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 챗봇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에이전트와 메시지 유형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Responses to Shopping Chatbot: The Effects of Agent and Message Types

  • 송유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학과) ;
  • 김민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디어학과) ;
  • 최세정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 투고 : 2019.02.12
  • 심사 : 2019.05.17
  • 발행 : 2019.05.31

초록

인공지능(AI)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챗봇(Chatbot)의 이용도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쇼핑 이용이 증가하면서 챗봇 서비스의 소비자와의 소통 기능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챗봇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며 모바일 커머스에서 이용하는 챗봇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쇼핑 챗봇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의인화된 챗봇의 에이전트로서의 유형과 메시지 유형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챗봇 에이전트 유형(비서/친구)과 메시지 유형(사실/평가)을 독립변수로 $2{\times}2$ 집단 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챗봇 에이전트 와 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챗봇에 대한 지각된 인식 및 반응에 미치는 주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에이전트 유형과 메시지 유형의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에이전트 유형이 비서일 때에는 사실적 메시지로 상품 추천을 하였을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친구일 경우에는 평가적 메시지 유형이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할 수 있다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AI technology develops, its application has been extended to diverse fields. In particular, AI-enabled Chatbot services have garnered growing attention and such services are more important as a tool of communication in mobile shopping. However, research on chatbots is in its early stage and the understanding of chatbots in the context of mobile commerce is very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consumer responses to a shopping chatbot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chatbot agent types and message types. Specifically, a $2{\times}2$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with the agent type (secretary/friend) and the message type (factual/evaluativ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main effects of chatbot agent and message types are not fou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hatbot agents and message types on consumer responses are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the agent type was a secretary, consumer responses to product recommendation with a factual message were more posi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riend agent, the evaluative message led to more positive respon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communication elements are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responses to chatbots in mobile shopping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utilizing chatbots for mobile commerce should be considered.

