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urricula of Korean Environmental and Similar Named Engineering Programs

우리나라 환경공학 및 유사명칭 학과의 교과 과정 분석

  • Jung, Joon-o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정준오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ies offering environmental field studies in Korea and the curricula were analyzed among 15 universities chosen from the above environmental engineering majors.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curricula were discussed based on the proposed curriculum derived from the needs of industry in the environmental field. As of December 2018, a total of 71 universities have offered the environment-related majors nationwide. The results of curricula analysis showed that the courses related in wastewater, air pollution were excessively focused among major courses of study. This seems to be due to the placement of subjects which were too much fragmented in contents and/or which were beyond undergraduate level. Therefore, through the sharing of course information among faculty members and continuous effort to improve courses,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more densely than quantitative expansion of cours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urses that include various environmental topics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In addition, the academic institutes need to play a role to develop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contents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the prospect of the environmental field.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 분야 전공 학과의 개설 현황 파악과 전국 주요 15개 대학의 환경공학 전공을 중심으로 개설 교과목에 대하여 교과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산업계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현 교과과정의 시사점과개선점을 토의하였다. 2018년 12월 현재 환경관련 전공을 운영 중인 대학은 총 71개교였다. 교과과정의 분석 결과는 전공 교과과정 중 수질, 대기 분야에 편중 현상이 심화되어 있었다. 이들 전공분야는 일부 대학에서 교과목을 지나치게 세분화하여 교과목 간 교과 내용의 차별성이 부족한 경우와 교과목이 학부에서 단일 교과목으로 한학기 다루기에는 수준과 분량이 과다 할 것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구성원간 교과목 정보의 공유와교과과정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단순 교과목의 양적 팽창보다는 교과과정을 보다 밀도 있게 구성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주제를 포함한 교과목의 개설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유관 학회를중심으로 산업계의 요구와 향후 환경 분야 발전 방향을 고려한 표준화된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제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