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Data-Flow Optimization and Advanced Application Research on KREONET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서의 첨단연구 적용과 데이터흐름 최적화모델 연구

  • Noh, Minki (Korea Institu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KISTI)) ;
  • Lee, Chankyun (Korea Institu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KISTI)) ;
  • Jang, Minseok (Korea Institu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KISTI)) ;
  • Seok, Woojin (Korea Institut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KISTI))
  • Received : 2019.09.17
  • Accepted : 2019.10.03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e paradigm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R&D system changes from the existing form of independent research to community research which transmits and stores large-capacity data generated from observation and experiment to the research site through a high-speed network. Network-dependent advanced research is improves form of collaboration, sharing, globalization. For this purpose, not only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IT technology, but also the optimized network infrastructure and technology for real-time sharing of the enormous data is necessary. This paper explains the direction of change through the case of KREONET's network-dependent advanced research and analyzes the technology and network resources supported in each research field. Through this, we propose a network optimization model for each advanced research field with the main data flow and satisfy the network required performance by advanced applications on KREONET.

과학기술·연구개발체계의 패러다임은 기존 단독형 연구수행 형태에서 변화하여 관측과 실험에서 발생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현장에 송수신하고 저장하며, 이를 각 연구자 (기관)의 목적에 맞도록 활용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형 첨단연구는 협업화, 공유화, 공용화, 글로벌화 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과 IT기술의 결합 뿐 아니라, 점점 거대화되는 데이터의 실시간 공유와 활용을 위해 최적화된 네트워크 환경과 기술 간의 융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KREONET)의 네트워크형 첨단 연구의 사례를 통해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데이터흐름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주요 데이터흐름과 용량에 따른 네트워크 최적화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네트워크형 첨단연구에서 요구되는 실시간성 연구수행 성능을 충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