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the Empathy of Infants in a One-year-old Classroom

만 1세반 영아(23~31개월)의 공감에 관한 질적연구

  • 정은숙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이승연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8.15
  • Accepted : 2019.10.11
  • Published : 2019.10.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and how infants showed their empathy in everyday lives at a childcare cent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0 infants (23~31 months) attending a one-year-old classroom in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primarily tho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Results: The infants showed four categories of empathy in their everyday lives. The first one was related to the safety of their peers; it was presented when the infants found out that their peers were sick, in trouble, and having a hard time separating from their parents, or when they found possible risks to their peers. The second one was related to the achievement of their peers; it was presented when the infants noticed their peers trying hard to continue their play. The third one was related to the infants' pleasure; it was presented when they felt shared interests and joy with their peers. The fourth one was related to the infants' self-reflection; it was presented when the infants found out that what they had been doing made their peers upset.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infants'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and also imply the need to support their development of empathy continuously.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희, 김신영, 김은희, 배지희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와의 공감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19-144.
  2. 김나원, 류경희, 심성경 (2014).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613-631. doi:10.5934/kjhe.2014.23.4.613
  3. 김은주, 김미정, 안세정 (201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교사교육연구, 50(3), 119-135. doi:10.15812/ter.50.3.201112.119
  4. 김효진 (2017). 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이해와 실제에 관한 질적탐색. 육아지원연구, 12(4), 167-195. doi:10.16978/ecec.2017.12.4.007
  5. 문연심 (2004). 부모, 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1), 115-144.
  6. 박성희 (201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7. 서미옥 (2007).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공감적 이해 및 도덕 판단력. 교육연구논총, 28(2), 79-98.
  8. 송승희, 장경은 (2015). 유아의 정서적 공감능력,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6(3), 59-75. https://doi.org/10.5723/KJCS.2015.36.3.59
  9. 이석순 (1999).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9, 239-266.
  10. 이선경 (2016). 영유아의 공감능력 발달에 대한 고찰. 글로벌사회복지연구, 6(2), 27-42.
  11. 이영은, 송현주 (2014). 영아의 도움행동과 방해 행동의 의도 이해. 인지과학, 25(2), 135-157. doi:10.19066/cogsci.2014.25.2.004
  12. 이정희, 정계숙 (2006). 유아 교사용 정서 공감 척도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12, 25-43.
  13. 장미선, 문혁준 (2004). 유아의 공감에 관련된 변인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9), 53-66.
  14.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101-122.
  15. 조경자, 조은지, 이경미 (2012). 공감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의 과제 및 방향. 2012년 한국육아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강연, 서울.
  16. 조성호, 이희경 (2008). 공감과 마음이해: 종합적 접근. 인간연구, 15, 169-202.
  17. 조은진 (2012). 공감 중심의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논총, 19(11), 219-233.
  18. 지성애, 정하나 (2015). 유아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35(3), 101-126. doi:10.18023/kjece.2015.35.3.005
  19. 최정아 (2015). 만 3세 유아의 교실에서의 공감하기 상황과 그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4), 67-92.
  20. 한유정, 김순혜 (2015).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2), 471-492.
  21. 현진영, 김수영 (2015).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향상과 공격성감소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4(3), 313-328. doi:10.17643/KJCE.2015.24.3.17
  22. Bartens, W. (2017). Empathie: Die Macht des Mitgefuhls: Weshalb einfühlsame Menschen gesund und glücklich sind, 공감의 과학 : 인간의 생존에 공감은 왜 필수적인가?(장혜경 옮김). 서울: 니케북스(원판 2015)
  23. Bischof-Kohler, D. (2012). Empathy and self-recognition in phylogenetic and ontogenetic perspective. Emotion Review, 4(1), 40-48. doi:10.1177/1754073911421377
  24. Bogdan, R. C., & Biklen, S. K. (20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etion to theory and methods,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조정수 옮김). 서울: 경문사(원판 2006).
  25. Borba, M. (2004). Building moral intelligence: The seven essential virtues that teach kids to do the right thing, 도덕지능: 건강한 사회인, 존경받는 리더로 키우는(현혜진 옮김). 서울: 한언(원판 1993).
  26. Borke, H. (1971). Interperson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Egocentrism or empathy? Developmental Psychology, 5(2), 263-269. doi:10.1037/h0031267
