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Korean Youth (한국청소년연구)
- Volume 30 Issue 2
- /
- Pages.89-111
- /
- 2019
- /
- 1225-6366(pISSN)
- /
- 2288-8799(eISSN)
DOI QR Code
A study on chang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post-adolescents' job preferences: The application of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잠재전이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 적용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change trajectories of the job preferences of post-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class of job preferences. In order to do th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7th wave(22years old) and 9th wave(24years old) collected by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at 7th and 9th waves revealed that job prefer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namely, ideal preference type, environment-oriented type, and job search type. Seco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latent classes at 7th wave were transferred to the same classes at the 9th wave. Third, the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ed that English achievement level, gender, and a father's monthly income were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취업선호도 잠재계층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중학교 3학년을 매년 추적 · 조사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I의 7차년도와 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Collins & Lanza, 2010)과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 Quinlan, 1986)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 결과 7차년도와 9차년도 취업선호도에서 각각 3개의 이질적인 집단(이상선호형, 환경중시형, 취업탐색형)을 확인하였다. 둘째,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의 전이 확률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7차년도 잠재계층이 대부분 9차년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7차년도에 '이상선호형'에 속한 후기 청소년의 경우 9차년도에 '환경중시형'으로 변화될 확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실시한 결과 9차년도 취업선호도 잠재계층에 수능 외국어영역 등급, 성별, 아버지의 월평균 소득이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 시기의 취업선호도의 이질적인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영향요인만을 한정적으로 분석에 활용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다양한 변인을 분석에 포함할 수 있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해 후기 청소년의 취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