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의 1837년 「혼수발기」 속 관복(冠服) 고찰

A Study on Nam Nyeong-wie Yun Uiseon's Gwanbok Described in the List of Wedding Gifts in 1837

  •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Lee, Eunjoo (Dept. of Content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06.24
  • 심사 : 2019.08.09
  • 발행 : 2019.09.30

초록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혼수발기[婚需件記]"는 1837년 8월 순원왕후가 부마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에게 내린 혼수품을 기록해놓은 물목이다. 노란 종이에 궁서체로 작성된 이 발기에는 4종의 관복과 평상복, 장신구 등 55종의 복식류가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해 19세기 전기 남자 관복, 부마 관복, 1품 관복 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녕위에게 보낸 "혼수발기"의 복식 기록을 통해 19세기 전기 관복제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덕온공주가례등록"의 기록보다 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기록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녕위는 순원왕후로부터 네 종류의 관복을 받았는데 개인적으로 제작하는 사비(私備) 관복, 즉 조복과 상복 흑단령, 시복 홍단령과 함께 국가에서 제공하였던 공비(公備) 관복, 즉 공복 일습이 포함되어 있었다. 공복은 부마의 명복(命服)으로, 관례복과 혼례복으로 사용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관복이었다. 셋째, 조복으로 금관, 대홍항라조복, 폐슬, 패옥, 후수, 항라백삼, 목화, 상아홀, 서대가 마련되었다. 이 기록을 통하여 1837년 당시까지는 조복용 중단으로 백삼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공복으로 대홍항라공복과 남설한초더그레, 남생경광주창의, 초록왜항라쿠리매가 마련되었다. 이 기록을 통하여 관복의 안감이 더그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복 안에 창의와 쿠리매, 즉 두루마기를 입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상복으로 사모, 금치쌍학흉배, 유록운문갑사관대, 남운문갑사더그레, 남쌍문초창의와 당자적화문사쿠리매가 마련되었는데, 특히 금치쌍학흉배를 통해 일반 관원과 차별화된 부마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시복으로 분홍광사관대, 남광초더그레가 마련되었다. 시복용 단령은 무늬 없는 분홍색 광사를 소재로 사용하였고 안감으로 남색 더그레를 사용하였다. 일곱째, 의류 소재는 가례 시기인 8월에 적합한 항라, 왜항라, 설한초, 쌍문초, 광초, 갑사, 화문사, 광사, 생경광주 등을 사용하였다.

The National Hangeul Museum houses a document list of the wedding gifts that Queen Sunwon granted her royal son-in-law, Nam Nyeong-wie, in August 1837. A total of 55 items were recorded in Hangeul Gungseo style on yellow paper. This list included four types of government officials' uniforms, casual wear, accessories, etc. The results of studying the 19th-century male officials' uniforms through this historic record were as follows. The clothing record in the List of Wedding Gifts was more accurate than that in the Dukongongju Garyedeungrok. The four types of government official uniforms for Nam Nyeong-wie included jeobok, sangbok, sibok, and gongbok. For the joebok, there was geumkwan, daehong-hangrah joebok, baeksam, ahole, seodae, gakpae, peseul, paeok, husu, and mokhwa. The record of the List confirms that baeksam was used as jungdan for joebok. For the gongbok, there was daehong-hangrah gongbok, blue seolhancho duhgre, blue saenggyeonggwangju changui, and green waehangrah kurimae. The record of the List shows that the lining of the gongbok was duhgre, and confirms, for the first time, that changui and kurimae were worn inside the gongbok. For the sangbok, there was samo, ssanghakhyungbae embroidered with golden thread, dark green cloud patterned gapsa gwandae, blue cloud patterned gapsa duhgre, blue ssangmuncho changui, and Chinese purple hwamunsa kurimae. For the sibok, there was pink gwangsa gwandae, and blue gwangcho duhgre. For the lining, blue duhgre was used. Lastly, the fabrics used for those costumes were all suitable for the climate in August.