  27. Cuff, B. M. P., Brown, S. J., Taylor, L., & Douglas, J. H. (2016). Empathy: A review of the concept. Emotion Review, 8(2), 144-153. doi:10.1177/1754073914558466
  28. Decety, J. (2018). Empathy: From bench to bedside, 공감: 기초에서 임상까지(현지원, 김양태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12).
  29. Degortardi, S., & Pearson, E. (2014). The relationship worlds of infant and toddlers: Multiple perspectives from early years theory and practice. Berkshire, UK: Open University Press.
  30. Echols, S., & Correll, J. (2018). It's More than Skin Deep: Empathy and helping behavior across social groups, 공감은 눈에 보이는 표면적인 것, 그 이상이다: 사회적 집단에서 공감과 도움 행동. In J. Decety (Ed.), Empathy: From bench to bedside, 공감: 기초에서 임상까지(현지원, 김양태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12).
  31. Flavall, J. H. (1982). Cognitive development, 인지발달(서봉연, 송명자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1977).
  32. Glesne, C. (2008).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질적 연구자 되기(안혜준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판 2006).
  33. Gopnik, A. (2010). The philosophical baby, 우리아이의 머릿속 : 세계적인 심리학자 엄마가 밝혀낸 아이 마음의 비밀(김아영 옮김). 서울: 랜덤하우스(원판 2010).
  34. Gordon, M. (2010). Roots of empathy: Changing the world, child by child, 공감의 뿌리: 아이들 한명 한명이 세상을 바꾼다(문희경 옮김). 서울: 샨티(원판 2005).
  35. Graue, M. E., & Walsh, D. J. (2014).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어린이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홍용희, 이경화, 배지희 옮김). 경기도: 파워북(원판 1998).
  36. Hakansson, J., & Montgomery, H. (2003). Empathy as an interpersonal phenomen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0(3), 267-284. doi:10.1177/0265407503020003001
  37. Roth-Hanania, R., Davidov, M., & Zahn-Waxler, C. (2011). Empathy development from 8 to 16 months: Early sign of concern for other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4(3), 447-458. doi:10.1016/j.infbeh.2011.04.007
  38. Hasse, R. F., & Tepper, D. T. (1972). Nonverbal components of empathic communic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5), 417-424. doi:10.1037/h0033188
  39. Hatch, J. A. (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2).
  40. Hoffman, M. L. (2011).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공감과 도덕발달: 배려와 정의를 위한 함의들(박재주, 박균열 옮김). 서울: 철학과 현실사(원판 1982).
  41. Howe, D. (2013). Empathy: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공감의 힘(이진경 옮김). 서울: 지식의 숲(원판 2013).
  42. Hunter, J. E., & Boster, F. J. (1978). An empathy model of compliance gaining message strategy sel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Minneapolis, Minnesota.
  43. Krznaric, R. (2014). Empathy: A handbook for revolution, 공감하는 능력: 관계의 혁명을 이끄는 당신 안의 힘(김병화 옮김). 서울: 길벗(원판 2013).
  44. Lee, S. Y. (2006). A journey to a close, secure, and synchronous relationship: infant-caregive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a childcare context.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4(2), 133-151. doi:10.1177/1476718X06063533
  45.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t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6. Quann, V., & Wien, C. A. (2006). The visible empathy of infants and toddlers. Young Children, 61(4), 22-28.
  47. Rifkin, J. (2010). 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공감의 시대(이경남 옮김). 서울: 민음사(원판 2009).
  48. Smidt, S. (2012). Introducing Malaguzzi: Exploring the life and work of Reggio Emilia's founding father. London. UK: Routledge.
  49. Spradley, J. P. (2006). Participant observation, 참여관찰법(신재영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1980).
  50. Stern, D. N. (2015). The first relationship: Infant and mother, 첫 번째로 맺는 관계: 유아와 어머니(민주원 옮김). 서울: 눈출판사(원판 1997).
  51. Taylor, S. J., & Bogdan, R. (1984).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search for meanings (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2. Waal, F. D. (2017). The age of empathy: Nature's lessons for a kinder society, 공감의 시대: 공감 본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위해 진화하는가(최재천 옮김). 경기도: 김영사(원판 2009).
  53. Warneken, F., Chen, F., & Tomasello, M. (2006). Cooperative activities in young children and chimpanzees. Child Development, 77(3), 640-663. doi:10.1111/j.1467-8624.2006.00895.x
  54. Zahn-Waxler, C., & Radke-Yarrow, M. (1990). The origins of empathic concern. Motivation and Emotion, 14(2), 107-130. doi:10.1007/bf00991639
  55. Wittmer, D. S. (2008). Focusing on peer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 the early years. Washington, DC: Zero to Three.
  56. Wittmer, D. S., & Petersen, S. H. (2011).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영아발달과 반응적 교육: 관계중심 접근법(이승연, 김은영, 강재희, 문혜련,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

Cited by

  1. 18~24개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신념 및 신념에 따른 양육 실제 vol.17, pp.4,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