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LMX) Within ICT Corporates for Fire Preven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ICT소방 기업의 조직공정성이 조직후원인식과 LMX를 통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황환성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권두순 (청운대학교 교양대학)
  • Received : 2019.05.30
  • Accepted : 2019.08.1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in ICT corporates for fire prevention, through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Organizational Support. A survey was conducted to corporate employees from staff members to executives. A total of 316 responses were collected during two weeks from May 1st to 17th, 2019, and were analyz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e theory on ICT fire prevention was as follows: First, Distributive Justi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upport, while it does not on LMX. Second, Procedural Justi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Organizational Support and LMX. Third, while Interactional Justice does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upport, LMX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LMX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earch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d the Justice Theory on ICT corporates for fire prevention from staff members to executives. It is considered so, since existing researches mainly address on the status of technologies and policies on how to link fire prevention and ICT, and not on fair compensation based on Organization Justice theory. Practical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its suggestions to improving organizational culture from top-down to bottom-up, thus creating free and engaging atmosphere at work. It is therefore need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that categorize executives by their traits, and examine factors influenc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in ICT corporates for fire preven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곤, 이대성, 조재영, 한송이, 김태환, "소사회 재난 대응을 위한 ICT기술 활용 인식조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제12권, 제3호, 2016, pp.249-260.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 재난에 대한 과학기술 지원체계 및 운영방안 연구," 행정안전부
  3.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disaster yearbook, 2015.
  4. 강희조, "ICT를 활용한 스마트 재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2014, pp.18-21.
  5. 원숙연, "조직의 문화적 특성이 여성관리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2호, 2010, pp.63-84.
  6. 안대영, 서강현, 정홍상, "일선 소방 공무원의 조직 행태에 관한 실증연구-셀프 리더십, 조직 몰입, 혁신 행동, 조직 시민 행동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8호, 2013, pp.193-210.
  7. 이원주, "소방조직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3권, 제1호, 2019, pp.164-170.
  8. 김영곤, 고대유, "한국적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0권, 제4호, 2016, pp.321-347.
  9. 이중길, 조윤직, "소방조직 내 조직시민행동의 결정요인으로서 조직커뮤니케이션의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50권, 제4호, 2016, pp.243-272.
  10. Greenberg, J.,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Vol. 16, No. 2, 1990, 393-432. https://doi.org/10.1177/014920639001600208
  11. 변재우, 성혜진, "조직정치지각이 조직공정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7권, 제7호, 2018, pp.199-216.
  12. Adams, J. S., "Towards an Understanding of Inequity,"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 67, No. 5, 1963, pp.422-436. https://doi.org/10.1037/h0040968
  13. 김희수, 한상현,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상사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9권, 제9호, 2017, pp.323-341.
  14. Adams, J. S., "Inequality in social exchange advances. In L. Berkowitz (Ed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pp.267-299.
  15. 전수진, "조직공정성 유형이 신뢰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6권, 제1호, 2017, pp.81-104.
  16. 양인덕, "조직공정성은 시민행동을 반드시 증진하는가?,"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제4호, 2012, pp.255-275.
  17. 김호균, 김정인, "미국 NPO 조직에서의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 관계고찰," 韓國行政學報, 제47권, 제2호, 2013, pp.161-187.
  18. 권나경, 이상재, 김혜린,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2014, pp.237-246.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237
  19. Colquitt, J. A., Conlon, D. E., Wesson, M. J., Porter, C. and Ng, K. Y., "Justice at the Millennium: A Meta-Analytic Review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6, No. 3, 2001, pp.425-445. https://doi.org/10.1037/0021-9010.86.3.425
  20. Colquitt, J. A. and Rodell, J. B., "Justice, Trust, and Trustworthiness: A Longitudinal Analysis Integrating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54, No. 6, 2011, pp.1183-1206. https://doi.org/10.5465/amj.2007.0572
  21. 타브하이투메리, 배병룡, "조직 공정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9권, 제3호, 2015, pp.1-23.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3.1
  22. 김봉환, 조남신,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과 경영혁신 수용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 관리연구, 제39권, 제2호, 2015, pp.99-132.
  23. 이종찬, "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제21권, 제5호, 2014, pp.227-244.
  24. Eisenberger, R., Hungtington, R., Hutchison, S., & Sowa, 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1, No. 0, 1986, pp.500-507.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25. 김건, 김연선, "경로분석을 활용한 특급호텔 직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후원인식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7호, pp.181-192.
  26. 고환상, 서재현, "변혁적 리더십, 조직후원인식, 성취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大韓經營學會誌, 제25권, 제1호, 2012, pp.435-459.
  27. Wayne, S. J., Shore, L. M. & Liden, R. C.,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0, No. 1, 1997, pp.82-111. https://doi.org/10.2307/257021
  28. 이윤호, 서영규, "호텔종사원의 조직후원인식 (POS)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24권, 제3호, 2010, pp.221-236.
  29. Sparrowe, R. T. & Liden, R. C., Process and Structure in Leader-Member Ex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2, No. 2, 1997, pp.522-552.
  30. 임현철, 서광열, "호텔직원의 조직후원인식,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제25권, 제2호, 2011, pp.159-174(16쪽).
