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ritics's Reviews Reported in the Pres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inion Quality of Film Reviews and Box Office Performance

언론에 보도된 전문가 영화 리뷰에 관한 연구 : 영화 리뷰의 품질과 흥행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ontents of film critics' reviews reported in the press. Based on fifty nine Korean movies with over 100,000 audience in 2017, this study collected 1113 reviews from fifty five movies with the exception of four without review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film's overall quality and four evaluation items such as directing, acting, story, and the visual.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report timing of the review, the length of the review, and the intensity of the opin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spects of reviews and box offic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valence of critics' reviews was generally positive. Looking at the difference of reporting time, this valence was higher in the week before release than in the release week of film. The evaluation items of reviews were highly covered both before movie release and in the opening week. These were significantly declined in the second week of relea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views by each movie and box office performanc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이 연구는 언론에 보도된 영화 전문가 리뷰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대상은 2017년에 개봉한 한국영화 중 관객 수 10만 명 이상을 기록한 작품 59편 중 리뷰가 없는 4편을 제외한 55편의 작품의 리뷰 총 1,113건이다. 이 연구는 전문가 리뷰의 작품성 평가 및 감독의 연출, 배우의 연기, 영상, 스토리 등의 세부 항목의 구성을 살펴보고, 이들 항목들 사이의 관계 또한 분석하였다. 또한 리뷰의 보도 시기, 리뷰의 길이, 의견의 강도에 따라서 흥행성과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언론에 보도된 전문가 평가는 높은 긍정적 성향을 보여주었다. 시기별 차이에서 개봉전의 작품성 평가가 개봉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봉전과 개봉주의 리뷰에는 개봉 1주 후보다 배우 평가를 비롯한 더 다양한 세부 항목 평가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별 리뷰의 숫자와 흥행의 관계에서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림대학교의 2019년도 교비연구비 [HFR-201908-012] 지원을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