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bout the Post-Cinematic Characteristics and Desire Shown in a Film

영화 <파란만장>에 나타난 욕망과 포스트시네마적인 특성에 대하여

  • Received : 2019.03.21
  • Accepted : 2019.04.29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text analysis, production methods of text, and reproduction of production methods, based on a film (2010) taken by mobile devices. As a digital film in which the objects and images have no characteristics of index, this work has the post-cinematic attributes in the aspect of consumers' recipience.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interactions between essential change and production/consumption throughout the whole film culture in the receptive aspect. Just as the main character is a mediator-shaman in the film, this film works as a mediating position of cinematic possibility. In this film,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mediation such as mediation of shaman inside the text, mediation of fil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consumers, and consumers' instrumental desire for others'tool outside the text. Outside the text, this relevant film stimulates the imitation desire of consumer subjects as others. In other words, this is connected to the desire of consumers who aim to create a digital film through mobile devices as an author. This is connected to Simondon's thinking in which such technical objects not only generate new relationships, but also become a revolutionary seed that newly collectivizes human society.

본 연구는 모바일로 촬영된 영화 <파란만장>(2010)의 텍스트 분석과 텍스트의 생산방식 및 생산방식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작품은 대상과 이미지가 지표(index)성을 갖지 않는 디지털 영화라는 점을 비롯해 수용자들의 수용적 측면에서 포스트시네마(Post-Cinema)의 속성을 띤다. 논문은 수용적 측면에서 영화문화 전반에 걸친 본질적 변화와 제작 및 소비의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영화는 영화적 가능성의 매개적 위치의 역할을 맡고 있다. 텍스트 내부에서는 만신의 매개가, 텍스트-수용자의 관계는 영화의 매개가, 텍스트 외부에서는 수용자의 타자의 도구에 대한 도구적 욕망이 자리 잡는다. 텍스트 외부에서 해당영화는 타자로서 수용자 주체의 모방욕망을 자극한다. 즉 모바일로 디지털 영화를 만들려는 수용자의 저자로서의 욕망과 연계된다. 이는 기술적 대상들이 새로운 관계를 발생시킬 뿐아니라 인간사회를 새롭게 집단화한다는 시몽동(Simondon)의 사유와 연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NRF-2016S1A5A2A03927974). 2018년12월 15일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부산대 영화연구소 공동 주최 학술 대회(제3회 영화와 테크노컬처럴리즘)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했음을 밝혀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