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he Elderly about Their Old Urban Community and the Direction of Community Changes Based on Photovoice

도시 저소득층 노후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인식과 변화의 방향성 연구 - 포토보이스 결과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91200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elderly residents about their old urban community and pursue the direction of community change based on their opinions. Photovoice method wa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aims of the study to emphasize direct conduct and participation, and to reflect voices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5 female elders who have lived for more than 30 years at Bansong 1 Dong area. They participated the photovoice program including taking pictures, discussions and in-depth interviews about the community lives. 6 theme 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271 photographs and the data of the discussions and interviews. Images of closed schools, empty houses and markets were dominant, which symbolized the aging and hollowing community. Also, still remained neighbors, traces of the old community, decent welfare facilities showed important meanings to maintain their daily lives vigorou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5 suggestions were made concerning future changes of urban community as follows: maintaining community schools, pursuing age-integrative community development, increasing community based facilities, and promoting elderly initiative participation in policy decisions related to the community.

본 연구는 도시 저소득층 노후지역의 장기거주자 노인의 지역사회 인식과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시재생사업을 비롯한 지역사회의 변화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연구참여자의 직접적 참여와 행동을 강조하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노인들의 주도적 지역사회 참여를 실현하고 연구참여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였다. 부산 반송1동 지역의 장기거주자 노인 5명으로 구성된 연구참여자들이 직접 촬영한 포토보이스 결과물 사진과 토의자료, 개별 심층면접의 진술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주제 범주가 나타났다. 문을 닫는 학교와 빈집, 한적한 시장 등 지역사회의 인구 유출과 고령화를 상징하는 내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남아있는 이웃과 과거 삶의 흔적, 지역사회의 복지 및 편의시설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 이미지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지역사회 교육기관의 존속 필요성, 세대통합적 도시 개발의 중요성, 노후 주거환경의 개선, 이웃공동체와 지역사회 복지 및 편의시설의 중요성, 도시재생사업에서 노인의 지역사회 인식과 지식에 기반한 주도적 참여의 필요성 등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