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erence of Center Information Display Size and Location-based on Autonomous Driving Level

자율주행 단계별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선호도

  • 권주영 (연세대학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
  • 정소연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기술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
  • 주다영 (연세대학교 글로벌융합기술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 Received : 2018.11.12
  • Accepted : 2018.12.29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As the requirement of the in vehicle infotainment service increases, the role of the in vehicle display is also expected to rise. Particularly, center information display(CID) is expected to be actively utilized, and sinc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isplay is anticipated to chang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based on the users' perspective. However, there are limited research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user's consciousness on the size and position of autonomous vehicle display. Her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present the preference of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s size and position on each levels of driving automation. For this, an experiment on the driving simulator was conducted using the think-aloud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orizontal display(12.5inch) on the top position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second level of the driving automation. On level three, the participants significantly preferred the vertical display(17inches) compared to the second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which examines the user' preference of CID using a driving simulator for the autonomous vehicle.

자율주행 자동차 내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디스플레이 역할이 커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의 활용도가 증대될 것이라고 전망되며, 디스플레이의 크기 확대 및 위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해 사용자 의식을 파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단계별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선호도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실험 후 설문조사 및 회상적 발성사고법(Retrospective Think-aloud)을 통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자율주행 2단계에서는 '상단 위치 가로형 디스플레이(12.5인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주행 3단계에서는 '세로형 디스플레이(17인치)'에 대한 선호도가 자율주행 2단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산되지 않은 자율주행 자동차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제시한 연구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상민. 인테리어의 핵이 된 LCD 디스플레이. http://www.autoelectronics.co.kr/article/articleView.asp?idx=1877 2018.09.01.
  2. 김은별.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커진다...연평균 11% 성장.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00309485442861 2018.09.01.
  3. 박선홍. 미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동향.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bd_035&wr_id=363 2018.05.01.
  4. 조재환. "버튼 필요없는 車 디스플레이가 대세".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323145156 2018.09.01.
  5. 구보람, 주다영. 사용자 관점의 자율주행 단계 별 인터랙션 특성.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2).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351-359. 2017.
  6. 류종은. 까다로워진 자율주행 '레벨3' 기준...업계 판도변화 예고. http://m.etnews.com/20180904000269#_enliple 2018.09.10.
  7. Apple Inc. Apple CarPlay. https://www.apple.com/kr/ios/carplay/ 2018.08.01.
  8. Tesla. Model S. https://www.tesla.com/ko_KR/models 2018.09.01.
  9. TB. 애플 카플레이 2016년 지원 차량 목록. http://ryueyes11.tistory.com/6583 2016.02.01.
  10. TODD. #Tesla Opens First Store in the Coachella Valley/#CathedralCity. https://acarisnotarefrigerator.com/tag/tesla-model-s/ 2016.02.01.
  11. 김향숙, 김지만, 지용구. Think-aloud의 Verbalization 과 숙련도가 사용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한국HCI학회. pp. 269-275. 2014.
  12. Kuusela, H., Paul, P. A comparison of concurrent and retrospective verbal protocol analysi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13(3).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387-404. 2000. https://doi.org/10.2307/1423365
  13. 김병주, 이건표. 웹 사용성 평가를 위한 통합평가모형 제안 및 도구 개발 - 시선추적, 마우스추적, 회상적 발성사고법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0(5). 한국디자인학회. pp. 39-50. 2007.
  14. Zhiwei, G., Shirely, Lee., Elisabeth, C. and Judith, R. The validity of the stimulated retrospective think-aloud method as measured by eye tracking. Proceeding of CHI2006. ACM SIGCHI. pp. 1253-1262. 2006.
  15. Jacob, N. Why You Need to Test with 5 Users. https://www.nngroup.com/articles/why-you-only-need-to-test-with-5-users 2018.12.04.
  16. 홍종선, 박옥희, 최창현. 조사방법과 통계자료분석. 서울: 박영사. 1996.
  17. 전태준. 지속적 생활체육참가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한국체육학회. pp. 217-225. 2006.
  18. Monreal, C. O., Hasan, A. E., Bulut, J. and Korber, M. Impact of In-Vehicle Displays Location Preferences on Drivers' Performance and Gaze.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15(4). IEEE. pp. 1770-1780. 2014. https://doi.org/10.1109/TITS.2014.2319591
  19. Wang, L. and Ju, D. Y. Concurrent use of an in-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a smartphone navigation applica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3(10). Scientific Journal Publishers Ltd. pp. 1629-1640. 2015. https://doi.org/10.2224/sbp.2015.43.10.1629
  20. 이윤희, 유훈식, 반영환.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 디스플레이 사용자 경험을 위한 콘텐츠 요소 가이드라인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36(6). 대한인간공학회. pp. 609-620. 2017.
  21. 장학만. 전기차 한번 충전으로 644km 주행... 테슬라의 혁신 '무한질주' .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501111353994249 2018.09.01.
  22. 김희연, 최준호, 최진해.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의 프로토타입 디자인 실험 연구 - 내비게이션과 음원서비스 스크린의 인터랙션 방식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6(2). 디자인융복합학회. pp. 239-251. 2017.
  23. 최병미. 정보 속성을 기반으로 한 차량 내 디스플레이 정보 구조 및 정보 배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대한민국: 서울. 2017.
  24. Daimler AG. Mercedes-Benz Future Truck 2025 | World Premiere. https://www.youtube.com/watch?v=7bFc0rBoFY8&hl=ko_KR&version=3&rel=0 2016.02.01.
  25. 김영준, 김영진. 탐색경로 일치도 분석을 이용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2). 한국산학기술학회. pp. 793-803.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2.793
  26. 이원영, 채안병, 허정윤. 부분적 자율주행을 위한 디지털 센터페시아에 적용된 인지적 어포던스 사례분석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 462-465. 한국HCI학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