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nce Characteristics of Nongsapul-inong-ag

농사풀이농악의 춤특성 - 갑비고차농악을 중심으로 -

  • Kim, Ki-Hwa (Department of Dance,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
  • Back, Hyun-Soon (Department of Dance,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 Received : 2019.01.23
  • Accepted : 2019.02.25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vides new civilized convenience, while the humanistic ecological environment is at stake. Therefore, looking at our culture and arts ecological foundations is ultimately for the preparation of a rich life for the future. Therefore, establishing a desirable cultural ecosystem begins with an enduring tradition of traditional art.This study examined the dancing characteristics of gabbigochanong-ag, which maintains the nongsapul-inong-ag performance pattern. Two field studies and image analysis studies showed that gabbigochanong-ag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nong-ag, which strengthened the solidarity and cooperation of village community members and shared community identity. gabbigochanong-ag encourages th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through mechanistic dance movements based on soundness, imitative dance movements with minimal movement, repetitive dance movements, and communicative dance movements, As a result of the change, the members of the group were attracted to each other. Although gabbigochanong-ag was not sophisticated or sophisticated, it had a dancing structure that could create aesthetics and marginal aesthetics of slowness from the swiftness and convenience of civilization and bring harmony among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with warm emotion.

많은 현대인들에게 전통예술은 상당히 오래전 사람들의 삶의 모습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전통예술은 짧게는 한 세대나 두 세대, 혹은 채 100년도 되지 않던 시기에 선대로부터 전승되던 예술이며 삶의 모습이다. 그러나 현대의 변화되는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 전통예술은 그 고유의 기능과 의미가 변화되거나 소멸되는 경우가 많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문명적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 인문학적 생태환경은 위기에 처해 있다. 따라서 우리의 문화예술 생태기반을 살펴보는 것은 궁극적으로 미래의 풍요로운 삶을 준비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문화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은 전통예술을 올곧게 전승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본 연구는 농사풀이농악의 연행형태를 유지하는 갑비고차농악의 춤 특성을 살펴보았다. 두 차례에 걸친 현장연구와 영상분석연구를 통해 갑비고차농악이 마을 공동체 구성원의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공유하는 전통적인 농악의 특성을 잘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갑비고차농악은 순리에 입각한 역학적인 춤동작, 최소한의 동작구로 이루어진 모방적 춤동작, 반복적 춤동작, 소통적 춤동작을 통해 마을 공동체의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점층적인 추진력을 통한 구성의 변화로써 구성원 간의 신바람을 이끌어내고 있었다. 갑비고차농악은 세련되거나 정교하지는 않았지만 문명의 신속함과 편리함으로부터 느림의 미학과 여백의 미학을 생성하여 따뜻한 감성으로 공동체 구성원 간의 조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춤의 구조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춤의 구조는 경향류의 춤의 전형을 구축하는데 매우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다. 추후의 논의를 통해 전통 춤의 보편적이고 개별적인 전형을 세우는 데 학술적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Keywords