키워드

참고문헌

  1. 가례등록(嘉禮謄錄)
  2. 경국대전(經國大典)
  3.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4. 고종실록(高宗實錄)
  5. 고종실록(高宗實錄)
  6.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7. 대동야승(大東野乘)
  8. 덕온공주가례등록(德溫公主嘉禮謄錄) 귀 K2-2631
  9. 탁지준절(度支準折) 가람古 336.2-T126t
  10. 동문유해(同文類解) 一簑古 494.1-H996d-v.1
  11. 무자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奎 14364
  12. 방언유석(方言類釋)
  13.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14. 상서기문(象胥紀聞)
  15. 속대전(續大典)
  16. 송간이록(松澗貳錄)
  17. 송남잡지(松南雜識)
  18. 숙종실록(肅宗實錄)
  19. 악학궤범(樂學軌範)
  20. 역어유해(譯語類解)
  21.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22. 영조실록(英祖實錄)
  23. 원종예장도감의궤(元宗禮葬都監儀軌)
  24. 일성록(日省錄)
  25. 임하필기(林下筆記)
  26. 정조실록(正祖實錄)
  27. 제기악기도감의궤(祭器樂器都監儀軌)奎 13734
  28. 주영편(晝永篇)
  29. 진연의궤(進宴儀軌)奎 14358
  30. 태학지(太學志)
  31.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奎 13139
  32.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왕세자가례시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王世子嘉禮時儀軌)奎 13072
  33. 홍재전서(弘齋全書)
  34. 경기도박물관, 2016, 의衣문紋의 조선 : 옷, 민속원, p.12, pp.194-195
  35. 경운박물관, 2012, 대한제국 남성예복, p.20
  36. 高麗大學校 博物館, 1990, 服飾類 名品圖錄, p.164
  37.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7, 고려대학교 박물관 도록, p.78
  38. 국립고궁박물관, 2010a, 조선왕실의 御寶 제1권 어보, p.384
  39. 국립고궁박물관, 2010b, 조선왕실의 御寶 제3권 보자기, p.331, 635, 640
  40. 국립고궁박물관, 2019, 효명, p.31, 37
  4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눌와, p.497
  4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p.90, 95
  4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a,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민속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218
  4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b, 영국 빅토리아앨버트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292
  45.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민족역사문화도감 : 의생활, p.236
  46. 國立中央博物館, 1986, 朝鮮時代通信使, p.44
  47. 국립중앙박물관, 2009,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 p.183, 184
  48.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p.49
  49. 국립한글박물관, 2019, 공쥬 글시 뎍으시니, p.34
  5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p.91
  51. 檀國大學校 石宙善紀念博物館, 2001a, 朝鮮時代 피륙[織物]의 무늬, p.57
  52.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1b, 韓國服飾 19, p.130
  53.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4a, 名選 中, p.136
  54.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4b, 韓國服飾 22, p.149, 151
  55.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8, 정사공신 신경유公 墓 출토 복식, p.94
  56.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12a,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 p.35, 48, 85
  57.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12b, 韓國服飾 30, pp.50-117
  58. 劉頌玉, 1998, 韓國服飾史, 修學社, pp.38-40, p.161
  59. 文世榮, 1938, 朝鮮語辭典, 博文書館, p.1615
  60. 문화재청, 2005,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1, p.187
  61.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p.123, 194, 195, 204
  62. 문화재청, 2007, 한국의 초상화, 눌와, pp.310-311
  63. 박윤미, 2012,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 織物의 特性과 編年 考察 文化史學 37, p.187
  64. 박정혜, 2011, 왕과 국가의 회화, 돌베개, p.100
  65. 서울역사박물관, 2007, 흥선대원군과 운현궁 사람들, p.15
  66. 소수박물관, 2007, 천리의 거울을 닦은 괴헌가 사람들, p.56
  67. 紹修博物館, 2009, 소수박물관 소장유물도록, p.244
  68. 孙机, 2001, 中国古輿服論叢, 北京: 文物出版社, p.164
  69. 여주박물관, 2017, 여주박물관, p.125
  70. 오창명, 儀軌에 나타나는 借字 表記 硏究 (1) : 조선 후기 服飾 어휘를 중심으로 (1) 韓國服飾 15, 1997, p.31
  71. 윤진영, 2003, 효종어제희우시회도(孝宗御題喜雨詩會圖) 문헌과 해석 22, p.134
  72. 이미향, 2002, 松澗貳錄에 나타난 고유어 연구 국어사 자료 연구 3, p.176
  73. 이은주, 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143
  74. 이은주.김미경, 2019, 선조대(宣祖代) 공신초상(功臣肖像)의 복식 고찰 文化財 52(1), p.130
  75.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9, 62
  76. 이주미, 2019, 조선 후기 왕자 관례.가례 복식 고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65-66
  77. 장정윤, 2003,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4
  78. 정광 역주, 2004, 原本 老乞大, 김영사, p.361
  79. 丁若鏞, 1992, 雅言覺非, 金鍾權 譯註, 一志社, p.157
  80. 조효숙.이은진, 2003, 度支準折에 기록된 조선 말기 平絹織物에 관한 硏究 服飾 53(5), p.134
  81. 中央日報社, 1991, 韓國의 美 (19) : 風俗畵, p.39
  82. 千時權, 1976, 두루마기 名稱攷 국어교육연구 8(1), p.3
  83. 崔南善, 1948, 朝鮮常識 風俗篇, 東明社, p.120
  84.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 복식, p.184
  8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장서각소장등록해제, p.147
  86. 韓國學中央硏究院, 2008, 尙方定例, p.129, 349, 356, 364, 377
  87. 허동화, 2001, 이렇게 좋은 자수, 한국자수박물관, p.200
  88. 황문환 외, 2010,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p.81, 211, 231, 235, 249, 251, 253, 255
  89. 국립한글박물관 https://www.hangeul.go.kr/main.do
  90.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9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u.ac.kr/
  92.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http://yoksa.aks.ac.kr/
  93. 한국고전번역원 http://db.itkc.or.kr/
  94.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