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aterial Characteristic Study on the Sword with an Undecorated Ring Pommel of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Bogam-Ri, Naju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출토 소환두도의 재료학적 특성

  • Received : 2019.06.07
  • Accepted : 2019.08.0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sword with a ring pommel, which was excavated from the first stone chamber of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Village in Naju, is a sword with a pentagon undecorated ring pommel consisting of a mother sword and two child swords. The sword with an undecorated ring pommel of Jeongchon comprises a ring pommel, a hilt, a knife, and a knife end decoration. This sword was coated with lacquer. The ring pommel is an iron frame covered with silver plate; however the silver tarnished into a light purple due to silver chloride corrosion, and iron corrosion originated from the inside is visible on the surface. Silver chloride corrosion is produced when silver objects are exposed to water, dissolved salts, and dissolved chloride ions when in a buried state. It changes objects into powder, making it difficult to preserve original shapes. The other silver artifacts found in the Jeongchon ancient tombs show similar signs of corrosion. The results of X-ray irradiation and a CT analysis showed that the sword had a ring at the end of the handle, a T-shaped hilt, and was probably connected to the handle end of a knife. If the shape of the mother sword can be inferred from the child swords, the mother sword had a ring pommel, decorations of the handle, covered with silver plate, and a gold ring and a silver line wound around the handle. It is assumed that the ring pommel was connected to the knife by welding because no holes were observed. The end decoration of the knife was made by using an iron plate formed into a shape, half covered by silk, and the other half decorated with silver plate and a gold ring. The sword with an undecorated ring pommel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Jeongchon Village comprises the metals of gold, silver, and iron, and includes features of Baekje, Silla, and Gaya, which highlights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historic sites and various cultures.

나주 정촌고분 1호 석실 출토 소환두도는 내부 별도 장식이 없는 오각형 환두도이다. 또한 모도와 자도 2자루로 구성된 모자대도이다. 정촌고분 소환두도는 환두부, 병부, 신부, 초미금구로 구성되었다. 소환두도 환두는 철지은장(鐵地銀裝)이지만 은(銀)이 염화은으로 부식되면서 연보라색을 띠며 내부 철제 심의 부식물이 표면에 형성되었다. 염화은은 염화이온이 용해된 매장 환경에서 은이 수분과 반응하여 생성되는데, 가루 형태로 부식되어 유물의 형태 보존을 어렵게 한다. 정촌고분에서 함께 출토된 다른 은제 유물도 유사한 부식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정촌고분 소환두도의 X선 투과조사 및 CT 분석 결과, 철제 외환에 T자형 슴베를 만들고 신부의 슴베와 연결하였다. 소환두도의 자도를 참고하여 모도의 형태를 유추하면, 모도는 환두, 병두금구, 병연금구를 은판(銀板)으로 감싸고 금제 환과 은제 선으로 병부를 장식하였다. 환두 슴베와 신부 슴베의 연결 방식은 리벳 구멍이 확인되지 않아 단접(鍛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미금구는 철판으로 형태를 만들고 끝단을 견직물로 감싸고 그 아래를 은판과 금제 환으로 장식하였다. 정촌고분 소환두도는 금 은 철제 금속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으며 백제, 신라, 가야의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주변 유적 및 여러 문화권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문화재단, 2012, 오산 수청동 백제 분묘군 IV, pp.295-303
  2. 공주대학교 박물관, 2000, 천안 용원리 고분군 발굴보고서
  3. 구자봉, 2004, 三國時代의 環頭大刀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7,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5. 국립대구박물관, 2007, 한국의 칼, pp.143-144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나주 복암리 3호분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옻과 교의 접착 특성 연구, p.31
  8. 국립중앙박물관, 2017, 쇠철강 철의문화사, pp.131-132
  9. 김우대, 2011,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본 백제.가야의 장식대도 영남고고학 59, 영남고고학회
  10. 문화재연구소, 1994, 황남대총 남분 발굴조사보고서, pp.102-103
  11. 우병철, 2015, 三國時代 裝飾大刀의 製作技術과 地域性 한국고고학보 96, p.112
  12. 이건무.이영훈.윤광진.신대곤, 1989, 의창 다호리 유적 발굴 진전 보고 (I) 고고학지 1, 한국고미술사연구소, p.18
  13. 이영범.서정호, 2009, 6세기 이전 제작된 전라북도 출토 소환두도의 병부(柄部) 제작기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25,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14. 임영희, 2011, 영남지역 원삼국기 철검.환두도의 지역별 전개과정 영남고고학 59, 영남고고학회
  15. 임지영.오카다 후미오, 2018, 김해 대성동 88호분 출토 칠도막 분석 보존과학회지 34(1),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53
  16. 조남철.김수철.김우현.신연식, 2010, 평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 옹(甕)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보존과학회지 26(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373-374
  17. Lyndsie Selwyn, 2004, Metals and Corrosion A Handbook for the Conservation Professional, Canadian Conservation Institute, pp.74-75
  18. Rong Lu and Tetsuo Miyakoshi, 2015, LACQUER CHEMISTRY AND APPLICATIONS, pp.26-27

Cited by

  1.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금동관의 원형과 의미 vol.53, pp.3, 2019,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3.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