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ir drying was carried out on 15 Korean red pine logs to provide a prediction model of the moisture content (MC) change in the wood during drying. The final MC was 17.4% after 880 days since the beginning of air drying in the summer for 6 Korean red pine logs with 68.7% initial MC. The final MC was 16.0% after 760 days since the beginning of air drying in the winter for 9 Korean red pine logs with 35.8% initial MC. A regression model with R-squared of 0.925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initial MC, top diamete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as independent variable and and MC change during air drying as dependent variable. The initial MC and top diameter,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red pine, have greater effect on the MC decrease during air drying compared to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h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Two-dimensional mass transfer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MC distribution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Two prediction models with different air drying days and different meteorological factor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diffusion coefficient and surface emission coefficient were presented. The error between the different two methods ranged from 0.1 to 0.8% and the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value ranged from 2.2 to 3.6%. By measuring the internal MC during air drying of Korean pine logs with various initial MC and diameter, and calculating the moisture transfer coefficient in wood for each meteorological condition, the error of the prediction model can be reduced.
천연건조 중 목재의 함수율 변화 예측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15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를 수행하였다. 초기함수율이 68.7%인 6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여름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88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7.4%이었다. 초기함수율이 35.8%인 9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겨울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76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6.0%이었다. 소나무 원목의 말구지름, 온도, 상대습도, 풍속을 독립변수로 결정하고, 천연건조 중 감소한 함수율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결정계수 0.925의 회귀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소나무 원목의 특성인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이 기상조건인 온도, 상대습도, 풍속에 비하여 천연건조 중 함수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의 분포 및 함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물질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조일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수분확산계수 및 표면방사계수를 결정하는 기상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2가지의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2가지 적용 방법의 오차는 0.1 - 0.8%의 범위였으며, 측정값과의 차이는 2.2 - 3.6%의 범위였다. 다양한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을 측정하고, 각각의 기상조건에 대한 목재 내 수분이동계수를 산출하면 예측모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