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st-lintel Style Stylobate of the Wooden Architecture in Silla -Focusing on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the Sumijwa Style Stylobate -

신라 목조건축물의 가구식기단 연구 -수미좌식(須彌座式) 기단의 출현과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 이상명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9.07.30
  • Accepted : 2019.10.14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is study covered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which emerged in Silla around the late 7th century.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Sumijwa was used as the seat of the Buddha. It was used as a stylobate of tower in the Sui Dynasty and as a stylobate of central buildings in the Tang Dynasty, raising the status of buildings. In the late 7th century, Silla faithfully embodied Buddhist view of the world under its architecture by accepting the latest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The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is believed to be the beginning of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in Silla. Gradually, in the central buildings within the capital, the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became common. Starting with Bulguksa Temple's Daeungjeon Hall, the materials of stylobate and staircaes will be integrated from the late 8th century. Silla's stylobate of the Sumijwa style can be evaluated as a step-by-step leap in religious, political, technical and aesthetic's terms.

Keywords

References

  1. 경주시, 경주 불국사 대웅전 단청 문양 모사 및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7
  2. 경주시.한국전통문화대학교, 신라왕릉 학술조사보고서, 2000
  3.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慶州市, 感恩寺發掘調査報告書, 1997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II 回廊內廓발굴조사보고서, 2013
  5.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금당 기초 연구, 2010
  6.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건물복원 기초연구, 2012
  7.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황룡사 복원 제1차 심화연구, 2013
  8.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 고대건축의 기단-경북.경남.대구.울산 편-, 2012
  9.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實相寺II, 2006
  10. 金德原, 新羅眞德王代金春秋의 對唐外交와 官制整備, 신라문화, 27, 2007
  11. 남창근.김태영,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특성, 건축역사연구, 제21권, 1호, 2012
  12. 東亞大學校博物館, 陜川靈巖寺址I, 1985
  13. 문화재청.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망덕사지 발굴조사보고서, 2015
  14. 문화재청.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I)-목탑지편-, 2009
  15. 문화재청.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동아시아 고대사지비교연구(II)-금당지편-, 2010
  16.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佛國寺復元工事報告書, 1976
  17. 문화재청, 경주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해체수리보고서, 2013
  18. 문화재청, 華嚴寺覺皇殿實測調査報告書, 2009
  19. 박보경, 慶州高仙寺址伽藍配置와 三層石塔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 박언곤.이재인.최효식, 韓國佛敎寺院의 戒壇과 戒壇圖經의 比較硏究, 건축역사연구, 제16권, 2호, 2007
  21. 염중섭, 玉蟲廚子의 原本尊像에 관한 내적인 타당성 검토-옥충주자 내의 相互反響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제45집, 2008
  22. 이정민.미조구치 아키노리, 新羅四天王寺建立過程再考, 건축역사연구, 28권, 2호, 2019
  23. 이희봉, 탑 용어에 대한 근본 고찰 및 제안, 건축역사연구, 19권, 4호, 2010
  24. 정동준,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역사와 현실, 46호, 2002
  25. 정동준, 7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정책, 역사와 현실, 61호, 2006
  26. 通度寺, 通度寺大雄殿및 舍利塔實測調査報告書, 1997
  27. 刘捷, 台基,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9
  28. 蕭默, 敦煌建築硏究, 文物出版社, 1989
  29. 梁思成, 梁思成全集第七卷,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1
  30. 李百进, 唐风建筑营造,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