  31. 김희진, "호텔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조직후원인식,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5권, 제2호, 2013, pp.97-113.
  32. 송주형, 김성혁, 김용일, "호텔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 조직후원인식, 집단응집성 그리고 고객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 특1급 호텔직원들을 대상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3권, 제2호, 2014, pp.89-105.
  33. 이재원, "종단적 분석을 통한 조직후원인식과 직무/작업 환경 변수 인식 사이의 인과 관계 추정,"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3권, 제3호, 2009, pp.159-185.
  34. 서재현, "조직몰입과 조직후원인식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 RJP와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經營硏究, 제26권, 제4호, 2011, pp.253-280.
  35. 양현교, 김성혁, "호텔직원의 조직후원인식과 조직신뢰 및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조직신뢰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 20권, 제3호, pp.151-169.
  36. 심우극, 유연호, "대학조직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LMX,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제10권, 제1호, 2019, pp.295-313.
  37. 이범재, 박철호, 한수정, "리더와 종사원의 교환관계 (LMX),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성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9권 제12호, 2015, pp.211-227.
  38. 김동학, 김동환, 김현민, "고교 볼링선수-지도자의 교환관계(LMX)가 운동몰입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9, pp.735-745.
  39. Agarwal, U. A., S. Datta, S. Blake-Beard, and S. Bhargava, "Linking LMX, Innovative Work Behaviour and Turnover Intentions: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 17, No. 3, 2012, pp.208-230. https://doi.org/10.1108/13620431211241063
  40. Graen, G. B., and M. Uhl-Bien, "Relationship-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6, No. 2, 1995, pp.219-247. https://doi.org/10.1016/1048-9843(95)90036-5
  41. 김시연, "기업체의 LMX(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TMX(팀-구성원 교환관계)와 학습민첩성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2. 안우광, "하층LMX와 조직유효성 관계에서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상층LMX, POS, 리더행동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3. 임주희, "LMX(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TMX(팀-구성원 교환관계)가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감의 매개효과와 고용안정성의 조절 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김성곤, "전문과외교사(private tutor)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2018, pp.353-36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353
  45. 송승규, "호텔 사내교육의 만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11호, 2018, pp.463-472.
  46. Morrow, P. C., Concept Redundancy in Organizational Research: The Case of Work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34, No. 0, 1983, pp.180-205.
  47. 김영대, "조직건강성이 조직정체성을 통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건강성이 조직정체성을 통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8. 이병관, "리조트 기업의 조직비전과 종사자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3호, 2019, pp.203-217.
  49. 윤병섭, 이영안, 이홍재, "성과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제10권, 제3호, 2010, pp.219-238.
  50. 이경진, 권연희, "어린이집의 조직공정성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8권, 제4호, 2018, pp.145-158. https://doi.org/10.21213/kjcec.2018.18.4.145
  51. Park, K. Y, & Lee, I. S,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working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 28, No. 2, 2014, pp.213-225.
  52. 문정남, "호텔 식음료부서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5권, 제4호, 2019, pp.102-113. https://doi.org/10.20878/CSHR.2019.25.4.011
  53. 김우석, "중소기업 초기경력자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정규직 사무근로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4. 염혜윤, "중소기업 근로자의 경력계획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의 코칭리더십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5. 최윤혁,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2.
  56. 이재훈, 최익봉,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12권, 제1호, pp.93-132.
  57. 전수진, "비서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지, 제24권, 제1호, pp.75-97.
  58. 정상열, "프랜차이즈 한식당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관광연구저널, 제30권, 제9호, 2016, pp.191-205.
  59. 곽미정, 전미숙, 김종범, "경찰조직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LMX의 질(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2권, 제4호, 2016, pp.1-24.
  60. 최승호, "조직공정성, LMX, 종업원노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大韓經營學會誌, 제19권, 제2호, 2006, pp.355-378.
  61. 박준철, 서민교, 김병곤, "정보시스템 기업 종업원이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상사 구성원교환관계 (LMX), 팀 구성원교환관계(TMX),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大韓經營學會誌, 제23권, 제4호, pp.1987-2003.
  62. 김성일, 방원팔, 김장호, "공정성, 신뢰, 리더-부하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제27권, 제0호, 2011, pp.339-356.
  63. 최익봉, "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적 역할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29권, 제4호, 2005, pp.35-66.
  64. 윤영집, 장은주, 김성은, "상사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및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4권, 제2호, 2015, pp.79-99.
  65. 전희원, 김한주, "호텔기업에서의 상사지원이 상사신뢰, 조직신뢰,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觀光硏究, 제25권, 제5호, 2010, pp.1-19.
  66. 김성일, 방원팔, 김장호, "공정성, 신뢰, 리더-부하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연구, 제27권, 2011, pp.339-356.
  67. 전정호, 이현응, "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3권, 제3호, 2016, pp.147-166.
  68. 이형백, 최동락, "리더-부하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2권, 제3호, 2015, pp.175-192.
  69. Wixom, B. & Watson, H.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Data Warehousing Success," MIS Quarterly, Vol. 25, No. 1, 2001, pp.17-41. https://doi.org/10.2307/3250957
  70. Fornell, C. &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1981, pp.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