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AM을 이용한 직렬형태 구조의 제연성능 구현에 관한 연구

Smoke Control Performance of a Serial Structure Using "CONTAM"

  • 투고 : 2019.11.11
  • 심사 : 2019.11.25
  • 발행 : 2019.12.31

초록

최근 건축물은 대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상 복합화·고층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화재의 발생빈도 및 잠재적인 위험요소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층 공동주택의 경우 비상용승강기와 별도로 승용승강기 중 1대 이상을 피난용승강기로 설치하게 되어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겸용의 경우 피난용승강기 승강장과 직렬형태의 구조가 되어 새로운 형태의 제연구역 이 발생한다. 따라서 비상용승강기 승강장과 피난용승강기 승강장의 직렬형태 구조에 대한 제연구역 선정의 제시가 필요하며, 새로운 형태에서 제연성능을 달성하는 것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NTAM을 이용하여 각 제연구역 형식(비상용승강기 승강장 단독제연, 피난용승강기 승강장 단독제연, 비상용승강기 승강장과 피난용승강기 승강장 동시제연 누설틈새 적용·미적용)의 방연풍속, 차압을 확인하고, 직렬형태 구조에 대해 제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recent trend shows that more buildings are being constructed as mixed-use (residential and commercial) properties for efficient land use.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frequency in the occurrence of fires and the associated potential risks. In particular, in case of high-rise apartments, at least one of the elevators in each building is installed for evacuation purposes separately from the emergency elevator; therefore, for a combined ancillary room and emergency elevator platform situation, the structure is inevitably in series with the evacuation elevator platform. Thus, a proposal for a new type of ventilation zone based on existing national fire safety codes is required to achieve smoke control performance. To this end, the air egress velocity and differential pressure of each ventilation zone are checked using the "CONTAM" software; further, an alternative is proposed to secure smoke control performance for series struct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National Fire Safety Code, "NFSC 501A", Korea (2019).
  2. Korean Society of the Fire, "Performance-oriented Smoke Control Design Techniques and Cases", Fire Protection Engineering Handbook, New Enlarged Edition, p. 635 (2015).
  3. S. W. Nam, "Design & Constructioin of Fire Protection System", pp. 4-98-4-106 (2015).
  4. Fire Department, "Fire Safety Standards for Staircases and Attached Rooms of Special Evacuation stairs", p. 5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