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Ecological Values in Cultural Contents and Plans for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문화콘텐츠의 생태적 가치 인식과 생태주의 문화콘텐츠 구상

  • Published : 20190500

Abstract

Ecological nature was independently established in cultural content before the industrial society. Cultural contents started to be distributed as products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since then there has been the coexistence of ecological and anti-ecological nature. Despite this change, community-based festivals and performances as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encompassing both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industrial society are still transmitted in som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n today's Korea. Based on this aspect,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ultural contents that is practiced in various ways for symbiotic relations between men, man and impersonal being, and further beings surrounding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man and nature. A basic plan for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would pursue the three following directions: first, establishing a symbiotic system of cultural contents to create synergic effects among elements; second, building a distribution structure of virtuous cycle for cultural contents by reinforcing the productive abilities of consumers and users; and finally, expanding the base of cultural contents to exercise ecological nature. The perception and development of this ecological cultural contents will propose practical acts to help the human society move forward to an environment-friendly future in today's situations where the Earth's self-purification mechanism has collapsed.

1산업사회 이전에는 문화콘텐츠에 생태성이 독자적으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산업사회 이후부터 문화콘텐츠가 상품으로 유통되면서 생태성과 반생태성이 공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에는 농어촌 일부지역에서 산업사회의 전과 후를 관통하는 생태적 문화콘텐츠인 공동체 기반의 축제와 공연이 여전히 전승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상에 입각할 때 생태주의 문화콘텐츠란, 인간과 자연은 물론 인간과 인간, 인간과 인간외적 존재, 나아가 문화콘텐츠를 둘러싼 존재와 존재 간의 공생관계 형성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실천되는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다. 생태주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기본구상을 집약하면 첫째, 요소 간 시너지가 발생되는 문화콘텐츠 공생체계 실현, 둘째, 소비자 생산능력 강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유통의 순환구조 확립, 마지막으로 생태성이 발휘되는 문화콘텐츠 구상과 정책적 저변 확대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생태주의 문화콘텐츠의 인식과 개발은 지구 자정작용 메커니즘이 붕괴된 오늘의 상황에서 우리 사회가 환경친화적인 미래로 나아가는 데 기여하는 실천적 행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