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Volume 13 Issue 6
- /
- Pages.257-264
- /
- 2019
- /
- 1976-6211(pISSN)
- /
- 2384-017X(eISSN)
DOI QR Code
The Effect of Upper Thoracic Mobility on the Forward Head Posture,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Disability by Forward Head Posture
상부등 가동성이 만성 목 통증 환자들의 목 기능장애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Lee, Eun-Sa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Gwangju Suwan Hospital Sport Rehabilitation Center)
- 이은상 (광주 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광주 수완병원 스포츠 재활센터)
- Received : 2019.07.17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ive intervention(upper thoracic mobilization and upper cervical mobilization) methods for forward head posture. 32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upper thoracic mobilization(UTM) and upper cervical mobilization(UCM) on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our weeks. In both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ward head posture pre and post test(p <.01),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5, 95% CI: .157-.341). In both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ck disability index pre and post test(p <.01),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1, 95% CI: 1.273-8.728). In both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pre and post test(p<.05),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1, 95% CI: 4.234-18.39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TM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forward head posture.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and also to prevent secondary musculoskeletal disorders due to forward head pos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등 가동기법과 상부목 가동 기법중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 기능장애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32명의 대상자를 상부목 가동군과 상부목 가동군 두 그룹으로 설정 연구를 총 4주간 주 3회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방머리자세에서 두군 모두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p<.01),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5, 95% CI: .157-.341). 목 기능장애의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1),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95% CI: 1.273-8.728). 삶의 질 변화에서도 두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5), 상부등 가동군이 상부목 가동군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95% CI: 4.234-18.391). 본 연구결과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 기능장애 환자에게 상부목 가동군보다 상부등 가동군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전방머리자세를 동반한 목장애지수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전방머리자세로 인한 2차적인 근골격계 질환 또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