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된 사회적 배제가 따뜻한 조명 선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exclusion on warm lighting preferences

  • 이국희 (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교양학부)
  • 투고 : 2018.09.04
  • 심사 : 2019.03.15
  • 발행 : 2019.05.31

초록

인간의 기본 욕구 중 하나인 존중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회적 배제는 이를 지각한 사람들로 하여금 물리적 따뜻함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회적 배제가 따뜻함을 추구하게 만드는 현상이 조명의 색 같은 감성적이고 상징적인 차원에도 일반화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드물었다. 본 연구는 지각된 사회적 배제가 따뜻한 조명 선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1은 어제 사람들로부터 존중받은 사람은 사회적 배제를 지각하지 않은 집단으로, 존중받지 못한 사람은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으로 구분한 후, 따뜻한 조명(3000K), 중립적 조명(4000K), 차가운 조명(6000K)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따뜻한 조명 선호도가 강했고, 차가운 조명 선호도는 약했다. 또한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은 중립적 조명보다 따뜻한 조명을 강하게 선호하는 반면, 차가운 조명을 약하게 선호함을 확인하였다. 실험-2는 실험-1과 동일한 방식으로 집단을 구분한 후, 따뜻한 조명이 적용된 공간, 중립적 조명이 적용된 공간, 차가운 조명이 적용된 공간에 대한 선호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따뜻한 조명이 적용된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강했고, 차가운 조명이 적용된 공간에 대한 선호도는 약했다. 아울러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집단은 중립적 조명이 적용된 공간보다 따뜻한 조명이 적용된 공간을 강하게 선호하는 반면, 차가운 조명이 적용된 공간은 약하게 선호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 다문화 가정, 이주 노동자와 같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사람들의 생활공간 디자인, 이들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상담 서비스 및 친구 캐릭터 개발 등에 시사점을 준다.

Social exclusion, which does not fulfill the desire for respect as one of the most basic human desires, makes those who perceive themselves to be socially excluded seek physical warmth.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examined whether this phenomenon-wherein social exclusion develops a preference for warmth-can be generalized to the emotional or symbolic aspects, such as the color of lighting.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exclusion on warm lighting preferences, and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this purpose. In Experiment-1, participants who were respected by people the previous day were assigned to the group that did not perceive social exclusion (non-perceived social exclusion group), and those who were not respected were assigned to the group that perceived social exclusion (perceived social exclusion group). Following this, their preference for warm lighting (3000K), neutral lighting (4000K), and cold lighting (6000K) was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social exclusion group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warm lighting and a weaker preference for cold lighting than did their counterparts. Moreover, the perceived social exclusion group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warm lighting over neutral lighting; they also showed a weak preference for cold lighting. In Experiment-2, after assigning the participants into groups as in Experiment-1,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a space with warm lighting, neutral lighting, and cold lighting was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social exclusion group had a stronger preference for the space with warm lighting and a weaker preference for cold lighting than did their counterparts. Further, the perceived social exclusion group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the space with warm lighting over the space with neutral lighting; they also showed a weak preference for the space with cold ligh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designing living spaces for people who experience social exclusion, such as handicapped individuals, multicultural families, or immigrant workers, as well as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and cyber-friend characters for this demographic.

