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rust and Distrust in Government Influence Electoral Participation: The Moderating Role of Ideology and Partisan Preferences

정부신뢰와 정부불신, 그리고 투표 참여: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에 따른 차별적 유인

  • 길정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Received : 2019.06.16
  • Accepted : 2019.08.18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trust in government leads voters' electoral participation with paying attention to their political orient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takes voters' partisan consideration into account to examine different direction of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electoral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ir ideology and partisan preferences. Key findings show that governmental trus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lectoral participation for voters who have conformable ideological orientations to the incumbent government and positive preferences toward the ruling party. In contrast, distrust in government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lectoral participation for those who have different ideology from the incumbent,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ruling party, and partisan preferences of the opposition party.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al trust and electoral participation have been mixed as yet. For the sake of explaining this inconclusiveness, this study focuses on partisan foundation of voters' political decision making. It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properties of governmental trust and its implications for representative democracy.

본 연구는 유권자의 정부신뢰와 투표 참여의 관계를 규명하는 가운데, 이에 개입하는 유권자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의 영향력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정부신뢰가 유권자의 정파적 사고에 기반한 것임을 고려하여, 정부신뢰가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유권자들의 이념성향과 정당호감도에 따라 상이한 방향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정부와 이념적인 성향이 상응하거나 여당에 대해 높은 호감도를 가진 유권자들은 정부신뢰가 높아질수록 투표에 참여한 반면, 정부와 상이한 이념성향을 지니거나 여당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및 야당에 대한 긍정적인 선호를 가진 유권자들은 정부에 대한 불신이 강화될수록 투표에 참여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정부신뢰가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관된 결론에 이르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본 연구는 각 선거가 치러지는 당시의 맥락과 상황에 따른 해석보다 정부신뢰가 투표 참여를 추동하는 보다 정치적이고 본질적인 과정을 밝힘으로써 그에 답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정부신뢰가 지니는 정치적 속성과 그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