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탄성파 축소모형 실험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활용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Seismic Physical Modeling

  • 김대철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에너지자원공학과) ;
  • 신성렬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정우근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신창수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 임경민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에너지자원공학과)
  • 투고 : 2019.05.03
  • 심사 : 2019.06.21
  • 발행 : 2019.06.30

초록

탄성파 축소모형 실험에서의 3D 프린팅 기술 활용에 관하여 파악하였으며,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연구를 서술하였다. 먼저 3D 프린팅 기술을 적층 방식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3D 프린팅 기술 활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리탐사 분야의 국내외 학술지에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고 관련 연구를 연도 및 3D 프린팅 적층 방식에 따라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대부터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이는 3D 프린터의 상용화 시점과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논문의 87%가 material extrusion 적층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수행된 연구들은 특정 대학에 집중되어 수행되었다. 본 연구 내용을 활용한다면 탄성파 축소모형 실험 분야에서 3D 프린팅 기술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seismic physical modeling was investigated and the related domestic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seven types of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were evaluated. In this report, to confirm the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related stud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of geophysics were searched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year and the additive manufacturing type. The analysis showed that studies on 3D printing technology have been dominantly conducted since the 2010s, which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3D printers were commercialized. Moreover, 87% of the studies used the material extrusio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specific universitie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geophysic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No. 2018-2510102470)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는 '스트리머·OBC 복합 탄성파 탐사자료를 적용을 위한 탄성매질 파형역산 모듈 개발(19-3312))' 과제에서 지원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