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화제작인력들의 해외활동 참여욕구에 관한 연구 : 이분형 로지스틱 분석 및 한계효과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f Film Crews' Needs to Participate in Overseas Production : On the Basis of Binary Logistics Analysis and Marginal Effect Method

  • 이희진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 Lee, Hee-Jin (School of Communication Arts & Science, Handong Global University)
  • 투고 : 2019.03.23
  • 심사 : 2019.06.27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는 숙련된 영화제작인력의 해외제작 및 합작작업 참여의 활성화는 국내 영화산업현장의 열악한 처우와 경력장애 문제로 인한 이직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토대로 영화제작인력들이 해외활동에 참여하여 활동하고자 하는 욕구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함의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화제작인력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SPSS와 STATA를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및 한계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발견한 주요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영화제작인력)의 약65%(263명)이 해외활동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를 표명하여, 상당수의 영화제작인력들이 해외프로덕션과의 활동기회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화제작인력들이 해외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는 전문역량, 예술가 정체성, 한류 지속인식, 그리고 경력장애 등으로 밝혀졌다. 즉, 전문역량이 높을수록,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뚜렷할수록, 한류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할수록, 그리고 경력장애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할수록 해외 제작 및 합작작업 활동에 대한 참여욕구가 보다 더 분명하게 드러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and sought implications for the degree of desire by film crews to participate in overseas produ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killed film crews in overseas production and joint ventures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poor treatment of domestic film industry sites and the reduction of job losses due to problems with career barriers. In order for responden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binomial logistic and marginal effects analysis using SPSS and STATA, the data obtained by surveying 402 film crews operating in various area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bout 65%(263 peopl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participate in overseas activity, indicating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film crews are looking forward to opportunities with overseas productions. Second, major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film crews' need to participate in overseas activities have been found to be professionality, artistic identity, Korean Wave persistence, and career barrier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rofessionality, the more clearly the identity of the artist, the more positive expectations of the possibility of the Korean Wave continuing, and the more serious the problem of career disability, the clearer was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overseas production and joint-work activit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