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컴퓨팅사고력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 Analysis of Computing Thinking

  • 이애화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지원센터)
  • 투고 : 2019.05.10
  • 심사 : 2019.07.16
  • 발행 : 2019.08.28

초록

본 연구는 컴퓨팅사고력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연구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컴퓨팅사고력 관련논문 138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컴퓨팅사고력에 관한 연구는 2015년 소프트웨어교육이 의무화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초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개발연구, 실험연구 등의 양적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컴퓨팅사고력 관련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컴퓨팅사고력 관련 변인관계 등에 대한 연구주제가 많았다. 향후 컴퓨팅사고력에 대한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컴퓨팅사고력을 촉진하는 변인과 그것들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교수학습방법, 수업도구 및 매체 활용, 평가방법 등의 실증적인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 computing thinking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 by analyzing 138 papers related to computing thinking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5 to 2018. As a result, domestic research on computing thinking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5, and quantitative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were mainly used.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topics are oriented to the curriculum and program as well as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related with computational thinking. It is necessary to explore empirical studies such as teaching methods, teaching tools, media utilization, and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promote learner's computing thinking. Also, it is needed to explor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enhance computing thinking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키워드

참고문헌

  1. KERIS, SW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2015.
  2. 성정숙, 김현철,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8권, 제1호, pp.45-54, 2015.
  3.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별책10_실과(기술가정) 정보과 교육과정," http://ncic.go.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2019.6.20.
  4. 박성희,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함양을 위한 대학에서의 SW 교육에 관한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4호, pp.1-10,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4.1
  5. "디지털교과서와 소프트웨어교육 실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opType=N&boardSeq=73654, 2019.6.20.
  6. 유영미, 조성환, "증강현실 (AR) 영상인식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교과서 디자인 기획,"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353-363,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353
  7. J. M. Wing,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9, No.3, pp.33-35, 2006.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8. 신수범, "스크래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191-197, 2015.
  9. 이혜영, 이태욱,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래밍학습 기반 중학교 과학교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12호, pp.181-188, 2015.
  10. 박경은, 이상구, "컴퓨팅 사고력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과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E-수학교육 논문집, 제29권, 제1호, pp.19-33, 2015.
  11. 박정호, "Storytelling 기반 SW 교육이 Computational Thinking 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57-68,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1.57
  12. 임병춘,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 도구로서의 App Inventor 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5호, pp.519-526,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5.519
  13. U. Ilic, H. İ. Haseski, and U. Tugtekin, "Publication Trends over 10 Years of Computational Thinking Research,"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ology, Vol.9, No.2, pp.131-153, 2018.
  14. K. Y. Tang, T. L. Chou, and C. C. Tsai, "A Cont ent Analysis of Computational Thinking Researc h: An International Publication Trends and Rese arch Typology,"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40299-019-00442-8, 2019.6.20.
  15. 김나리, 서용현, 조한혁, "코딩수학 내용 및 환경 설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pp.647-673, 2018.
  16. 오정철, 김종훈,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퍼즐 기반 컴퓨터과학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pp.1183-1197,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5.1183
  17. 정인기,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초등학교 동아리 활동용 프로그래밍 교육 교재의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243-252,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243
  18. 김수환, 한선관,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319-326, 2012.
  19. 김수환, "Computational Thinking 증진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323-332,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3.323
  20. 서정현, 김영식, "성찰저널과 피드백을 적용한 PBL 기반의 피지컬 컴퓨팅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49-62, 2018. https://doi.org/10.32431/kace.2018.21.6.005
  21. 김용민, 김종훈, "초등학교 여학생의 컴퓨팅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앱인벤터 활용 S/W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4호, pp.385-398,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385
  22. 최숙영, 김세민,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공업계 고등학생의 창의. 융합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9권, 제6호, pp.45-54, 2016.
  23. 전수진, 한선관,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평가를 위한 서술형 수행평가 도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255-262,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3.255
  24. 이재호, 장준형,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제4권, 제3호, pp.273-283, 2018.
  25. 김미송, 최형신,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컴퓨팅 사고력자기평가 방법,"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1호, pp.61-70,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61
  26. 한정민, 김성원, 이영준, "Computational Thinking(CT)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5권, 제2호, pp.224-227, 2017.
  27. 한정민, 정웅열, 이영준,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1권, 제2호, pp.3-5, 2017.
  28. 최형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34권, 제3호, pp.743-774, 2018.
