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ngle Cross Maize Hybrid 'Hwangdaok' for High Grain Yield

다수성 종실용 옥수수 단교잡 신품종 '황다옥'

  • Received : 2019.03.20
  • Accepted : 2019.04.20
  • Published : 2019.06.01

Abstract

'Hwangdaok', a new maize F1 hybrid (Zea mays L.), was developed by the maiz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16. The high-yielding yellow dent hybrid named 'Hwangdaok' was obtained by crossing between two inbred lines, 'KS203' and 'KS190'. After advanced yield trial in Suwon in 2012, regional yield trial was subsequently carried out to evaluate the growth and yield of 'Hwangdaok'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from 2014 to 2016. The number of days to silking of 'Hwangdaok' is 76. The plant height is 262 cm and ear height ratio is 51%,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Jangdaok'. It has resistance to lodging. The number of ears per 100 plants is 95. The ear length is 21.3 cm and weight of 100 seeds is 34.7 g, similar to those of 'Jangdaok'. It has moderate resistance to southern leaf blight (Bipolaris maydis) and European corn borer (Ostrinia nubilalis). The grain yield (10 ton/ha) of 'Hwangdaok' is 6% higher than that of 'Jangdaok'. The seed production rate of 'Hwangdaok' is acceptable due to good synchronization of flowering period during crossing between the seed parent, KS203, and the pollen parent, KS190, in Yeongwol. F1 seed yield was 1.68 ton/ha. 'Hwangdaok' can be a suitable cultivar to plain areas in Korea. (Variety registration No. 7502).

'황다옥'은 다수성 종실용 옥수수 품종 개발을 위하여 2009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자식계통 KS203과 KS190을 교잡하여 육성한 다수성 1대 교잡 품종(F1품종)이다. '황다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마치종이다. 2012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14~2016년까지 3년 동안 수원 등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6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고 '황다옥'으로 명명하였다. '황다옥'의 출사일수는 76일, 간장은 262 cm, 착수고율은 51%로 '장다옥'과 비슷하다. 도복은 '장다옥' 정도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주당 이삭수가 많으며, 이삭길이는 21.3 cm, 100립중은 34.7 g으로 '장다옥'과 비슷하다. 깨씨무늬병은 중강정도의 저항성이며, 그을음무늬병에는 강한 저항성이었다. 조명나방 저항성은 중 정도를 보인다. '황다옥'의 종실수량은 ha당 10톤으로 '장다옥'보다 6% 더 많았다. 2:1 (모본:부본) 재식비율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시험한 결과 모본 출사기와 부본 화분비산기간이 일치하였으며 채종수량은 ha당 1.68톤이었다. '황다옥'은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4292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