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inciple of Making-Music of the Chaegut ("Stroke Music") in Farmers' Band Music

풍물굿 채굿 가락의 형성원리에 관한 연구

  • 이용식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 Received : 2019.07.08
  • Accepted : 2019.08.21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Farmers' band music is a religious ritual in Korea. It is a solemn ritual to exhibit the auspicious holiness of the people to the God. Most of the ritual is accomplished by music. The music of the farmers 'band, in this sense, has its meaning as the expression of holiness by sound.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principle to make various rhythms of farmers' band music,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aegut (lit. "stroke music"). It is very symbolic because the name of the music shows the strokes of the gong, called jing, in a rhythmic phrase. In this sense, the chaegut is man-made music based on the specific principles in accordance with the strokes of the gong. Among many chaegut rhythms, samchae (lit. "three strokes") to chilchae (lit. "seven strokes") are the main rhythms. They were made after the principle of 'forward with drums, backward with gongs' in Five way procession. It the basic principle of military procession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rocession follows with the sound of the drums and gongs. There was always a principle of "five strokes" to control the procession. The "five strokes" became the basis of the making of chaegut rhythms. The rhythms of the samchae to chilchae are based on the rhythm of samchae. The samchae has three gong strokes in a cycle, which exhibits the chaotic moment with the rhythmic noise. The name of the rhythm exhibits the correspondence of the signifiant, that is the name "three strokes" and the signifié, that is the real three strokes of gongs in music. Other four rhythms has made up from the samchae with half cycles are added in accordance with the strokes of the gongs. In this way, the chaegut shows the principle of "five strokes" in the military procession. The rhythm of ochae jilgut is a mixture of ochae (lit. "five strokes") and jilgut (lit. "road music") which is usually performed on the road to a mountain shrine. The musical structure of ochae jilgut corresponds to the colotomic structure of Southeast Asian music and the 15th-century music of old musical scores. The rhythm of gilgunak chilchae is a mixture of gilgunak (lit. "road military music") and chilchae (lit. "seven strokes"). The rhythmic structure is similar to other regional music, sijo ("short song") of the literati music and norae garak (lit. "some melody") of the shaman music. In sum, the chaegut is very artistic music made from the military procession of the Joseon Dynasty. The name of the rhythm corresponds with the strokes of the gong in a cycle. In this way, the chaegut shows the principle of music-making to exhibit the 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풍물굿은 신성한 종교의식이고, 이는 인간이 절대적인 존재에게 바치는 신성한 행사이다. 종교의식에는 공동체 집단의식으로서 제의적인 행동이 수반되고, 음악은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제의적 요소이다. 즉, 종교와 종교의식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풍물굿 가락은 풍물굿의 종교성과 신성성을 소리로 구현하는 종교적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풍물굿 가락은 인간의 제의성을 발현하는 음악적 상징을 갖기도 한다. 풍물굿의 채굿은 한 가락에 쳐지는 징의 점수에 따라 가락 이름을 부여한다. 즉, 가락 이름이라는 기표(記標)와 가락이라는 기의(記意)를 직접적으로 지칭하는 음악적 기호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러므로 채굿은 인간이 '만든' 인위적인 가락이다. 이글에서는 채굿의 형성원리를 규명하여 채굿의 제의적 상징성을 밝히고자 한다. 채굿은 삼채~칠채가 기본이다. 그 원리는 조선시대 군사 훈련의 기본진법인 오방진법(五方陳法)의 '고진금퇴가(鼓進金退歌)'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조선 초기 간행된 각종 병서에서 진법의 기본원리가 된 오방진법은 북과 징의 '오타(五打)'의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북과 징의 '오타' 원리는 진법 계획을 반영한 것이다. 그리고 '오타'의 구조원리가 채굿 형성의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채굿의 원형"으로 꼽히는 곡성죽동농악의 삼채~칠채는 기본형인 삼채 가락에 3소박 2장단 가락이 하나씩 더해지면서 다섯 개의 가락인 사채~칠채 가락을 만든다. 삼채 가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3소박 4박 장단에 징을 제1, 2, 3박에 3점 치는 가락이다. 삼채 가락은 징을 3점 쳐서 '리듬적 요란함(rhythmic noise)'을 통한 규정된 일탈을 통해 제의성을 담지한 가락이다. 그리고, 징 3점에 따라 이름을 붙여서 '삼채 '라는 기표와 삼채 가락이라는 기의가 일치하는 상징성을 갖게 된다. 징 3점의 '삼채' 가락을 기본으로 3소박 2박씩 징이 1점 들어가는 가락을 더해서 사채~칠채 가락이 완성된다. 즉, 삼채~칠채 가락은 오방진법의 '오타' 구조원리가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 오래되고 제의성을 담보한 혼소박 4박의 일채 가락이 더해지고, 일채와 삼채 가락의 다리 역할을 위하여 징을 2점 치는 이채 가락이 더해진다. 이것이 채굿의 형성원리이다. 오채질굿은 징 5점의 '오채'와 제의적 가락인 '질굿(길굿)'이 혼합된 것이다. 오채질굿은 5장단으로 구성된 가락으로서, 각 장단의 매 첫 박에 징 1점이 들어가는 가락이다. 이는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흔히 발견되는 콜로토믹(colotomic) 음악형식의 반영으로서, 조선 초기 각종 음악에서 나타나는 '고요편쌍(鼓搖鞭雙)' 장구형의 흔적이기도 하다. 길군악칠채도 징 7점의 '칠채'와 제의적 가락인 '길군악(길굿)'이 혼합된 것이다. 길군악칠채는 3장 형식으로서 경기 지역의 평시조 및 <노랫가락>과 음악적 특징을 공유한다. 결국 채굿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가락이다. 채굿은 징점에 의한 가락의 이름이라는 기표와 음악적 가락이라는 기의가 일치하게 만들어진 가락이다. 그러므로 채굿은 종교적 제의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고도의 음악만들기(music-making)의 원리로 만든 가락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