  29. 황지온, 황성온,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509-525,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5.509
  30. 이정민, 박현경, "국내 로봇활용 SW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190-20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190
  31. 류지은, 임정훈, 윤경신, 정진철, "국내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8권, 제3호, pp.53-81, 2016.
  32. 박성빈, 안성진, "컴퓨팅사고력의 역량 탐색 연구: 소프트웨어개발자를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41-53, 2016. https://doi.org/10.32431/KACE.2016.19.5.004
  33. 박금주, 최영준, "비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의 탐색,"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4호, pp.273-292,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4.273
  34. 임정훈, "소프트웨어 교육의 주요 이슈와 소프트웨어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공학자의 역할," 교육공학연구, 제34권, 제3호, pp.679-709, 2018.
  35. 신수범, 김철, 박남제, 김갑수, 성영훈, 정영식,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융합형 컴퓨팅사고력 구성 전략,"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6호, pp.607-616,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6.607
  36. 최현종, 이태욱, "컴퓨팅 사고력 교육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177-182, 2016.
  37. 류미영, 한선관, "초등 SW 교육을 위한 CT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11-20,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1.11
  38. ISTE and CSTA,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rFiles/CompThinkingFlyer.pdf, 2011.
  39. 최숙영,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53-62, 2016. https://doi.org/10.32431/KACE.2016.19.1.006
  40. 김명중, 이태욱,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실과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199-205, 2016.
  41. 박광렬, "실과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학습 방안," 실과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133-153, 2018.
  42. 전용주, 김태영, "중등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컴퓨팅 사고력 기반 창의적 문제해결 (CT-CPS) 수업모형의 인지적.정의적 효과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47-57, 2017. https://doi.org/10.32431/KACE.2017.20.4.005
  43. 송연옥, "대학에서의 성찰기반 코딩교육 수업설계와 적용: H대학교 SW와컴퓨팅사고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33권, 제3호, pp.709-736, 2017.
  44. 전수진, "SW 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디자인중심 모형(NDIS)의 효과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13-21, 2017. https://doi.org/10.32431/KACE.2017.20.2.002
  45. 이수진, "컴퓨팅 사고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 사고 수업 디자인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36권, pp.255-263, 2018.
  46. 최형신, 김미송, "디자인 사고와 컴퓨팅 사고를 결합한 새로운 교사 교육 코스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343-350,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3.343
  47. 윤종원, 한선관, "컴퓨팅사고력 신장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략," 교육논총, 제37권, pp.1-27, 2017.
  48. 전수진, 한선관, "컴퓨팅 사고 향상을 위한 UMC 수업전략의 개발과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131-138,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2.131
  49. 성영훈, "컴퓨팅 사고 함양을 위한 HVC 학습전략 기반 SW 교육모델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1권, 제5호, pp.583-593,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5.583
  50. 이정민, 박현경, 최형신, "로봇 활용 SW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1호, pp9-21,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1.9
  51. 이철현, "컴퓨팅 사고력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제23권, 제4호, pp.91-107, 2017.
  52. 한영신,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컴퓨팅 사고력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pp.433-445, 2018.
  53. 박선주, "스크래치 프로젝트 분석을 통한 컴퓨팅사고력 수준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661-669,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6.661
  54. 최형신, 김기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컴퓨팅 사고 및 블룸의 텍사노미 활용평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225-232, 2015.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225
  55. 이준형, 김종석, 이형옥, "컴퓨팅 사고력 교육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의 텐저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 설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pp.451-459, 2018.
  56. 김수환, "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13-22, 2015. https://doi.org/10.32431/KACE.2015.18.6.002
  57. 김민자, 유길상, 김현철,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1-11, 2017. https://doi.org/10.32431/KACE.2017.20.2.001
  58. 주여진, 마대성,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위한 추상화역량 평가 기준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3호, pp.375-383,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75
  59. 이정민, 정연지, 박현경, "초등 SW 교육에서 성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습흥미의 차이,"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1권, 제4호, pp.381-391, 2017.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381
  60. 김순화, 함성진, 송기상, "컴퓨팅 사고력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컴퓨터 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105-114, 2015.
  61. 김경규, 이종연,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27-39, 2016. https://doi.org/10.32431/KACE.2016.19.1.004
  62. 이정민, 고은지, "소프트웨어 교육이 중학생의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238-25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38
  63. 김석전, 김태영, "컴퓨팅 사고 기반 중등 문제해결 수업에서 데이터 활용 능력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제34권, 제4호, pp.125-144, 2018.
  64. 전수진, "카드 코딩 기반의 로봇을 활용한 SW 교육이 학습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4호, pp.447-455,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4.447
  65. 이정민, 채유정, 이명화, "온라인 SW 교육에서 초등학생의 컴퓨팅사고력 및 학습만족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그릿, 부모지원의 예측력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689-699,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6.689
  66. 박경연, 한지영,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마인드와 컴퓨팅 사고력 및 문제해결과정 간의 관계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pp.79-91, 2018.
  67. 박찬정, 현정석,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시각적 다이어그램 구조화의 성별 및 추상적 사고 성향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11-20, 2018. https://doi.org/10.32431/KACE.2018.21.3.002
  68. 박형용, 이승진, 안성훈, "학교의 교육정보화 수준에 따른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1-9, 2016. https://doi.org/10.32431/KACE.2016.19.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