키워드

참고문헌

  1. Tay, L. and Diener, E.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round the worl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354-365. 2011. https://doi.org/10.1037/a0023779
  2. Stillman, T. F., Baumeister, R. F., Lambert, N. M., Crescioni, A. W., DeWall, C. N. and Fincham, F. D. Alone and without purpose: Life loses meaning following social exclus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5(4). Elsevier. pp. 686-694. 2009. https://doi.org/10.1016/j.jesp.2009.03.007
  3. Sheldon, K. M. and Kasser, T. Psychological threat and extrinsic goal striving. Motivation and Emotion. 32(1). Springer. pp. 37-45. 2008. https://doi.org/10.1007/s11031-008-9081-5
  4. Bargh, J. A. and Shalev, I. 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Emotion. 12(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154-162. 2012. https://doi.org/10.1037/a0023527
  5. 이국희. 추운 사람의 따뜻한 사람 선호: 사회적 배제가 따뜻한 색과 연합된 사람 선호에 미치는 효과. 인지과학. 29(4). 한국인지과학회. pp. 221-241. 2018. https://doi.org/10.19066/cogsci.2018.29.4.002
  6. Diener, E., Ng, W., Harter, J. and Arora, R. Wealth and happiness across the world: Material prosperity predicts life evaluation, whereas psychosocial prosperity predicts positive feel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52-61. 2010. https://doi.org/10.1037/a0018066
  7. 이국희. 사회적 배제가 추천 및 유행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마케팅논집. 26(3). 한국전략마케팅학회. pp. 1-18. 2018.
  8. 이국희, 최인철. 사회적 배제가 여가의 의도, 재미, 그리고 의미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 29(4).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 41-59. 2018.
  9. 김종무, 김문석. 빛의 색온도 차이에 따른 이미지 변화가 감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지식저널. 10(10). 한국디자인지식학회. pp. 102-111. 2009.
  10. 지순덕, 이상혁, 최경재, 박정규, 김창해. 백색 LED 조명의 색온도에 관한 감성평가.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2(4). 조명.전기설비학회. pp. 1-12. 2008.
  11. 이국희, 이형철, 안충현, 기명석, 김신우. 영상의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가 영상실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HCI학회 논문지. 10(1). 한국HCI학회. pp. 29-41. 2015.
  12. 박양재, 최종현, 장명기. 감성조명용 조명기기의 조도 및 색온도 시뮬레이션을 통한 광원 조합의 최적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8). 한국콘텐츠학회. pp. 248-254. 2009.
  13. 이진숙, 김원도, 김소연. 색온도 특성에 따른 LED 조명과 형광램프의 감성반응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5(4). 대한건축학회. pp. 263-270. 2009.
  14. Tay, L. and Diener, E.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round the worl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1(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354-365. 2011. https://doi.org/10.1037/a0023779
  15. Kasser, T., Cohn, S., Kanner, A. D. and Ryan, R. M. Some costs of American corporate capitalism: A psychological exploration of value and goal conflicts. Psychological Inquiry. 18(1). Taylor & Francis. pp. 1-22. 2007. https://doi.org/10.1080/10478400701386579
  16. Sheldon, K. M. and Kasser, T. Psychological threat and extrinsic goal striving. Motivation and Emotion. 32(1). Springer. pp. 37-45. 2008. https://doi.org/10.1007/s11031-008-9081-5
  17. 정윤진, 이국희, 이형철, 김신우. 감성형용사를 사용한 다양한 향의 프로파일. 감성과학. 18(2). 한국감성과학회. pp. 75-84. 2015. https://doi.org/10.14695/kjsos.2015.18.2.75
  18. Meagher, B. R. and Marsh, K. L. Seeking the safety of sociofugal space: Environmental design preferences following social ostracism.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68. Elsevier. pp. 192-199. 2017. https://doi.org/10.1016/j.jesp.2016.07.004
  19. 한상진. 사회적 배제 담론과 한국의 사회적 경제 조직. 지역사회학. 15(2). 지역사회학회. pp. 5-31. 2014.
  20. 조용래, 원호택, 표경식. 사회공포증에 대한 집단인지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2). 한국임상심리학회. pp. 181-206. 2000.
  21. 김광웅, 김용상, 문병기.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보훈논총. 11(3). 한국보훈학회. pp. 41-70. 2012.
  22. 김동기, 이웅.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17). 한국장애인복지학회. pp. 129-147. 2012.
  23. 이태정.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연구-"국경 없는 마을" 사례. 사회연구. (6). 한국사회조사연구소. pp. 139-178. 2005.
  24. 노혁. 빈곤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와 청소년복지정책의 방향. 미래청소년학회지. 6(3).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pp. 23-43. 2009.
  25. 조성철, 김보기. 노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형태 및 사례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11(2). 21세기사회복지학회. pp. 163-188. 2014.
  26. 장원순. 우리안의 차별과 배제, 일상적 삶에서의 다문화 교육 접근법. 사회과교육연구. 13(3).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pp. 27-46. 2006.
  27. 김태웅. 인공지능 채팅로봇인 채터봇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채팅수업방법과 컴퓨터 흥미도의 교수-학습적 영향 분석. 공학교육연구. 11(4). 한국공학교육학회. pp. 19-33. 2008. https://doi.org/10.18108/JEER.2008.1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