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urban-rural complex area in Korea has a distinctive spatial structure where the urban area and rural area coexist.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over-depopulation in the rural region of the urban-rural complex area,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policies that can prevent the existing residents from leaving, and in fact support them to remain where they currently reside. In this context, this curr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xisting residents' continuous intention to remain by employing the '2017 Chuncheon City Social Survey' as a countermeasure for the over-depopulation of the rural region in the urban-rural complex area. Especially, since a regional identity is determined endogenously, this study used a simultaneous bivariate ordered probit model with giving consideration to the endogenous relationship between a regional identity and a regional residents' inten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on analysis that the regional residential intention was higher as the regional identity was stronger. Furthermore, the regional identity was stronger as a householders' age and residence period were longer, and also as the resi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work leisure and life residence bala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sidents' intention was higher as th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local medical service and their work was increased. Thus, supporting policy is needed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quality-of-life services in a timely manner, but only after identifying the demand for these services by the rural residents in the urban-rural complex area.
도농복합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이 병존하는 독특한 공간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농복합시의 농촌과소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춘천시 사회조사'를 이용해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과소화 대응 방안으로 기존 거주민의 지속적인 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역정체성은 내생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정체성과 거주의향과의 내생적 관계를 고려하여 연립 이변량 순위 프로빗 모델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도농복합시에 대해 지역정체성이 강할수록 지역내 거주의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주의 연령과 거주기간이 길수록, 일 여가생활 거주에 대해 만족할수록 지역정체성이 높다. 그리고 의료서비스에 대해 만족할수록, 종사하는 일에 만족할수록 거주의향이 높다. 따라서 도농복합시 농촌지역 거주민들의 생활서비스 수요를 파악 후 적재 적시 적절한 생활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도농복합시의 경우 의료서비스는 지역정체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거주의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의료시설에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