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지필형 검사지 및 자기보고식 설문지

Development of a Tool for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in Problem-Solving Programming Education: Paper Type Inspection and Self-Report Questionnaire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영직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조아라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민우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19.04.10
  • 심사 : 2019.05.13
  • 발행 : 2019.05.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 프로그래밍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의 영역과 세부 요소를 재 정의하였으며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필형 검사지 및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실제 교원양성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필형 검사지 및 자기보고식 설문지가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ssessment tools and to analyze their applicability in problem solving programm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of teacher train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have redefined the area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detail elements from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programming, and developed paper type inspection and self - report questionnaires to evaluate the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evaluation tool developed for the actual college students of teacher training colleg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aper type inspection and self - report questionnair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자미 (2017).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학회지, 24(2), 13-21.
  2. 최형신 (2018).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고찰. 교육공학연구, 34(3), 743-774.
  3. 유승욱 (2008). 초.중등 정보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4. 오경선.안성진 (2015).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와 컴퓨팅사고력간의 관계성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5), 55-62.
  5. 장원영.김성식 (2017). 정보 교육에서 프로그래밍(알고리즘) 자동평가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13-26.
  6.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7. 최정원 외. (2015). Track 1 컴퓨터 교과교육: 2015 개정 정보 교과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평가 방안에 대한 제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2), 9-12.
  8. 노지예.이정민 (2018). 로봇 활용 SW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 평가: 지필 시험, 비버챌린지, 자기보고식 설문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4(3), 849-876.
  9. 최형신.김기범 (2015).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및 블룸의 텍사노미 활용 평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225-232.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225
  10. 최형신.김미송 (2017).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3가지 상호보완적 접근 방안.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6), 639-646.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6.639
  11. 김은지.이태욱 (2018b).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로써 자기보고식 설문과 비버 챌린지간의 상관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6(1), 113-116.
  12.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the ACM, 19 (3)m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13.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14. 강승우 (2018). 공감 단계를 적용한 CT기반 문제해결 수업이 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5. 전현석 외. (2016).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알고리즘(초급). 한국정보화진흥원.
  16. 김은지.이태욱 (2018a). 컴퓨팅 사고력 평가 도구로써 비버 챌린지 문항 분석: 문항반응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107-110.
  17. 정웅열.이영준 (2017). 정보 교육에서 비버 챌린지(Bebras challenge)의 활용 가능성과 향후 과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5), 1-14.
  18. ICTE & CSTA(2011). Computational Thinking Leadership toolkit 1st edition.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 rFiles/471.11CTLeadershiptToolkit-SP-vF.pdf
  19. 엄명용.조성우 (2005). 사회복지실천과 척도 개발. 서울: 학지사.
  20. 배호순.한국교육평가학회.한국교육평가센터 (2004). 교육평가 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21. 김성식.오소희.정상수 (2018). 자료구조 수업에서 온라인 자동평가용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문제은행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4), 11-2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4.002
  22. 김한성.전수진 (2017). SW교육 평가 방법의 적합성 및 현장 유용성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3), 267-275.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3.267

피인용 문헌

  1.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시스템 매핑 기반 국내 문헌 고찰 vol.22, pp.6, 2019, https://doi.org/10.32431/kace.2019.22.6.003
  2. 컴퓨팅 사고력 기반 테스트 중심 문제해결 학습 모형 연구 vol.22, pp.6, 2019, https://doi.org/10.32431/kace.2019.22.6.005
  3. 예비교원 컴퓨팅 사고 이해도 분석을 통한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강화 방안 vol.24, pp.1, 2019,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1.29
  4.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구성요소 간의 경로 분석 연구 vol.24, pp.2, 2019,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2.139
  5. Computational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vol.25, pp.5, 202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5.229
  6. 라이트봇을 활용한 컴퓨팅 사고력에서 지식 정보의 진단 방안에 관한 연구 vol.11, pp.8, 2019, https://doi.org/10.15207/jkcs.2020.11.8.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