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훈식, 이수영, 김희경, 이성희, 곽영순, 신영준(2019).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79-293.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2.279
- 구자옥, 조성민, 이소연, 박혜영, 구남욱(2017).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심층 분석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7-9.
- 곽영순, 박상욱(2018). TIMSS 2015 상위국 8학년 과학성취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2(1), 66-79. https://doi.org/10.21796/jse.2018.42.1.66
- 곽영순, 손정우, 김미영, 구자옥(2014). 핵심역량과 융합 교육에 초점을 둔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방향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321-33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321
- 김현경, 나지연(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용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지, 18(10), 565-588.
- 김혜숙, 함은혜(2014).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7(5), 1311-1335.
- 김희경, 곽영순, 강훈식, 신영준, 이성희, 이수영(2017). 과학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507-521.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507
- 문주영, 신영준(2018).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2(2), 214-229. https://doi.org/10.21796/jse.2018.42.2.214
- 박현정, 손윤희, 홍유정(2018). 과학 수업에서의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생 인식 유형: 학생-학교 수준 영향요인 및 정의적 특성 분석. 교육과정평가, 31(3), 557-582.
- 배주현, 손원숙(2018). 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 수업 및 평가실제와 정의적 성취와의 관계: PISA 2015 과학자료. 교육과정평가, 21(3), 131-154. https://doi.org/10.22799/JCE.2018.21.3.006
- 손정우, 심재호, 최원호, 이봉우, 김종희, 손미현, 노상미 (2017). 초․중․고 과학실 실태분석 및 교구 확보 지원 연구 :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 신영준, 강훈식,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2017a).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생물교육, 45(1), 41-54.
- 신영준, 강훈식,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2018). 학생참여형 과학수업 효과성 분석을 통한 학생의 정의적 태도 향상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보고서 BD19020011.
- 신영준,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 강훈식(2017b).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335-346.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35
-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1.140
- 양현경(2018). 중학생의 학생 참여형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가 수업만족도를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기영, 박재용(2014).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25-63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25
- 이여빈, 신영준(2019).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적용한 '사이언스 레벨 업'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 47(1), 97-86.
- 이현숙, 신진아, 김경희(2013).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6(2), 477-506.
- 정영희, 신세인, 이준기(2015). 과학중점고등학교 담당교사들의 반성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원교육, 31(2), 315-351.
- 주철안, 박상욱, 홍창남, 이상철(2012). 학교조직 특성이 학생성취와 정의적 성장에 미치는 연구. 아시아연구, 13(2), 57-80.
- 하민수, 신세인, 이준기, 박현주, 정덕호, 임재근(2014). 과학교사들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융합형 '과학' 수용에 관한 인과 모델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35-24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235
- Barnett, J. &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4), 426-453. https://doi.org/10.1002/sce.1017
- Buaraphan, K., Roadrangka, V. & Forret, M. (2006). Pathwa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in the preservice physics teachers in the physics methods course. Proceed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ARST) Conference, April 3rd-6th,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 Carmi, M. & Dori, Y. J. (2006).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ncerns of chemistry teachers implementing a case-based computerized laboratory. Proceed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ARST) Conference, April 3rd-6th,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 MOE (2015).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 MOE (2016a). General plans for science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2.).
- MOE (2016b). Result announcement of PISA 2015.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 12. 6.).
- MOE (2016c). Result announcement of TIMSS 2015.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 (2016. 11. 29.).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Stroupe, D. (2017). Ambitious teachers' design and use of classrooms as a plac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101(3), 458-485. https://doi.org/10.1002/sce.21273
- Zembylas, M. (2005). Beyond teacher cognition and teacher beliefs: The value of the ethnography of emotions i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18(4), 465-487. https://doi.org/10.1080/09518390500137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