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ungmo1033', a Derivative of High-quality Native Rice Variety 'Jagwangdo'

재래벼 '자광도' 유래 고품질 벼 '중모1033'

  • 정응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원용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안억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현웅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조영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서정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오명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점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홍하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충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전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지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희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보경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8.12.18
  • Accepted : 2018.12.24
  • Published : 2019.03.01

Abstract

'Jungmo1033', a japonica rice variety,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1992. It i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native variety 'Jagwangdo', which has translucent milled rice and medium maturity; and 'Hwayeong', which is an elite line with bacterial blight resistance and mid-late maturity. The heading date of 'Jungmo1033' was August 10 in the middle plain area of Korea, which was two days later than that of 'Hwaseong'. 'Jungmo1033' has a culm length of 79 cm, which was 5 cm shorter than that of 'Hwaseong', and 105 spikelets per panicle. 'Jungmo1033' showed resistance to bacterial blight (K1, K2, and K3 races) and stripe virus, but susceptibility to the K3a race of bacterial blight, dwarf and black-streaked dwarf viruses, and planthoppers. The milled rice of this variety exhibited translucency and a medium short grain shape. It had an excellent appearance and lower amylose content (19.1%) than that of 'Hwaseo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ain milling were better than those of 'Hwaseong', especially head rice milling recovery ratio and head rice ratio (94.8%). 'Jungmo1033' showed a milled rice productivity of 5.38 MT/ha at 11 sites under ordinary cultivation conditions. (Registration No. 5723)

'중모1033'은 중부지역 적응하는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2년 하계에 우리나라 재래종 벼로서 밥맛이 좋고 쌀의 외관 품위가 우수한 '자광도'와 중만생이고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 품종 '화영'를 인공교배하여 육성계통 세대 진전 후 SR28254-12-3-1-1계통을 선발하여 수원54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지역적응시험 3년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3년 12월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재래벼를 이용한 중간모본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중모1033'으로 명명되었다. '중모1033'의 출수기는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0일로 '화성'보다 2일 늦은 중생종이고, 벼 간장은 79 cm로 '화성'보다 5 cm 작은 준단간이며, 이삭길이는 22 cm로 2 cm길고, 주당 이삭수 13개로 화성과 같은 특성이나, 이삭당 입수는 105개로 '화성'보다 많았다. 등숙률은 83.7%로 '화성'보다 낮았으며, 현미 천립중이 21.8 g으로 중소립종이다. '중모1033'은 도열병에 저항성을 보였고, 흰잎마름병은 K1, K2, K3 균계에 저항성을 보였으며, 줄무늬잎마름병에도 저항성을 보였지만, 오갈병 및 멸구류에 대한 저항성은 없었다. '중모1033'은 수발아가 43.5%으로 화성보다 높은 단점을 보였지만 내냉성은 '화성'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중모1033'의 백미외관은 심복백이 전혀 없는 맑고 투명 쌀의 외관품질 특성을 보였다. 알칼리붕괴도는 6.5, 단백질함량은 6.3%, 아밀로스함량은 19.1%로 '화성'하고 비슷한 쌀의이화학적 특성을 보였고, 관능검정에서 밥맛은 -0.05로 '화성'하고 비슷한 품종이었다. 제현율, 현백률 및 도정률은 '화성'과 비슷하였으나 도정된 쌀의 백미완전립률이 94.8%로 '화성'의 86.3%보다 높은 편이었고 완전미도정수율도 70.1%로 '화성'보다 우수한 도정특성을 보였다. '중모1033'의 쌀수량은 중부평야지와 중서부해안지 등 11개 지역에서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5.38 MT/ha로 '화성'의 5.08 MT/ha 보다 6% 높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쌀 가공 산업대규모화를 위한 맞춤형 가공용 벼 품종개발, 세부과제번호: PJ013150022018)의 지원으로 수행된 결과의 일부입니다. '중모1033'을 육성함에 있어 적극 협력하여주신 국립식량과학원 벼육종 연구팀 및 각 도농업기술원 지역적응시험 담당자들과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관계관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