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기술 교과서의 시각자료 분석

Analysis of Visual Material of Primary School Technology Textbooks in Nigeria

  • 투고 : 2019.07.30
  • 심사 : 2019.09.16
  • 발행 : 2019.09.30

초록

코이카의 지원으로 2018년에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 개교한 나이지리아-코리아 모델학교(NKMS)에 필요한 기술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하여 교과서의 시각자료 분석이 필요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기술교과서의 시각자료를 외형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하여, 차기 NKMS 기술 교과서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현지에서 사용되고 있는 10종의 기술 교과서이다. 교과서의 분석 기준은 이춘식(2011)의 분석틀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였으며, 외형적 측면에서는 시각자료의 종류, 크기, 확대정도, 모양이었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시각자료 인물의 성별, 역할, 기능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기술, 체육으로 구성된 통권 교과서보다는 기술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분권이 필요하며 기술의 영역별로 저자를 위촉하여 팀 단위로 저작을 하여 내용의 다양성을 기해야 한다. 둘째, 사진 위주의 단순한 시각자료의 형태를 다양화하여 그림, 만화, 도해, 도표를 사용함으로써 기술의 내용과 밀접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시각자료의 크기를 다양화하여 학습자에게 동기유발을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시각 디자인의 측면에서 편집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넷째, 현재는 부분확대 자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나, 기술의 제품이나 도면 등과 같은 디테일한 부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시각자료를 부분 확대하여 제공해줌으로써 선명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시각자료를 일률적으로 사각형만을 사용하지 말고, 원형이나 배경 생략 등을 활용함으로써 질 높은 편집의 다양성을 꾀하여야 한다. 여섯째, 현재 남성 중심의 시각자료로 제시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고정관념을 갖지 않도록 여성을 배려하여 공동으로 제시함으로써 양성평등의 개념을 형성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일곱째, 학습자 중심의 교과서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시각자료의 역할을 '자료제공'과 더불어 동기유발, 활동안내, 활동결과로까지 확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각자료의 기능을 필수적 기능에 더하여 보조적 기능과 장식적 기능을 활용하여 교과서의 질을 업그레이드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extbooks of Nigeria-Korea Model School by analyzing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Illustration in Nigerian primary school technology textbooks, and 10 textbooks used in Nigeri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the visual data should be diversified into a picture, a cartoon, a diagram, and a diagram from the photograph center,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technology.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illustration so as to induce learners to be motivated, and to enhance the effect of editing. Third, currently, partial enlargement data is rarely used, but visual material should be partially enlarged in order to express a detail part of product. Fourth, diversity of editing should be done by using circular or background omission rather than using only rectangle uniformly in visual material. Fifth, in terms of gender equality, it is necessary to deviate from male-centric visual materials and edit them with consideration for women. Sixth, in order to provide learner-centered textbooks, the role of visual materials should be extended to 'inducement of motivation', 'activity guidance', and 'activity result' in addition to 'providing data'. Finally, in terms of the function of visuals, the quality of textbooks should be upgraded by utilizing auxiliary and decorative functions in addition to essential fun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Akintelrure, B. B., et al. (2017). Classic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Lagos: Thursmay Publishers.
  2. Bakare, S. (2016). Basic Science & Technology. Lagos: Razat Publishers Ltd.
  3. Bezuidenhout, W., et al. (2016).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Ibadan: Macmillan Publishers Ltd.
  4. Duchastel, P. C. (1978). Illustrating Instructional Texts. Educational Technology, 18(11). 36-39.
  5. Fleming, M. (1967).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instructional illustrations. AV Communication Review, 15(3), 246-258. https://doi.org/10.1007/BF02768609
  6. Harriman, T., Abubakar, M., & Shonubi, A. (2015).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for primary. Ibadan: Extension Publications Limited.
  7. Hassan, A. T., et al. (2017). Modular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for Primary Schools. Ibadan: Evans Brothers Limited.
  8. Ijiyemi, C. (2018). Foundations of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Lagos: Metropolitan Publishers Ltd.
  9. Ivowi, E. O., et al. (2017).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for primary Schools. Lagos: West African Book Publishers Ltd.
  10. KOICA. (2019). School Operation Manual: Primary & Junior Secondary. Abuja: NKMS.
  11. Lee, C. S. (2011). Illustrations Analysis of Technology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of the Revised Curriculum 2007.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195-213.
  12. Levie, W. H., & Lentz, R. (1982). Effects of text illustrations: A review of research.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30(4), 195-233. https://doi.org/10.1007/BF02765184
  13. Myatt, B., & Carter, D. (1979). Picture preferenc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27, 43-45.
  14. NCWD. (2016). Update study on maternal health indicators in Nigeria 2016: Addressing issues of gender equality. Abuja: National Center for Women Development.
  15. NERDC (2015). The Revised 9-Basic Education Curriculum at a Glance. Lagos: NERDC Press.
  16. Phillip, O., et al. (2016). Basic Technology. Lagos: Spectrum Books Limited.
  17. Pocock, L., et al. (2016). Smart Basic Science & Technology. Lag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of Nigeria.(2016). STAN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UBE Edition. Ibadan: University Press Plc.
  19. Spaulding, S. (1956). Communication potential of pictorial illustrations. AV Communication Review, 3, 3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