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mportance Analysis on the NCS-Based Skin Care Qualification L3 Level of Education in Life Care

라이프케어의 피부미용 NCS기반 자격 L3수준의 교육 중요도 연구

  • 박채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뷰티미용학과) ;
  • 박정연 (광주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Received : 2019.06.21
  • Accepted : 2019.07.26
  • Published : 2019.07.31

Abstract

The recent phenomenon of job "Miss Match", which is inconsistent with knowledge in the demand of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es, has spread to an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for reeducation and employment of new hires, resulting in weak individual job competency and poor employment capability, as well as economic and material waste at the national level.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hich are available immediately in practice and look for a standard point of national job competency with the aim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sought by industries, were developed, and even the NCS-based qualification system was launched in line with the stream of time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at the NCS-based qualification L3 level in the skin care field for an overall check of the NCS-based qualification level at a time when educational institutes are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NCS and NCS-based qualification level. And it i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foster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ies. To analyze the needs for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at the L3 level, a survey using AHP method was carried out to a group of field experts and a group of education experts. In addition,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and Expert Choice 2000, an AHP-only solution was used to do statistical processing through the processe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a group of field experts and a group of education experts. This indicates that the inconsistencies between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al sites should be resolved at this time of change with the aim of fostering field customized human resources with professional skills. Consequently, the solution is to combine jobs at industrial sites and standardized educations of educational institutes with human resources required at industrial sites.

최근 교육훈련기관과 산업체의 수요에 필요한 지식이 불일치하는 인력 미스매치(miss match)의 현상은 신입 직원의 재교육과 취업을 위한 사교육 비용 증가로 전이되어 결과적으로는 개인의 직무수행 능력 저하와 취업 역량 저조는 물론 국가 차원에서도 경제적, 물질적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무에서 바로 활용이 가능하고 산업체에서 추구하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국가에서 지정하는 직무 능력의 표준점을 구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NCS를 기반 한 자격제도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기관에서 NCS와 NCS기반 자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에 맞춰 학교급별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NCS기반 자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준의 전반적인 점검을 위하여 피부미용 분야 NCS기반 자격 중 피부관리 L3수준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 요소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직무 수준별 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 전문가집단, 교육 전문가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L3수준의 능력단위와 능력단위 요소에 대한 요구분석을 위해 AHP 설문 기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AHP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AHP전용 솔루션인 Expert Choice 2000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현장 전문가집단, 교육 전문가집단의 의견이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현장맞춤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변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훈련기관과 산업현장의 불일치를 해소해야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해결 방안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재상과 접목시켜 산업현장의 직무와 교육기관의 표준화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paper is partially extracted from the 2018 doctoral thes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search funds from Gwangju University in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