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 quality in Adolescents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

  • Received : 2019.02.14
  • Accepted : 2019.08.22
  • Published : 2019.08.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adolescents. Two hundred and sixty-on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That is, peer relationship quality was only indirectly affected b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hrough self-acceptance. Second, self-acceptance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eer relationship quality in the group with low self-acceptance, but it did in the group with high self-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improve adolescents self-acceptance by verifying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i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 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완벽주의 자기제시는 자기수용을 통해서만 또래 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 질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수용 향상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