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vement and Body Composition of Middle-aged Women for Healthy Life

건강한 삶을 위한 중년여성의 일상움직임과 신체조성의 관계

  • 노용구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 안근희 (대진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 윤영선 (대진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Received : 2019.11.22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movement and physical composition in daily life of 110 middle-aged women (40 ~ 60s) who visited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February to September 2019.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clustering total calorie consumption, activity average calorie consumption, and average number of walking, each group was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The number of walking showed a difference in BMI and body fat ma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calorie activity. Second, activity average calorie consum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MI, and the average number of walks had a negative effect. Daily total calorie consum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uscle mass, and activity average calorie consumption had a negative effect. Activity average calorie consum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dy fat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and daily total calorie consumption and average number of walks had a negative effect.

본 연구는 2019년 2월-9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제 3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중년여성(40-60대) 110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생활움직임과 신체조성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총 칼로리 소비량, 활동평균 칼로리 소비량, 평균 보행 수를 군집화한 결과 각각 3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일일 총 칼로리 소비량은 BMI, 근육량, 체지방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보행 수는 BMI와 체지방량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활동 평균 칼로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BMI에는 활동 평균 칼로리 소비량이 정(+)적 영향을 미쳤고 평균 보행 수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근육량에는 일일 총 칼로리 소비량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활동 평균 칼로리 소비량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에는 활동 평균 칼로리 소비량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일 총 칼로리 소비량과 평균 보행 수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중년여성의 일상생활 속에서의 움직임만으로도 신체조성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