집, 국립문화재연구소, pp.40-47
  16. 최주.정광용.김수철, 1998, 대구 욱수동 출토 6세기 쇳덩이 및 쇠똥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지 제4집,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 pp.35-48
  17. 하수완, 2008, 철제유물의 비금속 개재물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