키워드

참고문헌

  1. 디지에코. 챗봇 비즈니스 트렌드 및 시사점. URL: http://www.digieco.co.kr/KTFront/board/board_view.action?board_seq=11554&board_id=issue_trend 2018.4.10.
  2. 한국정보화진흥원.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 서비스 등장과 발전 동향. https://www.nia.or.kr/common/board/Download.do?bcIdx=20156&cbIdx=37989&fileNo=1 2016.4.23.
  3. 통계청. 2월 온라인쇼핑동향. 2019.
  4. TechNavio. Global Chatbot Market 2018-2022. Canada: Technavio Reports. 2018.
  5. 장준희.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Chatbot)' 서비스 등장과 발전 동향. https://www.nia.or.kr/common/board/Download.do?bcIdx=20156&cbIdx=37989&fileNo=1 2016.4.12.
  6. 이명수, 김상훈.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서비스연구. 7(3). 서비스사이언스학회. pp. 37-55. 2017. https://doi.org/10.18807/jsrs.2017.7.3.037
  7. 김보경, 김현아, 심채은, 정진우. 소셜 챗봇을 활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5(11). 한국정보기술학회. pp. 125-138. 2017. https://doi.org/10.14801/jkiit.2017.15.11.125
  8. Kleijn, D. R., Wijnen, M. and Poletiek, F. The effect of context-dependent information and sentence constructions on perceived humanness of an agent in a Turing test. Knowledge-Based System. 163. Elsevier B.V. pp. 794-799. 2019. https://doi.org/10.1016/j.knosys.2018.10.006
  9. 장문익, 정재훈, 최명길. 마케팅 효과 극대화 및 비용절감 효과성에 대한 기업용 메시징서비스 효율화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10).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p. 311-317.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0.311
  10. 김유정, 한상규, 윤종묵, 허은영, 김정훈, 이중식. 챗봇 에이전트 정체성(identity)에 따른 사용자의 인식 및 행동 차이에 대한 연구- 개인, 기관, 기계 에이전트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논문지. 12(4). 한국HCI학회. pp. 45-55. 2017.
  11. 김세준, 이세진. 정보원. 메시지의 유형 및 수신자 성향에 따른 구전효과 연구. 광고연구. (96). 한국광고홍보학회. pp. 100-136. 2013.
  12. Hovland, C. I., Janis, I. L. and Kelley, H. H.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Psychological studies of opinion chang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48(02).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00-600. 1954. https://doi.org/10.1017/S0003055400274984
  13. Baker, M. J. and Churchill Jr, G. A.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4(4).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538-555. 1977. https://doi.org/10.1177/002224377701400411
  14. 염정윤, 정세훈. 메시지 측면성에 따른 정보원의 설득효과 연구. 홍보학연구. 18(3). 한국PR학회. pp. 334-363. 2014.
  15. 조현, 권지현, 윤서은, 이재광. 정보원 특성과 소구방식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한국경영학회. pp. 1579-1595. 2018.
  16. 현근식, 이동일. 상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함에 있어 SNS 메시지 유형의 역할. 상품학연구. 33(1). 한국상품학회. pp. 145-158. 2015. https://doi.org/10.36345/KACST.2015.33.1.015
  17. 김재휘, 안은미, 김지호. 유대강도에 따른 정보방향성과 정보유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7(1). 한국심리학회. pp. 93-112. 2006.
  18. 윤태웅. 일면적광고와 양면적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2). 한국심리학회. pp. 261-282. 2011.
  19. Holbrook, M. B. Beyond attitude structure toward the informational determinants of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4).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545-556. 1978. https://doi.org/10.1177/002224377801500404
  20. 이소연, 송지희, 김상순. 메시지유형과 뉴미디어선택이 소비자의 정보신뢰도와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3(2). 국제e-비즈니스 학회. pp. 71-90. 2012.
  21. 정선률, 박현진. 부정적 구전정보의 유형에 따른 구전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2(4). 한국소비자학회. pp. 21-44. 2003.
  22. 김재휘, 김희연, 부수현.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공공캠페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메시지 구성과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3(1). 한국광고학회. pp. 183-205. 2012.
  23. 문영주, 이종호. B2C 전자상거래에서 사회적 실재감. 즐거움. 만족, 신뢰형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e-비즈니스연구. 10(1). 국제e-비즈니스 학회. pp. 75-99. 2009.
  24. 김보경, 김현아, 심채은, 정진우. 소셜 챗봇을 활용한 크라우드 소싱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5(11). 한국정보기술학회. pp. 125-138. 2017. https://doi.org/10.14801/jkiit.2017.15.11.125
  25. 김보람, 정만수. 리타게팅광고에 대한 인터넷쇼핑 이용자들의 태도 연구: 광고 태도, 클릭의도,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6(4). 한국광고학회. pp. 37-63. 2015.
  26. 김상조. 외국인 모델 속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자민족중심성향의 조절 효과. 소비문화연구. 10(1). 한국소비문화학회. pp. 153-173. 2007.
  27. 김운한. 광고 캐릭터의 정보원 속성이 캐릭터 호감도와 광고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20(4). 한국디자인학회. pp. 297-306. 2007.
  28. 문영주, 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 명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즐거움이 성과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신뢰와 몰입을 매개로. e-비즈니스연구. 9(1). 국제e-비즈니스 학회. pp. 75-99. 2008.
  29. 송창석, 신종철. 쇼핑사이트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26). 한국상품학회. pp. 76-86. 2002.
  30.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The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Center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p. 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31. Dodds, W. B., Monroe, K. B. and Grewal, D.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3).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p. 307-319. 1991. https://doi.org/10.2307/3172866
  32. McMillan, S. J. and Hwang, J. Measure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 exploration of the role of direction of communication user control. and time in shaping perceptions of interactivity. Journal of Advertising. 31(3). Elsevier B.V. pp.29-42. 2002. https://doi.org/10.1080/00913367.2002.10673674
  33. Short. J., Williams, E. and Christie, B.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 New York: Wiley. 1976.
  34. Chung, M., Ko, E., Joung, H. and Kim, S. J. Chatbot e-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regarding luxury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Elsevier. 2018
  35. Van den Broeck, E., Zarouali, B. and Poels, K. Chatbot Advertising Effectiveness: When does the message get throug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I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September. 98. Elsevier Ltd. pp. 150-157. 2019. https://doi.org/10.1016/j.chb.2019.0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