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Perception o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of Science Instruction

과학 수업에서 정의적·행동적·인지적 영역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자기 인식 분석

  • Received : 2019.07.18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in science class.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grade levels, a self-perception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ird and fifth grade students in Seoul,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affective domai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gnitive domain in third grade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perception level of the fifth grade students. Both third and fifth grade students perceiv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one year of science teaching. Second, in the life science class, the same tendency was also observed. The students in the third and fifth grade reported that cognitive domains were the most improved through the one-year life science class. Third, when the students' perceptions were compared by grades, the third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self-perception scores than fifth grade students. As the grade increased, the perception scores of the students' lowere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teaching and learning at school a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01).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2(5), 427-447.
  2. 교육과학기술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미영, 조지민(2013).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46-6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46
  5. 김범기(1993).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41-358.
  6. 김정화, 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7. 김현정, 여상인(2010). 초등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9(4), 451-464.
  8.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신(1999).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94-203.
  9. 노태희, 최용남(1996).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25.
  10. 박강은, 김덕구(2002). 초파리의 한살이 단원에 대한 발견식 관찰 수업과 설명식 관찰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1(1), 135-142.
  11. 박형민, 임채성(2018).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과 모둠 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생물교육, 46(3), 318-329.
  12.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13. 윤혜경, 박승재(2000).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한 중 학생의 탐구 동기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37-153.
  14. 이미경, 정은영(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15. 임채성(2005).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뇌 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심체적․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초등과학교육, 24(1), 86-101.
  16. 임채성, 김재영, 정다운(2013). 초등과학 생명 영역 수업에서 학생의 흥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물교육, 41(4), 638-656.
  17. 임채성, 이은희, 김재영, 김남일(2007). 과제의 탐구 요구 수준에 따른 초등 생명 영역의 협동 학습에서 상호 작용 양상 및 효과 분석. 생물교육, 35(4), 704-719.
  18. 전민정, 김흥태, 김재근(2012).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생물교육, 40(1), 1-14.
  19. 정옥분(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 최선미, 차희영(2006). 초등학교 과학 탐구 및 실험 학습 실태 조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6(1), 17-30.
  21. 최승현(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Cross, S. E., Hardin, E. E. & Gercek-Swing, B. (2011). The what, how, why, and where of self-constru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5(2), 142-179. https://doi.org/10.1177/1088868310373752
  23.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ce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24. Glynn, S. M., Yeany, R. H. & Britton, B. K. (2000).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심리학(권성기, 임청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서출판 1991).
  25. Hall, D. A. (1990). Reducing science anxiety in a biology course for non-science majors.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vention of the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Atlanta, GA, April, 1990.
  26. Hodson, D. (1998). Is this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Wellington, J.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NY: Routledge. pp. 93-108.
  27. International Study Center (2000). TIMSS 1999: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Boston:ISC.
  28. Jennings, P. A. & Greenberg, M. T. (2009). The prosocial classroom: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1), 491-525. https://doi.org/10.3102/0034654308325693
  29. Peters, E. (2005). Reforming cookbook labs. Science Scope, 29(3), 16-21.
  30.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Randler, C. & Bogner, F. (2007). Pupils' interest before, during, and after a curriculum dealing with ecological topic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3(5), 463-478. https://doi.org/10.1080/13803610701728295
  32. Schibeci, R. A. & Riley, J. P. (1986). Influence of students' background and perceptions on science attitudes and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3), 177-187. https://doi.org/10.1002/tea.3660230302
  33. Yorek, N. (2009). The only good snake is a dead snake: second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nakes. Biotechnology & Biotechnological Equipment, 23(sup1), 31-35. https://doi.org/10.1080/13102818.2009.10818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